마오쩌둥의 국제정치사상 : 미· 중 대결시대 시진핑 외교전략의 뿌리

마오쩌둥의 국제정치사상 : 미· 중 대결시대 시진핑 외교전략의 뿌리

$19.00
Description
트럼프 2기, 중국몽과 ‘동승서강’으로 더욱 고조되는 갈등과 긴장
우리나라의 외교좌표와 외교전략은?

“중국이 재채기를 하면 조선은 감기가 든다.”
한-중 관계의 실상을 단적으로 집약한 우스갯소리다. 우리나라의 국력이 신장되고 국제적 위상이 높아진 오늘날 이 말이 유효하지 않다고 할 수도 있지만, 첨예한 이해관계가 대립되는 국제정세 속에 이 말에서 온전히 자유로울 수 없는 게 현실이다.
최근 트럼프가 차기 대통령에 당선되고 ‘트럼프 2기’가 가시화하면서, 미-중 관계의 양상에 대한 여러 가지 전망은 우리를 한껏 긴장시킨다. 시진핑이 추진하는 동승서강[東昇西降: 동방은 떠오르고 사방은 쇠퇴한다는 뜻으로, 중국이 미국을 추월한다는 ‘백년대변국(百年大變局)’의 핵심]을 실현시키기 위해 중국은 어떻게 ‘응전’할까? 트럼프 정부에서는 오바마 정부 때의 중국 견제 전략보다 중국포위 전략의 성격이 강한 「인도-태평양 전략」이 추진되었고, 정권교체 이후 바이든 정부도 「인도-태평양 전략」을 강화·추진했다. 이는 미국이 민주당·공화당 구분 없이 중국의 국력증강과 국제정치적 영향력 강화를 막으려 함을 의미한다. 트럼프가 다시 미국 대통령으로 돌아와서 「인도-태평양 전략」의 추진 강도는 더 강해질 수도 있다. 그럴 때 「인도-태평양 전략」과 「일대일로 전략」을 둘러싼 미·중갈등은 더욱 격화될 것이다.
국제정세의 변화가 지구촌 사람들의 우려를 한껏 고조시키고 있지만,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 곧 ‘중국몽’은 시진핑은 물론 14억 중국인의 한결같은 희망이자 염원이다. 건국 100주년을 맞이하는 2049년에 중국이 미국의 경제력을 따라잡지 못할지 모르지만, 중국의 부국강병이 현실로 구현될 가능성은 상당히 높다. 문제는 그럴 때 “우리나라의 외교좌표를 어떻게 설정하고, 어떤 외교전략을 수립하고 추진해갈 것인가?” 하는 것. 습관적으로 한·미동맹 타령만 할 것인가? 외교에서 자국 중심성을 확립하고 미·중 등거리 외교를 본격화하면서 국익을 극대화하는 외교를 해나갈 것인가?


‘중국인의 사상적 아버지’ 마오쩌둥, 왜 제대로 이해해야 할까?
-중국통(通) 저자의 치밀한 분석과 명쾌한 진단

저자는 어릴 적부터 한문(漢文)과 중국적인 것에 관심이 많았다. 그래서 석사과정부터 학문적 관심이 자연스럽게 중국 문제가 되었다. 타이완 국립정치대학에서 유학했고, 한·중 수교 이전부터 중국을 자주 드나들었다. 그때마다 ‘마오쩌둥이 오늘날에도 중국 정치지도자들과 인민들의 사상적 아버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그러다 보니 중화부흥과 중국몽의 뿌리는 마오쩌둥의 국제정치사상이 아닐까 하는 문제의식을 갖게 되었다.
오늘날 미·중 간 국제정치적 갈등과 경쟁 관계가 매우 복잡하게 전개되는데, 시진핑 중국의 대외정책 방향을 가늠하고 우리나라 나름의 대책을 세우기 위해서는 시진핑의 성장 과정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었던 마오쩌둥의 국제정치사상을 제대로 이해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이 책은 출발한다.
이 책에서 우리는 마오쩌둥의 국제정치사상이 싹튼 환경과 이론적 틀을 반(半)식민지론, 모순론, 반제(反帝)통일전선론 등을 중심으로 개관하고, 항일전쟁기에서 국·공 내전기를 거쳐 사회주의 건설기, 문화대혁명기 이후 마오쩌둥의 국제정치사상이 변천해온 과정을 소상하게 살펴본다. 책 후반부에서 저자는 마오쩌둥 사후 덩샤오핑에서 시진핑에 이르는 중국 외교의 정책 방향과 전략·전술의 변천 과정을 알기 쉽게 간추려 소개했다.
중국과 가까운 거리에 있는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지정학적인 이유 때문에라도 시진핑 중국의 외교정책과 전략·전술의 전개 방향을 가늠해 가면서 미리미리 대책을 세워가야 함을 저자는 역설한다. 눈앞에 펼쳐지는 중국 외교정책과 전략만 분석하면서 우리의 대책을 찾아가려는 것은 단견(短見)이고 어리석은 일이다. 제대로 분석하고 오차를 줄이기 위해 시진핑의 외교전략과 그 사상적·이론적 뿌리를 알아야 하는 이유가 여기 있다.

저자

정세현

저자:정세현
북만주출생.8·15광복후만주대륙과북한땅을거쳐환국하여부모님의고향전북오수에서성장했다.서울대학교외교학과를졸업하고동대학원에서「한비자연구」로정치학석사학위를받았다(1973).중국고대정치사상연구차대만국립정치대학정치학박사과정유학(1973~74)후서울대학교대학원에서「모택동의대외관전개에관한연구」로정치학박사학위를받았다(1982).
1977년국토통일원(통일부전신)에서공무원생활을시작했다.이후공산권연구관,남북대화운영부장,대통령비서실통일비서관,통일연구원장,통일부차관(11대),통일부장관(29대~30대),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수석부의장(18대)을역임했다.
공직에서물러난후에는명지대,경희대,이화여대,경남대에서국제정치와남북관계를강의했고,원광대총장(11대)으로도일했다.
저서로『모택동의국제정치사상』(1984),『정세현의정세토크』(2010),『정세현의통일토크』(2013),『정세현의외교토크』(2016),『담대한여정』(2018),『판문점의협상가』(2020),『정세현의통찰』(2023)등이있다.

목차


●책을내면서/왜다시마오쩌둥을알아야하나?

I마오쩌둥의국제정치사상이싹튼환경
마오쩌둥성장기의시대상황
마오쩌둥의사상적뿌리

Ⅱ마오쩌둥국제정치사상의이론적틀
반(半)식민지론
모순론
반제(反帝)통일전선론

Ⅲ마오쩌둥국제정치사상의변천
항일전쟁기의국제정치사상
국·공내전전기의국제정치사상
국·공내전후기의국제정치사상
중화인민공화국건국기의국제정치사상
사회주의적개조기의국제정치사상
사회주의건설기의국제정치사상
문화대혁명기이후국제정치사상

Ⅳ마오쩌둥사후3세계론과중국의대외관계
덩샤오핑의3세계론
3세계론의정치·경제학
3세계론과아시아

Ⅴ마오쩌둥국제정치사상이중국외교에미친영향
마오쩌둥의국제정치사상의특징
마오쩌둥의국제정치사상과중국외교

Ⅵ덩샤오핑이후중국외교전략과외교목표
덩샤오핑-쟝쩌민의‘도광앙회’,‘유소작위’
후진타오의‘화평굴기’,‘화해세계’,‘중화부흥’
시진핑의‘중국몽’

출판사 서평


트럼프2기,중국몽과‘동승서강’으로더욱고조되는갈등과긴장
우리나라의외교좌표와외교전략은?

“중국이재채기를하면조선은감기가든다.”
한-중관계의실상을단적으로집약한우스갯소리다.우리나라의국력이신장되고국제적위상이높아진오늘날이말이유효하지않다고할수도있지만,첨예한이해관계가대립되는국제정세속에이말에서온전히자유로울수없는게현실이다.
최근트럼프가차기대통령에당선되고‘트럼프2기’가가시화하면서,미-중관계의양상에대한여러가지전망은우리를한껏긴장시킨다.시진핑이추진하는동승서강[東昇西降:동방은떠오르고사방은쇠퇴한다는뜻으로,중국이미국을추월한다는‘백년대변국(百年大變局)’의핵심]을실현시키기위해중국은어떻게‘응전’할까?트럼프정부에서는오바마정부때의중국견제전략보다중국포위전략의성격이강한「인도-태평양전략」이추진되었고,정권교체이후바이든정부도「인도-태평양전략」을강화·추진했다.이는미국이민주당·공화당구분없이중국의국력증강과국제정치적영향력강화를막으려함을의미한다.트럼프가다시미국대통령으로돌아와서「인도-태평양전략」의추진강도는더강해질수도있다.그럴때「인도-태평양전략」과「일대일로전략」을둘러싼미·중갈등은더욱격화될것이다.
국제정세의변화가지구촌사람들의우려를한껏고조시키고있지만,‘중화민족의위대한부흥’곧‘중국몽’은시진핑은물론14억중국인의한결같은희망이자염원이다.건국100주년을맞이하는2049년에중국이미국의경제력을따라잡지못할지모르지만,중국의부국강병이현실로구현될가능성은상당히높다.문제는그럴때“우리나라의외교좌표를어떻게설정하고,어떤외교전략을수립하고추진해갈것인가?”하는것.습관적으로한·미동맹타령만할것인가?외교에서자국중심성을확립하고미·중등거리외교를본격화하면서국익을극대화하는외교를해나갈것인가?

‘중국인의사상적아버지’마오쩌둥,왜제대로이해해야할까?
―중국통(通)저자의치밀한분석과명쾌한진단

저자는어릴적부터한문(漢文)과중국적인것에관심이많았다.그래서석사과정부터학문적관심이자연스럽게중국문제가되었다.타이완국립정치대학에서유학했고,한·중수교이전부터중국을자주드나들었다.그때마다‘마오쩌둥이오늘날에도중국정치지도자들과인민들의사상적아버지로자리매김하고있다‘고생각하게되었다.그러다보니중화부흥과중국몽의뿌리는마오쩌둥의국제정치사상이아닐까하는문제의식을갖게되었다.
오늘날미·중간국제정치적갈등과경쟁관계가매우복잡하게전개되는데,시진핑중국의대외정책방향을가늠하고우리나라나름의대책을세우기위해서는시진핑의성장과정에커다란영향을미칠수밖에없었던마오쩌둥의국제정치사상을제대로이해해야한다는문제의식에서이책은출발한다.
이책에서우리는마오쩌둥의국제정치사상이싹튼환경과이론적틀을반(半)식민지론,모순론,반제(反帝)통일전선론등을중심으로개관하고,항일전쟁기에서국·공내전기를거쳐사회주의건설기,문화대혁명기이후마오쩌둥의국제정치사상이변천해온과정을소상하게살펴본다.책후반부에서저자는마오쩌둥사후덩샤오핑에서시진핑에이르는중국외교의정책방향과전략·전술의변천과정을알기쉽게간추려소개했다.
중국과가까운거리에있는우리나라입장에서는,지정학적인이유때문에라도시진핑중국의외교정책과전략·전술의전개방향을가늠해가면서미리미리대책을세워가야함을저자는역설한다.눈앞에펼쳐지는중국외교정책과전략만분석하면서우리의대책을찾아가려는것은단견(短見)이고어리석은일이다.제대로분석하고오차를줄이기위해시진핑의외교전략과그사상적·이론적뿌리를알아야하는이유가여기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