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아포칼립스의 대가, 크러스너호르커이 라슬로의
마침표 없는 또 다른 이야기
절망과 종말 속에서도 세계는 계속된다
마침표 없는 또 다른 이야기
절망과 종말 속에서도 세계는 계속된다
종말을 향해 질주하는 난해하고 방대한 이야기
크러스너호르커이 라슬로는 러닝타임 438분의 롱테이크 영화의 걸작 〈사탄탱고〉의 원작자로 잘 알려져 있다. 그의 작품 세계에 대해서는 “현대의 헝가리인 아포칼립스의 대가”라는 수전 손택의 언급이 가장 명확한 평가일 것이다. 이름만큼이나 어려운 그의 작품을 읽다 보면 이만큼 직관적으로 다가오는 말은 없다.
‘아포칼립스의 대가’라는 평가와는 대조적인 제목의 이 책 《세계는 계속된다》는 참으로 라슬로다운 작품이다. 그의 문장은 길고, 마침표 대신 쉼표로 연결되며, 마치 이상의 《날개》를 떠올리게 하는 서사와 기술로 복잡하면서도 모호한 의식 상태를 명료하게 드러낸다.
세계는 종말로 향해 가지만, 그럼에도 앞으로 굴러가고 계속 이어진다. 인간은 어쩔 수 없이 필연적으로 다가오는 파국을 막기 위해 헛되이 저항하지만, 그 결과는 하찮기 그지없다. 그렇다고 해서 인간에게 달리 할 수 있는 일이 있을까? 끝날 듯 끝나지 않는 이 세계에서 인간이 살아남기 위해 할 일은 무엇인가? 라슬로의 긴 이야기는 이 질문에 대한 종말론적 문학 탐구다. 그 대답은 독자 스스로 발견해야 한다.
작가는 여기, 모든 것에서, 모든 이들을 두고 떠난다는 마지막 작별 인사에서도 무한한 끈기와 영원을 언급하며 마지막 가능성을 암시하는 듯하다. “앞으로 올 일을 이미 들여다보았기에, 여기에서는 아무것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며 마지막 인사를 건네는 작가는 마치 선지자처럼 홀연히, 사뿐한 손짓을 던지고 사라진다.
“크러스너호르카이 라슬로는 거침없이 생성하는 생명력을 지녔으며 확고한 해결을 거부하는 이야기를 우리에게 선사한다. 잊을 수 없이 강렬하고, 유쾌하게 기묘하며, 거주하는 세계보다 궁극적으로는 더 커다란 이야기들을.” - 제이콥 실버만, 〈뉴욕타임스〉
종말론적 감각, 그러나 계속되는 세계
뫼비우스의 띠와 같은 무한한 미궁
종말의 작가 라슬로는 일관되게 종말과 파괴, 끝에 대해 이야기한다. 책의 제목과 같은 단편 〈세계는 계속된다〉는 9ㆍ11 테러로 무너진 쌍둥이 빌딩의 이미지를 빌려 이 세계에 닥친 종말과 파괴에 대한 이야기다. 〈보편적 테세우스〉는 어딘가에 감금된 채로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내는 강연을 다루는데, 그 강연장 너머의 세계에서는 이미 종말에 가까운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고 암시한다. 〈구룡주 교차로〉는 항상 거대한 폭포를 직접 보러 가고 싶다고 생각하면서도 한 번도 가보지 못한 남자가 술에 취한 채 상하이의 구룡주 교차로에서 헤매다가 호텔로 돌아와 TV에서 끝없이 쏟아지는 이런저런 말 사이로 폭포의 환청을 듣고 인생이란 죽음으로 완결된다는 깨달음을 얻는 순례 여행을 다룬다. 〈숲의 내리막길〉에서는 한순간의 방심이 연속되어 반드시 실현되는 파국을 그리고, 〈은행가들〉은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 사건이 일어난 장소로 향하는 사람들을 다룬다. 〈축복 없는 장소를 걸으며〉는 신성한 가르침을 잃어버린 인간들이 세운 성전이 무너지는 장면을 묘사한다. 이렇듯 라슬로의 작품 속에서 세계는 모두 재난, 전쟁, 죽음, 파국으로 향할 수밖에 없는 필연성을 지닌다.
이런 세계에서 인물들은 탈출하려다가 그 세계에 묶이고야 마는 무한의 뫼비우스 띠에 놓여 있다. 그의 소설에서 인물들은 방향을 잃거나 한자리를 빙빙 돈다. 〈서 있는 헤맴〉은 지금 있는 자리를 떠나려 하지만 그 자리에 멈춰 선 채로 전 세계를 도는 인물에 대해 언급한다. 〈언젠가 381고속도로에서〉에서는 고된 노동을 해야 하는 채석장을 떠나 숲속에 있는 오아시스 같은 궁전을 발견하지만 결국 떠나온 자리로 돌아오고야 마는 소년을 그린다. 〈저 가가린〉은 처음으로 우주 비행에 성공한 최초의 인간인 가가린을 추적하면서, 지구를 떠나려 하지만 결국은 창 아래로 떨어지고 마는 사람의 이야기다. 〈한 방울의 물〉에서는 바라나시에서 탈출하려 하지만 계속 탈출의 순간만 반복한다.
종말과 끝이 다가오고 있는, 혹은 다가온 이 세계에서 우리는 모두 탈출을 꿈꾼다. 그러나 탈출은 번번이 실패한다. 다시 있던 자리로 돌아가거나 그 자리에 멈춰 서는 것만이 인간의 숙명인 것 같다.
똑같은 강물에 두 번 발 담글 수 없기에
세계는 끝나도 앞으로 나아가는 인간의 이야기
이 책에서 계속 반복되는 모티프 중 하나인 헤라클레이토스의 만물 유전의 세계관은 개인의 삶뿐 아니라 전체를 관통한다. 〈속도에 관하여〉는 지구의 자전 속도를 넘어서려 할수록 인간은 결국 지구의 속도에 맞추고 만다고 설명한다. 인간은 세계를 넘어서 존재할 수 없고, 결국 자신 앞에 주어진 현실, 이 순간, 세부 분야만을 인식할 수 있을 뿐이다. 즉, 우리는 현실이라는 미궁에 갇힌 존재다. 한 방울의 물 같은 개인이 모여 삶과 죽음의 강물을 이루고 그것이 흘러가 폭포로 떨어지지만, 정작 그에 속한 개인은 강물도, 폭포도 볼 수 없고 예측할 수 없다.
〈모두 다 해서 100명의 사람〉에서는 오래전 성인의 말씀도 100명의 입을 거치면 원래의 아우라를 잃고 말듯, 역사는 재해석과 재구성의 역사임을 보여준다. 인간이 전체를 볼 수 있는 순간은 죽음뿐이다. 그러나 라슬로는 인간은 이런 예측 불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전체를 이해하고 사회와 역사를 바라보려 끊임없이 노력하는 존재라고 말한다. 그렇기에 종말론적인 비관적 시선에 숭고한 역설이 깃든다. 그렇기에 이 소설은 인간의 한계를 통찰하면서도 그를 넘어서려 헛된 노력을 그치지 않는 문학에 대한 경의이기도 하다.
그렇기에 세계는 끝나도 앞으로 나아가는 인간에 대한 이야기는 난해할 수밖에 없다. “긴 문장이 내게는 더 드라마틱하게 느껴진다. 몇 페이지에 걸쳐 펼쳐지는 한 문장을 쓸 때 커다란 자유를 느낀다”라는 라슬로의 말에 공감하게 된다. 인칭이 분리되지 않고, 관점이 명확하지 않은 문체는 그렇기에 자연스럽다. 작품의 인물들이 미궁을 헤매듯, 문장도 출구 없이 질주하다가 마지막에 이르러서야 마침표로 끝난다. 이야기는 끝나도, 끝나지 않는다.
크러스너호르커이 라슬로는 러닝타임 438분의 롱테이크 영화의 걸작 〈사탄탱고〉의 원작자로 잘 알려져 있다. 그의 작품 세계에 대해서는 “현대의 헝가리인 아포칼립스의 대가”라는 수전 손택의 언급이 가장 명확한 평가일 것이다. 이름만큼이나 어려운 그의 작품을 읽다 보면 이만큼 직관적으로 다가오는 말은 없다.
‘아포칼립스의 대가’라는 평가와는 대조적인 제목의 이 책 《세계는 계속된다》는 참으로 라슬로다운 작품이다. 그의 문장은 길고, 마침표 대신 쉼표로 연결되며, 마치 이상의 《날개》를 떠올리게 하는 서사와 기술로 복잡하면서도 모호한 의식 상태를 명료하게 드러낸다.
세계는 종말로 향해 가지만, 그럼에도 앞으로 굴러가고 계속 이어진다. 인간은 어쩔 수 없이 필연적으로 다가오는 파국을 막기 위해 헛되이 저항하지만, 그 결과는 하찮기 그지없다. 그렇다고 해서 인간에게 달리 할 수 있는 일이 있을까? 끝날 듯 끝나지 않는 이 세계에서 인간이 살아남기 위해 할 일은 무엇인가? 라슬로의 긴 이야기는 이 질문에 대한 종말론적 문학 탐구다. 그 대답은 독자 스스로 발견해야 한다.
작가는 여기, 모든 것에서, 모든 이들을 두고 떠난다는 마지막 작별 인사에서도 무한한 끈기와 영원을 언급하며 마지막 가능성을 암시하는 듯하다. “앞으로 올 일을 이미 들여다보았기에, 여기에서는 아무것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며 마지막 인사를 건네는 작가는 마치 선지자처럼 홀연히, 사뿐한 손짓을 던지고 사라진다.
“크러스너호르카이 라슬로는 거침없이 생성하는 생명력을 지녔으며 확고한 해결을 거부하는 이야기를 우리에게 선사한다. 잊을 수 없이 강렬하고, 유쾌하게 기묘하며, 거주하는 세계보다 궁극적으로는 더 커다란 이야기들을.” - 제이콥 실버만, 〈뉴욕타임스〉
종말론적 감각, 그러나 계속되는 세계
뫼비우스의 띠와 같은 무한한 미궁
종말의 작가 라슬로는 일관되게 종말과 파괴, 끝에 대해 이야기한다. 책의 제목과 같은 단편 〈세계는 계속된다〉는 9ㆍ11 테러로 무너진 쌍둥이 빌딩의 이미지를 빌려 이 세계에 닥친 종말과 파괴에 대한 이야기다. 〈보편적 테세우스〉는 어딘가에 감금된 채로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내는 강연을 다루는데, 그 강연장 너머의 세계에서는 이미 종말에 가까운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고 암시한다. 〈구룡주 교차로〉는 항상 거대한 폭포를 직접 보러 가고 싶다고 생각하면서도 한 번도 가보지 못한 남자가 술에 취한 채 상하이의 구룡주 교차로에서 헤매다가 호텔로 돌아와 TV에서 끝없이 쏟아지는 이런저런 말 사이로 폭포의 환청을 듣고 인생이란 죽음으로 완결된다는 깨달음을 얻는 순례 여행을 다룬다. 〈숲의 내리막길〉에서는 한순간의 방심이 연속되어 반드시 실현되는 파국을 그리고, 〈은행가들〉은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 사건이 일어난 장소로 향하는 사람들을 다룬다. 〈축복 없는 장소를 걸으며〉는 신성한 가르침을 잃어버린 인간들이 세운 성전이 무너지는 장면을 묘사한다. 이렇듯 라슬로의 작품 속에서 세계는 모두 재난, 전쟁, 죽음, 파국으로 향할 수밖에 없는 필연성을 지닌다.
이런 세계에서 인물들은 탈출하려다가 그 세계에 묶이고야 마는 무한의 뫼비우스 띠에 놓여 있다. 그의 소설에서 인물들은 방향을 잃거나 한자리를 빙빙 돈다. 〈서 있는 헤맴〉은 지금 있는 자리를 떠나려 하지만 그 자리에 멈춰 선 채로 전 세계를 도는 인물에 대해 언급한다. 〈언젠가 381고속도로에서〉에서는 고된 노동을 해야 하는 채석장을 떠나 숲속에 있는 오아시스 같은 궁전을 발견하지만 결국 떠나온 자리로 돌아오고야 마는 소년을 그린다. 〈저 가가린〉은 처음으로 우주 비행에 성공한 최초의 인간인 가가린을 추적하면서, 지구를 떠나려 하지만 결국은 창 아래로 떨어지고 마는 사람의 이야기다. 〈한 방울의 물〉에서는 바라나시에서 탈출하려 하지만 계속 탈출의 순간만 반복한다.
종말과 끝이 다가오고 있는, 혹은 다가온 이 세계에서 우리는 모두 탈출을 꿈꾼다. 그러나 탈출은 번번이 실패한다. 다시 있던 자리로 돌아가거나 그 자리에 멈춰 서는 것만이 인간의 숙명인 것 같다.
똑같은 강물에 두 번 발 담글 수 없기에
세계는 끝나도 앞으로 나아가는 인간의 이야기
이 책에서 계속 반복되는 모티프 중 하나인 헤라클레이토스의 만물 유전의 세계관은 개인의 삶뿐 아니라 전체를 관통한다. 〈속도에 관하여〉는 지구의 자전 속도를 넘어서려 할수록 인간은 결국 지구의 속도에 맞추고 만다고 설명한다. 인간은 세계를 넘어서 존재할 수 없고, 결국 자신 앞에 주어진 현실, 이 순간, 세부 분야만을 인식할 수 있을 뿐이다. 즉, 우리는 현실이라는 미궁에 갇힌 존재다. 한 방울의 물 같은 개인이 모여 삶과 죽음의 강물을 이루고 그것이 흘러가 폭포로 떨어지지만, 정작 그에 속한 개인은 강물도, 폭포도 볼 수 없고 예측할 수 없다.
〈모두 다 해서 100명의 사람〉에서는 오래전 성인의 말씀도 100명의 입을 거치면 원래의 아우라를 잃고 말듯, 역사는 재해석과 재구성의 역사임을 보여준다. 인간이 전체를 볼 수 있는 순간은 죽음뿐이다. 그러나 라슬로는 인간은 이런 예측 불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전체를 이해하고 사회와 역사를 바라보려 끊임없이 노력하는 존재라고 말한다. 그렇기에 종말론적인 비관적 시선에 숭고한 역설이 깃든다. 그렇기에 이 소설은 인간의 한계를 통찰하면서도 그를 넘어서려 헛된 노력을 그치지 않는 문학에 대한 경의이기도 하다.
그렇기에 세계는 끝나도 앞으로 나아가는 인간에 대한 이야기는 난해할 수밖에 없다. “긴 문장이 내게는 더 드라마틱하게 느껴진다. 몇 페이지에 걸쳐 펼쳐지는 한 문장을 쓸 때 커다란 자유를 느낀다”라는 라슬로의 말에 공감하게 된다. 인칭이 분리되지 않고, 관점이 명확하지 않은 문체는 그렇기에 자연스럽다. 작품의 인물들이 미궁을 헤매듯, 문장도 출구 없이 질주하다가 마지막에 이르러서야 마침표로 끝난다. 이야기는 끝나도, 끝나지 않는다.
세계는 계속된다 : The World Goes On - 알마 인코그니타 (양장)
$2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