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아 - GD bis 시리즈 (타입 에디션)

누아 - GD bis 시리즈 (타입 에디션)

$18.50
Description
흑백의 활자 세계,
모든 빛과 색을 품은 이미지 세계
두 이질적인 우주가 빚어내는 어린 왕자의 영원한 노래

저자

신유진

저자:신유진
작가이자번역가.파리8대학에서연극학석사과정을마쳤다.옮긴책으로베티본의《프루스트의마들렌》,티아구호드리게스의《소프루》와아니에르노의《빈옷장》《남자의자리》《세월》《사진의용도》《진정한장소》,에르베기베르의《연민의기록》등이,엮고옮긴책으로《생텍쥐페리의문장들》등이있다.산문집《창문너머어렴풋이》《몽카페》《열다섯번의낮》《열다섯번의밤》을지었다.

그림:장종완
1983년부산에서태어났고,대학에서회화를전공했다.파운드리서울(2023),아라리오뮤지엄(2020)등에서개인전을개최했으며,서울시립미술관(2024),일민미술관(2021),국립현대미술관청주관(2019)등에서여러단체전에참여했다.
자연의이미지들을수집한후재조합하고의인화하는과정을거쳐초현실적인풍경과상황을만들고이를다양한방식으로작업에담아내고있다.작품을통해일반적인미의기준과사회의통념을비틀고,거대한사회속에서개인이마주하는불안과부조리를희극적으로번역하고있다.

목차


그어둠속,어린왕자는_Nyhavn..5

등장인물..10
프롤로그:상자를열기전에..11

1장하나의극이시작되면..17

전환의장하나의극이끝나고나면..81

이야기는상자와닮아서_신유진..121
어떤행성_장종완..124

출판사 서평


현실과상상,존재와부재의경계를넘나들며
영원한시간을살고있는어린왕자
그가도달했을새로운우주에대한상상

《누아Noir》,이책은어느어두운새벽,하나의질문에서시작되었다.
우리에게영원한동경과그리움의대상인어린왕자.그는지금어떤세계에서어떤모습으로지내고있을까?우리가익히알고있는그의모습은이미사라져버리고그는새로운우주에서새로운모습으로살아가고있지않을까?
이질문은글을빚어내는작가와이미지를창조하는미술가의만남을이끌어냈고,우리는신유진의글에장종완의그림이결합한책이아니라두작가가각자상상하고창조해낸두이질적인세계,즉‘어린왕자가없는어린왕자의세계’가새로이변주되는장면을목격하게되었다.
신유진작가가창조해낸세계는칠흑같은어둠과순백의흰색만존재하는흑백의세계다.조종사와헤어진후어린왕자는삶과죽음사이의세계,그기다림의공간에서‘화면’과‘소리’로만자신의삶을기억할뿐더이상아무것도감각하지못한채,영원히반복되는‘똑같은오늘’을살고있다.신유진작가는이런세계를떠올리게된이유를이렇게설명한다.

어린왕자와생텍쥐페리의공통점은‘사라졌다’는결말이다.어린왕자는사막에서,생텍쥐페리는정찰기가추락한바다에서.빛과소리를흡수해버린사막의모래와깊은바다.그어둠과적막속에서끝난이야기를다시이어간다면…….나의‘어린왕자다시쓰기’프로젝트는바로거기에서출발했다.어둠속에서빛을구하기,적막속에서소리를되찾기,결말을다시열기.나는그것이연극의시작과닮았다고생각했다.배우는어둠속에서걸어나와빛의자리를찾아나서고,극의언어는시공간을창조하며,끝인것만같은순간에도이야기는가느다란희망을만들기때문에.그래서희곡이어야했다.그세계는그렇게이어져야했다._〈이야기는상자와닮아서〉

한편장종완작가는어린왕자가어른으로성장해살고있을세계를색으로표현하면서대한민국의현재를살아가고있는사람들의주요한경험을접목시킴으로써지금까지누구도시도하지않았던어린왕자의세계를만들어냈다.

우주적인풍경을그리고싶다는막연한생각을품고있던시기에알마출판사안지미대표로부터생텍쥐페리의《어린왕자》를어린왕자가없는새로운작품으로재창작하는프로젝트를해보자는제안을받았다.당시약간은운명이라느꼈던것같다.(…)

어린왕자는어떤어른으로성장했을까?
상자속양들이구멍을통해밖을본다면?
어린왕자가살던별이바오밥나무로뒤덮인다면어떤풍경일까?

이런상상을하다보니엉뚱하게도군복무시절의경험이떠올랐다.
그림의주색인녹색과분홍색은군복무시절야간훈련중사용한적외선조준경과팬데믹시기에흔히보던열감지특수카메라의화면에서착안했다.적외선이사람의눈에는보이지않는것을포착하는것처럼이러한색감의그림을통해누구에게나익숙한《어린왕자》의세계에서벗어나그너머의새로운세계를그려내고싶었다._〈어떤행성〉

무無로부터시작되어태어난이야기,《누아》
알마출판사의오랜희곡사랑이
국내창작희곡의기획과낭독극으로이어지다

희곡은다양한출판물가운데많은독자들의사랑과관심을끌기쉽지않은,비주류에속하는분야다.그럼에도알마출판사는오랫동안국내외의수준높은희곡들을뚝심있게소개하여희곡의저변확대에크게기여해왔다.특히알마출판사가출간한작품들은모두우리시대의희곡으로국내에서전부공연되었다는특징을가지고있다.
지금까지알마출판사가“아름다운가상을만들어내는활자극장”,즉GD(GraphicDionysus)시리즈로소개한작품은13편에이른다.이작품들은〈월간알마낭독극장〉과〈알마페스타〉라는낭독모임또는낭독공연모임을통해독자들과함께호흡해왔다.독자들이직접희곡을낭독하는〈월간알마낭독극장〉은2023년여름시작된이래매달1회씩,1년간진행되었고〈알마페스타〉는2024년10월시작되어2개월동안여덟차례모임을갖는동안130여명의독자들이참여하는등큰호응을이끌어냈다.이낭독모임은희곡을사랑하는독자들뿐만아니라해당작품이무대에올랐을때참여한연출가와배우들도함께하면서무대에서와는또다른연극의에너지,희곡의진가가발휘되는장이되어왔다.
이렇게낭독모임에서소개된것가운데몇작품만소개해보자.마에카와도모히로의《태양》은이작품을연출한김정연출가와가쓰야역의김도완배우가,김은성의《빵야》는김은성작가와길남역을연기한최정우배우가각각참여해독자들의열렬한지지를이끌어내었다.이외에도린노티지의《스웨트》는오스카역의김세환배우,황정은의《노스체》는노스체역의최희진배우가낭독모임에참여해알마출판사만의독보적인예술파워를보여주었다.
그리고이제알마출판사는한단계더도약해직접기획하고제작하는새로운창작희곡시리즈,즉GDbis를시작한다.시리즈의처음을여는《누아》는두가지표지,즉‘색을잃은활자의세계’를표상하는타입에디션Typeediton과‘모든색과빛을품은’타블로에디션Tableauedition으로제작되어신유진,장종완작가가각자해석한어린왕자의세계를직관적으로보여준다.그리고12월18일∼19일배우홍지인,박현숙과김정연출가의연출로낭독공연되었다.
김정은2017년연극〈손님들〉로동아연극상신인연출상을받고,2018년두산연강예술상공연부문을수상하는등우리시대를새로이대표하는젊은연출가이다.고전에서부터번역극,창작희곡등다양한작품에서창의적이고디테일한해석으로텍스트에생명력을불어넣어온김정연출의〈누아〉를통해우리는안지미,신유진,장종완,김정이라는이시대최고예술가들의협업으로탄생한보석같은작품의정수를맛보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