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년, 희망의 순례자 : 2025년 사순묵상수첩

희년, 희망의 순례자 : 2025년 사순묵상수첩

$5.38
Description
희년을 맞아 ‘희망의 순례자’로 나서자
2025년 희년을 맞았다. 이번 사순 시기에도 복음을 쓰고 묵상하며 주님 부활을 기쁘게 맞이하자. 올해 〈사순묵상수첩〉은 ‘희년, 희망의 순례자’를 주제로 한다. 나와 하느님의 관계, 나와 이웃 관계, 나 자신과의 관계를 성찰하고 악습을 끊고 새롭게 살겠다는 회심의 시간을 일구어 ‘희망의 순례자’로 나서자. 여기에 2025년 〈사순묵상수첩〉이 함께하고자 한다.

사순 시기 동안 매일 말씀을 따라 성경 구절을 필사하고 실천한다.
3월 5일(재의 수요일)부터 4월 20일(주님 부활 대축일)까지 사순 시기 동안, 매일 성경 말씀을 묵상하고, 기도하면서 예수님과 함께 걷기 실천을 권한다. 그리고 오늘의 복음을 직접 필사할 수 있도록 꾸몄다. 수첩을 펼치면, 왼쪽 면에는 ‘말씀’, ‘묵상’, ‘실천’을 담았고 오른쪽 면은 ‘오늘의 복음’을 쓸 수 있도록 성경 구절 안내와 22줄의 필사 지면이 있다. 수첩의 마지막 쪽에는 ‘실천표’를 두어 매일 ‘복음 쓰기’와 ‘묵주기도’, ‘스마트폰을 잠시 내려놓고 예수님과 함께 걷기’를 실천했는지 스스로 체크할 수 있게 했다.

46가지 주제를 잡고, 현실의 풍부한 사례를 들어 묵상한다.
재의 예식 주간은 재의 예식의 의미, 선택, 단식과 단념, 회개를 위한 준비를 주제로 하며, 하느님이 주신 자유의지에 따른 선택권, 이웃에 관심을 두는 삶, 자신 대면하기를 살피며 사순 시기를 열어간다.
1주간은 자아실현, 심판, 기도 방법, 회개, 화해, 상대와 나의 다름, 십자가 희생을 주제로 심리학자 매슬로의 욕구 5단계, 미켈란젤로의 〈최후의 심판〉, 요나 이야기, MBTI 검사, 라파엘로 산치오의 작품 〈그리스도의 변모〉를 소재로 묵상한다.
2주간은 용서의 방법, 겸손의 의미, 인내, 사람들과 공감, 미움받을 용기, 형제 간의 질투를 주제로 하며, 1988년 시작한 평신도협의회의 신뢰 회복 운동, 다큐멘터리 〈극한 직업〉, 성 요셉의 배려, 부자 라자로의 메마른 마음, 포도밭에서 나의 역할, 렘브란트의 〈탕자의 귀향〉을 글감으로 이야기를 펼친다.
3주간은 인정과 고백(회개), 확증편향의 함정, 영혼의 어머니(순종), 율법의 완성은 사랑, 미사 참례, 경청, 기도를 주제로 한다. 바오로 사도와 베드로 사도의 회개, 고향에서 배척당하는 예수, 프란치스코 교종의 「사람의 기쁨」과 ‘인공지능과 평화’, 냉담자의 변명, 바리사이와 세리의 기도를 사례로 들었다.
4주간은 부모의 사랑, 간절함, 치유, 신원, 성경의 힘, 희망과 인내, 가짜 뉴스를 주제로 심리학자 아들러의 ‘출생 순위’ 이론, 교우의 미사책 앞표지 글귀, 내면의 아이 들어내기, 삼위일체, 성경 읽기, 이자벨 미뇨스 마르틴스의 「씨앗 100개가 어디로 갔을까」, 악성 댓글을 소재로 삼아 묵상을 인도한다.
5주간은 정의 중독, 빛의 자녀, 정체성, 애덕, 소통, 편견과 아집, 이웃의 행복이란 주제를, 율법학자나 바리사이의 ‘나만 옳고 남은 틀렸다’, 등불을 들고 가는 시각장애인, 헨리 나웬 신부의 ‘당신은 누구일까’, 진정 슬기로운 사람, 장미꽃 선물, 유다인이 말하는 신성모독, 카야파 대사제의 말을 사례로 설명한다.
성주간은 ‘거룩한 낭비’, 유혹, 배신, 사랑, 자기희생, 부활을 주제로 묵상하며, 마리아의 순나르드 향유, 유다의 ‘하느님을 떠보고 싶은 욕망’과 인간적인 계산, 주님 만찬, 기차에서 들은 대화, 새로운 삶을 소재로 이야기한다.

열두 번째 출간인 〈사순묵상수첩〉을 이제 서점에서도 만난다.
〈사순묵상수첩〉은 2011년부터 2025년까지 총 열세 번째 출간이다. 이 책을 출간한 ‘한국가톨릭문화연구원’은 1985년 설립해 40년 동안 한국 문화의 복음화와 복음의 토착화 방안을 연구해 왔고, 사회 이슈를 사목의 대안으로 탐구해 교회에 제시해 왔다.

저자

김민수,오현희

저자:김민수이냐시오신부(언론학박사)
1985년에사제서품을받았고,현재상봉동성당주임신부,한국가톨릭문화연구원원장직을맡고있다.저서로는『디지털시대의문화복음화와문화사목』(2008),『아홉성자의선교이야기』(2009),『행복한사람들』(2015),『본당사목,문화를입다』(2017),『문화를읽어주는예수』(2020),그리고『문화를읽으면신앙이보인다』(2025)가있다.

저자:오현희세실리아(교육학석사,상담심리학석사)
천주교서울대교구혼인교리강사로활동했으며,천주교스마트쉼문화운동본부본부장을역임했다.저서로는『사순단상』(2022),『사순묵상수첩』(2023,2024)이있다.

목차

-

출판사 서평

희년을맞아‘희망의순례자’로나서자

2025년희년을맞았다.이번사순시기에도복음을쓰고묵상하며주님부활을기쁘게맞이하자.올해<사순묵상수첩>은‘희년,희망의순례자’를주제로한다.나와하느님의관계,나와이웃관계,나자신과의관계를성찰하고악습을끊고새롭게살겠다는회심의시간을일구어‘희망의순례자’로나서자.여기에2025년<사순묵상수첩>이함께하고자한다.

사순시기동안매일말씀을따라성경구절을필사하고실천한다.

3월5일(재의수요일)부터4월20일(주님부활대축일)까지사순시기동안,매일성경말씀을묵상하고,기도하면서예수님과함께걷기실천을권한다.그리고오늘의복음을직접필사할수있도록꾸몄다.수첩을펼치면,왼쪽면에는‘말씀’,‘묵상’,‘실천’을담았고오른쪽면은‘오늘의복음’을쓸수있도록성경구절안내와22줄의필사지면이있다.수첩의마지막쪽에는‘실천표’를두어매일‘복음쓰기’와‘묵주기도’,‘스마트폰을잠시내려놓고예수님과함께걷기’를실천했는지스스로체크할수있게했다.

46가지주제를잡고,현실의풍부한사례를들어묵상한다.
재의예식주간은재의예식의의미,선택,단식과단념,회개를위한준비를주제로하며,하느님이주신자유의지에따른선택권,이웃에관심을두는삶,자신대면하기를살피며사순시기를열어간다.

1주간은자아실현,심판,기도방법,회개,화해,상대와나의다름,십자가희생을주제로심리학자매슬로의욕구5단계,미켈란젤로의<최후의심판>,요나이야기,MBTI검사,라파엘로산치오의작품<그리스도의변모>를소재로묵상한다.

2주간은용서의방법,겸손의의미,인내,사람들과공감,미움받을용기,형제간의질투를주제로하며,1988년시작한평신도협의회의신뢰회복운동,다큐멘터리<극한직업>,성요셉의배려,부자라자로의메마른마음,포도밭에서나의역할,렘브란트의<탕자의귀향>을글감으로이야기를펼친다.

3주간은인정과고백(회개),확증편향의함정,영혼의어머니(순종),율법의완성은사랑,미사참례,경청,기도를주제로한다.바오로사도와베드로사도의회개,고향에서배척당하는예수,프란치스코교종의?사람의기쁨?과‘인공지능과평화’,냉담자의변명,바리사이와세리의기도를사례로들었다.

4주간은부모의사랑,간절함,치유,신원,성경의힘,희망과인내,가짜뉴스를주제로심리학자아들러의‘출생순위’이론,교우의미사책앞표지글귀,내면의아이들어내기,삼위일체,성경읽기,이자벨미뇨스마르틴스의??씨앗100개가어디로갔을까??,악성댓글을소재로삼아묵상을인도한다.

5주간은정의중독,빛의자녀,정체성,애덕,소통,편견과아집,이웃의행복이란주제를,율법학자나바리사이의‘나만옳고남은틀렸다’,등불을들고가는시각장애인,헨리나웬신부의‘당신은누구일까’,진정슬기로운사람,장미꽃선물,유다인이말하는신성모독,카야파대사제의말을사례로설명한다.

성주간은‘거룩한낭비’,유혹,배신,사랑,자기희생,부활을주제로묵상하며,마리아의순나르드향유,유다의‘하느님을떠보고싶은욕망’과인간적인계산,주님만찬,기차에서들은대화,새로운삶을소재로이야기한다.

열두번째출간인<사순묵상수첩>을이제서점에서도만난다.
<사순묵상수첩>은2011년부터2025년까지총열세번째출간이다.이책을출간한‘한국가톨릭문화연구원’은1985년설립해40년동안한국문화의복음화와복음의토착화방안을연구해왔고,사회이슈를사목의대안으로탐구해교회에제시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