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창작 기간 60년, 한국 여성문학사상 가장 오랜 활동을 한 박화성과
폭넓은 스펙트럼의 서사와 상상력을 지닌 박서련 작가가 만나다
폭넓은 스펙트럼의 서사와 상상력을 지닌 박서련 작가가 만나다
최초의 근대 여성 작가 김명순이 데뷔한 지 한 세기가 지났다. ‘소설, 잇다’는 이 시점에서 근대 여성 작가와 현대 여성 작가의 백 년 시공을 뛰어넘는 만남을 통해 한국문학의 또 다른 근원과 현재를 보여주고자 기획되었다. 그 여섯 번째 책으로, 한국문학사에서 가장 오랜 시간 활동해온 여성 작가인 박화성과 장르와 형식을 넘나들며 새로운 서사와 상상력을 선보여온 박서련의 작품을 담은 『정세에 합당한 우리 연애』가 출간되었다. ‘소설, 잇다’는 강경애와 한유주, 나혜석과 백수린의 소설들을 계속 선보일 예정이다.
1932년 《동아일보》에 『백화』를 연재하면서 한국 문학사상 최초로 장편소설을 쓴 여성 작가로 기록된 박화성. 그는 데뷔작 「추석전야」를 비롯해 「하수도 공사」, 「홍수전후」 등을 통해 노동자와 민중, 여성 들이 억압받는 부조리한 현실을 사실적으로 그려내어 “근대 한국문학의 출발점에 큰 시사점을 던진다”는(김주연 평론가) 평을 받은 작가다. 선구자적 면모를 지녔지만 당시 문단은 그에게 ‘여류작가’라는 굴레를 씌웠는데 그럼에도 그는 사회적 역사적 약자의 편에 서서 목소리를 높였으며, 온전히 ‘작가’로 바로서기 위해 많은 한계와 장벽에 맞서 싸웠다.
첫 장편 『체공녀 강주룡』으로 제23회 한겨레문학상을 수상하며 “전혀 다른 여성 서사”(서영인 평론가)라는 상찬과 함께 등장한 박서련은 역사소설, SF, 판타지, 청소년문학 등 발표하는 작품마다 자신만의 서사를 갱신해왔다. 매년 한 권 이상의 작품을 선보이는 왕성한 기량을 발휘해온 그는 최초의 고공농성 노동자 ‘강주룡’을 세상 밖으로 끄집어낸 것을 시작으로, 성폭력 가해자에게 응징을 가하는 청년 여성 ‘수아’(『마르타의 일』), 사랑의 연대를 실천하는 스무 살 ‘설희’(『더 셜리 클럽』), 욕망하는 주체로 구현한 삼국지의 미녀 ‘초선’에(『폐월; 초선전』) 이르기까지 다채로운 여성 인물들을 선보였다.
박화성의 문학은 주로 해방 전과 해방 후로 나뉘는데, 이 책에는 해방 전 그가 가장 활발하게 집필하던 시기의 대표 중단편 「하수도 공사」(1932), 「홍수전후」(1934), 「호박」(1937)이 수록되어 있다. 세 편의 소설들은 모두 빈궁한 식민지 조선의 현실을 배경으로 하면서 내부적으로는 가부장제라는 이중의 고초를 겪는 여성 인물들의 모습이 그려진다. 「하수도 공사」는 실업구제라는 명목하에 벌인 하수도 공사의 동맹파업을 다룬 작품으로, 노동자 대표 서동권의 애인인 ‘용희’를 통해 계급의식의 각성과 그로 인한 갈등 및 모순을 보여준다. 「홍수전후」에서는 35년 만의 대홍수로 목숨을 잃은 어린 딸 ‘쌀례’를 등장시켜 빈부격차에 비례하는 자연재해의 피해와 농민들의 참상을 드러낸다. 「호박」의 ‘음전’은 대흉년이 들어 시멘트 공장이 있는 객지로 내몰린 약혼자를 하염없이 기다리지만, 전해 온 것은 함께 떠난 약혼자의 형수가 사망했다는 소식이다.
박서련의 소설 「정세에 합당한 우리 연애」는 박화성의 「하수도 공사」를 변주한 작품이다. 인문학 독서 동아리 ‘유독’의 회장인 진은 총여학생회의 재건이라는 포부를 안고 총학생회장 선거에 출마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다. 진의 레즈비언 애인인 림도 그를 적극 돕지만 선거 당선을 위해 둘의 관계를 비밀에 부쳐야만 하는 현실에 불만을 느낀다. 일제의 착취에 저항하는 동맹 파업이라는 「하수도 공사」의 “민족적 대의”는 이 소설에서 “총여학생회 재건”이란 화두로 옮겨지는데, 작품의 큰 문제의식은 “여성의 인권과 권리”라는 주제와 맞닿아 있다.(전청림 평론가) 그리고 소설은 박화성의 시대부터 대의명분 아래 배제해온 ‘여성’의 얼굴을, 퀴어를 벽장 속에 가두는 세계의 폭력성 안으로 옮겨 가면서 다시금 또렷이 비춘다. 백 년 전 박화성의 소설에서 거듭 묻고도 거듭 그 대답이 좌절되었던 식민지 청년 여성 용희의 질문은, 이처럼 박서련에게로 건너와 지금 여기를 살아가는 우리들의 현재를 관통하는 물음으로 나아가고 있다.
1932년 《동아일보》에 『백화』를 연재하면서 한국 문학사상 최초로 장편소설을 쓴 여성 작가로 기록된 박화성. 그는 데뷔작 「추석전야」를 비롯해 「하수도 공사」, 「홍수전후」 등을 통해 노동자와 민중, 여성 들이 억압받는 부조리한 현실을 사실적으로 그려내어 “근대 한국문학의 출발점에 큰 시사점을 던진다”는(김주연 평론가) 평을 받은 작가다. 선구자적 면모를 지녔지만 당시 문단은 그에게 ‘여류작가’라는 굴레를 씌웠는데 그럼에도 그는 사회적 역사적 약자의 편에 서서 목소리를 높였으며, 온전히 ‘작가’로 바로서기 위해 많은 한계와 장벽에 맞서 싸웠다.
첫 장편 『체공녀 강주룡』으로 제23회 한겨레문학상을 수상하며 “전혀 다른 여성 서사”(서영인 평론가)라는 상찬과 함께 등장한 박서련은 역사소설, SF, 판타지, 청소년문학 등 발표하는 작품마다 자신만의 서사를 갱신해왔다. 매년 한 권 이상의 작품을 선보이는 왕성한 기량을 발휘해온 그는 최초의 고공농성 노동자 ‘강주룡’을 세상 밖으로 끄집어낸 것을 시작으로, 성폭력 가해자에게 응징을 가하는 청년 여성 ‘수아’(『마르타의 일』), 사랑의 연대를 실천하는 스무 살 ‘설희’(『더 셜리 클럽』), 욕망하는 주체로 구현한 삼국지의 미녀 ‘초선’에(『폐월; 초선전』) 이르기까지 다채로운 여성 인물들을 선보였다.
박화성의 문학은 주로 해방 전과 해방 후로 나뉘는데, 이 책에는 해방 전 그가 가장 활발하게 집필하던 시기의 대표 중단편 「하수도 공사」(1932), 「홍수전후」(1934), 「호박」(1937)이 수록되어 있다. 세 편의 소설들은 모두 빈궁한 식민지 조선의 현실을 배경으로 하면서 내부적으로는 가부장제라는 이중의 고초를 겪는 여성 인물들의 모습이 그려진다. 「하수도 공사」는 실업구제라는 명목하에 벌인 하수도 공사의 동맹파업을 다룬 작품으로, 노동자 대표 서동권의 애인인 ‘용희’를 통해 계급의식의 각성과 그로 인한 갈등 및 모순을 보여준다. 「홍수전후」에서는 35년 만의 대홍수로 목숨을 잃은 어린 딸 ‘쌀례’를 등장시켜 빈부격차에 비례하는 자연재해의 피해와 농민들의 참상을 드러낸다. 「호박」의 ‘음전’은 대흉년이 들어 시멘트 공장이 있는 객지로 내몰린 약혼자를 하염없이 기다리지만, 전해 온 것은 함께 떠난 약혼자의 형수가 사망했다는 소식이다.
박서련의 소설 「정세에 합당한 우리 연애」는 박화성의 「하수도 공사」를 변주한 작품이다. 인문학 독서 동아리 ‘유독’의 회장인 진은 총여학생회의 재건이라는 포부를 안고 총학생회장 선거에 출마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다. 진의 레즈비언 애인인 림도 그를 적극 돕지만 선거 당선을 위해 둘의 관계를 비밀에 부쳐야만 하는 현실에 불만을 느낀다. 일제의 착취에 저항하는 동맹 파업이라는 「하수도 공사」의 “민족적 대의”는 이 소설에서 “총여학생회 재건”이란 화두로 옮겨지는데, 작품의 큰 문제의식은 “여성의 인권과 권리”라는 주제와 맞닿아 있다.(전청림 평론가) 그리고 소설은 박화성의 시대부터 대의명분 아래 배제해온 ‘여성’의 얼굴을, 퀴어를 벽장 속에 가두는 세계의 폭력성 안으로 옮겨 가면서 다시금 또렷이 비춘다. 백 년 전 박화성의 소설에서 거듭 묻고도 거듭 그 대답이 좌절되었던 식민지 청년 여성 용희의 질문은, 이처럼 박서련에게로 건너와 지금 여기를 살아가는 우리들의 현재를 관통하는 물음으로 나아가고 있다.
정세에 합당한 우리 연애 : 박화성과 박서련의 - 소설, 잇다 6
$1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