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오십을 앞두고 ‘태권도 꿈나무’에 도전장을 내민
우량한 아줌마의 쾌감이 짜르르 전해진다!”
모든 압박감과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평화의 무예’
온갖 다이어트와 씨름하다 열혈 태권도 전도사가 된
20년 차 심리학자의 ‘심신단련 성공기’
우량한 아줌마의 쾌감이 짜르르 전해진다!”
모든 압박감과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평화의 무예’
온갖 다이어트와 씨름하다 열혈 태권도 전도사가 된
20년 차 심리학자의 ‘심신단련 성공기’
“태권도는 애들 운동 아니냐고요?”
방바닥을 뒹굴거리길 좋아하던 중년의 심리학자는
어떻게 날쌔게 발차기하고 핵주먹을 날리는 무도인이 될 수 있었을까?
우리는 태권도를 유아동기 보육을 겸한 흥미위주의 체력 증진 활동으로 혹은 국제 행사에서 기예에 가까운 현란한 발차기와 격파를 선보이는 ‘넘사벽’ 시범단의 모습으로 접한다. 아이 손을 끌고 태권도장에 갔던 학부모는 대기실에 앉아 아이의 수련 모습을 뿌듯하게 지켜볼 뿐 직접 자신이 태권도를 배울 생각은 하지 않는다. 하지만 실제로는 생각보다 많은 성인 여성들이 태권도를 심신단련의 목적으로 배우고 ‘전도’한다!
우리나라에서 자살 사별자를 가장 많이, 깊게 만나는 임상심리학박사이자 임상심리전문가인 고선규 박사 또한 마찬가지다. 걷기보다 앉아있는 것을, 앉아있는 것보다 누워있는 것을 좋아하고, 뛰어서 버스를 잡기보다 포기하고 다음 버스를 기다리던 ‘뒤듬바리’ 저자는 날쌔게 발차기 하고, 핵주먹을 날리는 중년의 무도인으로 거듭난다. “남겨진 사람들을 오래도록 위로하고 싶어 태권도를 시작했다”는 고선규 박사. 《내 꿈은 날아 차》는 고선규 박사의 신작으로, 몸과 마음의 연결과 치유의 과정을 유쾌한 필체로 담아낸다. 방바닥을 뒹굴거리길 좋아하던 저자가 신나게 땀을 흘리며 무도의 재미를 만끽하고, 발차기, 격파로 생활 스트레스를 시원하게 날려버리는 상쾌한 희열이 독자에게 고스란히 전해진다.
“나는 돌파구가 필요한 시기에 태권도를 시작했다.
그리고 이제 밤이면 나는 ‘그저 뚱뚱한 동네 아줌마’가 아니다.
허리띠를 졸라매고 새하얀 도복을 입은 ‘중년의 핵주먹’이다!”
- 본문 중에서-
“싫은 것이 더 많아진 중년에도 태권도를 시작할 수 있을까?”
그럼요, 그래서 더 빠집니다!
중년의 임상심리학자인 저자는 국제 명상 훈련 전문가인 친구의 권유로 태권도를 시작하게 된다. 고요하게 앉아서 명상 훈련을 하던 저자의 친구는 명상 방석에서 분연히 일어나 태권도를 시작했고 발치기 할 때의 쾌감과 짜릿함을 저자에게 전도했다. 저자는 내면의 억압된 원초적 공격성을 자극하는 친구의 말에 충동적으로 시작했으나, 곧 태권도의 매력에 흠뻑 빠지게 된다. 《내 꿈은 날아 차》는 단순히 성인 여성의 무도 수련기를 다룬 에세이가 아니다. 심리학자로서 마음의 문제에 집중하던 저자가 품새와 발차기, 격파와 겨루기를 배우고 수련하면서 신체 감각을 자각하고, 몸을 제대로 쓰는 것이 마음에 어떠한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지를 생생히 증명해낸 ‘심신단련 성공기’이다. 운동과 거리가 멀었던 중견의 심리학자가 수련 시간에 맞춰 도복의 허리띠를 졸라매고 즐겁게 태권도장을 향해 가도록 만든 태권도의 매력에 대한 이야기이자, 울화 등 현대인의 스트레스를 ‘평화롭게’ 해결해주는 방법을 전하는 《내 꿈은 날아 차》의 세계로 모든 독자를 초대한다.
“보여줄게, 완전히 달라진 나”
1장 태권, 도를 아십니까?
1장은 작가가 태권도를 시작하게 된 계기와 ‘왜 태권도인가?’에 대한 독자의 궁금증을 해소해준다. 작가에게 태권도는 아이들 운동이었다. “폭신한 만쥬 빵 같은 달콤한 주먹으로 격파를 하고, 짧은 다리를 겨우겨우 들어 올려 발차기하는, 태권도마저 귀여워지는” 아이들의 훈련 영상을 접하며, 태권도는 성인들이 하는 운동은 아니라고 생각했었다. 그랬던 작가가 정갈한 도복과 숙연하게 매듭진 띠, 단정하면서도 엄격한 품새를 배우는 평화의 무예를 경험하면서, 블랙벨트를 꿈꾸는 무도인으로 거듭나는 이야기가 1장에 펼쳐진다.
“느리고 무딘 통통한 우량아,
나이 50을 앞두고 숨겨왔던 파워를 제대로 사용하게 되다!”
2장 평생 우량한 삶
《내 꿈은 날아 차》 전반에는 고선규 작가 특유의 유쾌한 자기희화화가 깔려 있다. ‘흡입력 200%, 자기풍자 경지’에 이른 듯한 공감과 호기심을 자극하는 글들이 연이어 이어진다. 읽다 보면 시간 가는 줄 모른다. 백설기 같은 흰 피부의 4.5kg 우량아로 태어나, 방바닥을 뒹굴거리며 라디오 듣기를 좋아하던 무딘 소녀가 ‘타고난 핵주먹이 심리학을 만나 재능을 썩히고 있는 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태권도에 재능을 발견하는 이야기에서, 독자들은 ‘나도 할 수 있을 것 같은데?’라는 새로운 가능성을 생각하게 된다.
“노화의 폭풍우가 밀려와도 두렵지 않다”
3장 중년이 된 영심이
3장은 지루할 틈 없는 변화무쌍한 태권도의 매력과 특별한 ‘노화 방지’ ‘심리 치료법’으로서의 태권도를 이야기한다. 스스로 “신체감각을 통해 정서에 이르는 길에 두꺼운 셔터를 내려놓고 있었고 통증으로 몸이 소리치며 셔터문을 두드리기 전까지 신체감각이 내는 다양한 소리를 외면하고 있었”다는 저자는, ‘평화의 무예’ 태권도를 접하고 “몸과 마음이 매우 민첩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것, 마음에만 집중할 때는 알 수 없었던 해결책이 신체감각을 자극하고 몸을 제대로 쓰면서 발견되기도 한다는 걸 깨닫게” 된다. ‘노화의 폭풍우가 얼굴을 때려도’ 무섭지 않다는 저자. 3장에는 나이 듦 앞에서 용기와 담담함으로 나아갈 수 있는 비법이 담겨 있다.
“일상의 번뇌로 복잡했던 마음이
평화의 시공간으로 넘어가는 신비로운 체험을 하다”
4장 야, 너도 태권도 할 수 있어
그렇다면 태권도장에서는 어떤 수련을 할까? 무엇을 배우고 무엇이 그렇게 좋기에 밤마다 성인들이 허리 띠를 졸라매고 도장으로 가는 것일까? 4장은 품새, 돌려차기, 날아차기, 격파, 겨루기 등 태권도 수련에 대한 기본적인 이야기이다. 미트에 발차기를 하기 전 싫은 사람 얼굴을 겹쳐놓았던, ‘분노 해소’로서의 태권도로 시작했던 작가는 ‘호신의 태권도, 평화의 태권도’의 진정한 재미와 의미를 깨닫는다. 그리고 단순히 울화를 해소하는 게 아니라 “절치부심하던 사람이 마침내 그 뜻을 이루어 해묵은 감정을 완전히 해소하는 듯”한 쾌감을 실감한다. 일상의 번뇌로 복잡했던 마음을 새로운 시공간으로 안내하는 태권도, ‘한 편의 잘 짜인 이야기’ 같은 태권도의 매력을 제대로 경험할 수 있는 장이다.
“가자 도장으로, 오라 태권도로!”
5장 중년의 태권도 친구들을 소개합니다
작가는 무지막지하게 전력질주하는 에너지 충만 20대들 사이에서 자칫 위화감을 느낄 뻔 했으나, 기쁘게도 다른 중년의 수련생들을 만난다! 모두 어릴 때는 태권도를 제대로 경험하지 못했던, 그러나 지금은 흠뻑 빠진 여성 태권도인들로서, 5장에는 그들의 스토리와 인터뷰를 담았다. 어떻게 태권도를 시작하게 되었는지, 저마다 느끼는 태권도의 매력은 무엇인지, 수련하면서 어떤 변화를 경험했는지가 담겨 있다. 땀을 한 바가지 시원하게 쏟아내고 자유와 해방감을 느끼는 시간, 엇나간 발차기로 꽈당 하고 넘어져도 ‘깔깔깔’ 한바탕 개운하게 웃으며 다 같이 그날의 스트레스를 날려버리는 여성들의 경쾌함이 재기발랄하게 펼쳐진다.
“일에 지쳐 있을 때, 여기저기 현존하는 인간의 고통을 마주하며 끝없이 바닥으로 가라앉는 느낌이 들 때, 발차기를 잘못해서 허공에 헛발질을 한 뒤 꽈당 도장 바닥에 대자로 누워 깔깔깔깔 웃던 한 수련생의 얼굴을 떠올린다. 자유와 해방감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얼굴 표정으로 드러낸다면 저런 모습이 아닐까 싶었다. 그 표정을 누끼로 따서 스티커로 만들어 보이는 곳곳에 붙여놓고 싶다.
나이도, 배경도, 성격도, 꿈도 모두 다른 우리지만 태권도를 할 때만큼은 우린 하나다.
새로운 움직임을 향한 에너지로 진하게 연결된다!”
- 본문 중에서-
방바닥을 뒹굴거리길 좋아하던 중년의 심리학자는
어떻게 날쌔게 발차기하고 핵주먹을 날리는 무도인이 될 수 있었을까?
우리는 태권도를 유아동기 보육을 겸한 흥미위주의 체력 증진 활동으로 혹은 국제 행사에서 기예에 가까운 현란한 발차기와 격파를 선보이는 ‘넘사벽’ 시범단의 모습으로 접한다. 아이 손을 끌고 태권도장에 갔던 학부모는 대기실에 앉아 아이의 수련 모습을 뿌듯하게 지켜볼 뿐 직접 자신이 태권도를 배울 생각은 하지 않는다. 하지만 실제로는 생각보다 많은 성인 여성들이 태권도를 심신단련의 목적으로 배우고 ‘전도’한다!
우리나라에서 자살 사별자를 가장 많이, 깊게 만나는 임상심리학박사이자 임상심리전문가인 고선규 박사 또한 마찬가지다. 걷기보다 앉아있는 것을, 앉아있는 것보다 누워있는 것을 좋아하고, 뛰어서 버스를 잡기보다 포기하고 다음 버스를 기다리던 ‘뒤듬바리’ 저자는 날쌔게 발차기 하고, 핵주먹을 날리는 중년의 무도인으로 거듭난다. “남겨진 사람들을 오래도록 위로하고 싶어 태권도를 시작했다”는 고선규 박사. 《내 꿈은 날아 차》는 고선규 박사의 신작으로, 몸과 마음의 연결과 치유의 과정을 유쾌한 필체로 담아낸다. 방바닥을 뒹굴거리길 좋아하던 저자가 신나게 땀을 흘리며 무도의 재미를 만끽하고, 발차기, 격파로 생활 스트레스를 시원하게 날려버리는 상쾌한 희열이 독자에게 고스란히 전해진다.
“나는 돌파구가 필요한 시기에 태권도를 시작했다.
그리고 이제 밤이면 나는 ‘그저 뚱뚱한 동네 아줌마’가 아니다.
허리띠를 졸라매고 새하얀 도복을 입은 ‘중년의 핵주먹’이다!”
- 본문 중에서-
“싫은 것이 더 많아진 중년에도 태권도를 시작할 수 있을까?”
그럼요, 그래서 더 빠집니다!
중년의 임상심리학자인 저자는 국제 명상 훈련 전문가인 친구의 권유로 태권도를 시작하게 된다. 고요하게 앉아서 명상 훈련을 하던 저자의 친구는 명상 방석에서 분연히 일어나 태권도를 시작했고 발치기 할 때의 쾌감과 짜릿함을 저자에게 전도했다. 저자는 내면의 억압된 원초적 공격성을 자극하는 친구의 말에 충동적으로 시작했으나, 곧 태권도의 매력에 흠뻑 빠지게 된다. 《내 꿈은 날아 차》는 단순히 성인 여성의 무도 수련기를 다룬 에세이가 아니다. 심리학자로서 마음의 문제에 집중하던 저자가 품새와 발차기, 격파와 겨루기를 배우고 수련하면서 신체 감각을 자각하고, 몸을 제대로 쓰는 것이 마음에 어떠한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지를 생생히 증명해낸 ‘심신단련 성공기’이다. 운동과 거리가 멀었던 중견의 심리학자가 수련 시간에 맞춰 도복의 허리띠를 졸라매고 즐겁게 태권도장을 향해 가도록 만든 태권도의 매력에 대한 이야기이자, 울화 등 현대인의 스트레스를 ‘평화롭게’ 해결해주는 방법을 전하는 《내 꿈은 날아 차》의 세계로 모든 독자를 초대한다.
“보여줄게, 완전히 달라진 나”
1장 태권, 도를 아십니까?
1장은 작가가 태권도를 시작하게 된 계기와 ‘왜 태권도인가?’에 대한 독자의 궁금증을 해소해준다. 작가에게 태권도는 아이들 운동이었다. “폭신한 만쥬 빵 같은 달콤한 주먹으로 격파를 하고, 짧은 다리를 겨우겨우 들어 올려 발차기하는, 태권도마저 귀여워지는” 아이들의 훈련 영상을 접하며, 태권도는 성인들이 하는 운동은 아니라고 생각했었다. 그랬던 작가가 정갈한 도복과 숙연하게 매듭진 띠, 단정하면서도 엄격한 품새를 배우는 평화의 무예를 경험하면서, 블랙벨트를 꿈꾸는 무도인으로 거듭나는 이야기가 1장에 펼쳐진다.
“느리고 무딘 통통한 우량아,
나이 50을 앞두고 숨겨왔던 파워를 제대로 사용하게 되다!”
2장 평생 우량한 삶
《내 꿈은 날아 차》 전반에는 고선규 작가 특유의 유쾌한 자기희화화가 깔려 있다. ‘흡입력 200%, 자기풍자 경지’에 이른 듯한 공감과 호기심을 자극하는 글들이 연이어 이어진다. 읽다 보면 시간 가는 줄 모른다. 백설기 같은 흰 피부의 4.5kg 우량아로 태어나, 방바닥을 뒹굴거리며 라디오 듣기를 좋아하던 무딘 소녀가 ‘타고난 핵주먹이 심리학을 만나 재능을 썩히고 있는 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태권도에 재능을 발견하는 이야기에서, 독자들은 ‘나도 할 수 있을 것 같은데?’라는 새로운 가능성을 생각하게 된다.
“노화의 폭풍우가 밀려와도 두렵지 않다”
3장 중년이 된 영심이
3장은 지루할 틈 없는 변화무쌍한 태권도의 매력과 특별한 ‘노화 방지’ ‘심리 치료법’으로서의 태권도를 이야기한다. 스스로 “신체감각을 통해 정서에 이르는 길에 두꺼운 셔터를 내려놓고 있었고 통증으로 몸이 소리치며 셔터문을 두드리기 전까지 신체감각이 내는 다양한 소리를 외면하고 있었”다는 저자는, ‘평화의 무예’ 태권도를 접하고 “몸과 마음이 매우 민첩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것, 마음에만 집중할 때는 알 수 없었던 해결책이 신체감각을 자극하고 몸을 제대로 쓰면서 발견되기도 한다는 걸 깨닫게” 된다. ‘노화의 폭풍우가 얼굴을 때려도’ 무섭지 않다는 저자. 3장에는 나이 듦 앞에서 용기와 담담함으로 나아갈 수 있는 비법이 담겨 있다.
“일상의 번뇌로 복잡했던 마음이
평화의 시공간으로 넘어가는 신비로운 체험을 하다”
4장 야, 너도 태권도 할 수 있어
그렇다면 태권도장에서는 어떤 수련을 할까? 무엇을 배우고 무엇이 그렇게 좋기에 밤마다 성인들이 허리 띠를 졸라매고 도장으로 가는 것일까? 4장은 품새, 돌려차기, 날아차기, 격파, 겨루기 등 태권도 수련에 대한 기본적인 이야기이다. 미트에 발차기를 하기 전 싫은 사람 얼굴을 겹쳐놓았던, ‘분노 해소’로서의 태권도로 시작했던 작가는 ‘호신의 태권도, 평화의 태권도’의 진정한 재미와 의미를 깨닫는다. 그리고 단순히 울화를 해소하는 게 아니라 “절치부심하던 사람이 마침내 그 뜻을 이루어 해묵은 감정을 완전히 해소하는 듯”한 쾌감을 실감한다. 일상의 번뇌로 복잡했던 마음을 새로운 시공간으로 안내하는 태권도, ‘한 편의 잘 짜인 이야기’ 같은 태권도의 매력을 제대로 경험할 수 있는 장이다.
“가자 도장으로, 오라 태권도로!”
5장 중년의 태권도 친구들을 소개합니다
작가는 무지막지하게 전력질주하는 에너지 충만 20대들 사이에서 자칫 위화감을 느낄 뻔 했으나, 기쁘게도 다른 중년의 수련생들을 만난다! 모두 어릴 때는 태권도를 제대로 경험하지 못했던, 그러나 지금은 흠뻑 빠진 여성 태권도인들로서, 5장에는 그들의 스토리와 인터뷰를 담았다. 어떻게 태권도를 시작하게 되었는지, 저마다 느끼는 태권도의 매력은 무엇인지, 수련하면서 어떤 변화를 경험했는지가 담겨 있다. 땀을 한 바가지 시원하게 쏟아내고 자유와 해방감을 느끼는 시간, 엇나간 발차기로 꽈당 하고 넘어져도 ‘깔깔깔’ 한바탕 개운하게 웃으며 다 같이 그날의 스트레스를 날려버리는 여성들의 경쾌함이 재기발랄하게 펼쳐진다.
“일에 지쳐 있을 때, 여기저기 현존하는 인간의 고통을 마주하며 끝없이 바닥으로 가라앉는 느낌이 들 때, 발차기를 잘못해서 허공에 헛발질을 한 뒤 꽈당 도장 바닥에 대자로 누워 깔깔깔깔 웃던 한 수련생의 얼굴을 떠올린다. 자유와 해방감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얼굴 표정으로 드러낸다면 저런 모습이 아닐까 싶었다. 그 표정을 누끼로 따서 스티커로 만들어 보이는 곳곳에 붙여놓고 싶다.
나이도, 배경도, 성격도, 꿈도 모두 다른 우리지만 태권도를 할 때만큼은 우린 하나다.
새로운 움직임을 향한 에너지로 진하게 연결된다!”
- 본문 중에서-
내 꿈은 날아 차 : 작심삼일 다이어터에서 중년의 핵주먹으로! 20년 차 심리학자의 태권도 수련기
$16.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