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escription
지금 대한민국은 돈이 거의 유일한 가치이자 힘의 원천입니다. 이로 인해 우리 사회는 부끄러움을 잃어버렸습니다. 타인을 주체가 아닌 활용 대상으로 생각합니다. 결과만 좋으면 과정의 흠결을 무시하는 결과주의로 인해 불공정과 반칙이 난무하고 갈등이 증폭되고 있습니다. 사회구조에 기인한 문제를 개인의 노력 부족, 정신력 해이 탓으로 돌리는 능력주의도 거세지고 있습니다. 능력주의가 혐오로 표출되기도 합니다. 경제성장률이 낮아지고 양질의 일자리가 줄어듦에 따라 계급이 세습되는 경향도 커져가고 있습니다. ‘개천에 용이 나는 시대’는 이미 지났고 다시 올 가능성은 없습니다.
사회 구성원이 공정의 가치를 절실하게 느껴야 사회구조로 말미암은 불공정을 드러내 고칠 수 있습니다. 우리는 계층 상승의 사다리를 복원할 게 아니라, 용이 되지 않아도 행복할 수 있는 사회를 지향해야 합니다. 이러한 사회를 이루고자 한다면 추구하는 가치를 다원화해야 합니다. 이제까지의 국가발전주의에서 국민(시민) 행복 중시로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성장이 아닌 성숙을 추구해야 합니다.
이 중차대한 기로에, 공정의 껍데기마저 벗어 던진 이들이 나타나 노골적으로 편을 가르고 상대를 대상화하여 적대하기를 서슴지 않고 있어 뜻있는 이들의 우려를 더하고 있습니다. 공정이 없는 곳에는 평화도 위태로울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이 책은 이런 고뇌 속에 길을 찾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들은 조급해 하지 않으려 합니다. 세상에는 하나의 기준이나 하나의 정답으로 해결할 수 없는 일도 많다는 것을 알기 때문입니다. 또한, 걷는 것으로 길이 만들어 지듯이, 때로는 해답은 본래 있는 것이 아니라 공정과 평화를 위하여 질문을 던지는 행위 속에 혹은 주고받는 허심탄회한 대화와 공감 속에 있을 수도 있는 것입니다.
공정하고 평화로운 사회에 가까워지기 위하여, 일상사를 가지고 마치 함께 걸어가며 허심탄회하게 이야기하듯 풀어나가는, 친구 혹은 이웃의 마음을 담은 책을 소개합니다.
사회 구성원이 공정의 가치를 절실하게 느껴야 사회구조로 말미암은 불공정을 드러내 고칠 수 있습니다. 우리는 계층 상승의 사다리를 복원할 게 아니라, 용이 되지 않아도 행복할 수 있는 사회를 지향해야 합니다. 이러한 사회를 이루고자 한다면 추구하는 가치를 다원화해야 합니다. 이제까지의 국가발전주의에서 국민(시민) 행복 중시로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성장이 아닌 성숙을 추구해야 합니다.
이 중차대한 기로에, 공정의 껍데기마저 벗어 던진 이들이 나타나 노골적으로 편을 가르고 상대를 대상화하여 적대하기를 서슴지 않고 있어 뜻있는 이들의 우려를 더하고 있습니다. 공정이 없는 곳에는 평화도 위태로울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이 책은 이런 고뇌 속에 길을 찾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들은 조급해 하지 않으려 합니다. 세상에는 하나의 기준이나 하나의 정답으로 해결할 수 없는 일도 많다는 것을 알기 때문입니다. 또한, 걷는 것으로 길이 만들어 지듯이, 때로는 해답은 본래 있는 것이 아니라 공정과 평화를 위하여 질문을 던지는 행위 속에 혹은 주고받는 허심탄회한 대화와 공감 속에 있을 수도 있는 것입니다.
공정하고 평화로운 사회에 가까워지기 위하여, 일상사를 가지고 마치 함께 걸어가며 허심탄회하게 이야기하듯 풀어나가는, 친구 혹은 이웃의 마음을 담은 책을 소개합니다.

공평사회 : 공정과 평화를 향한 길을 찾다
$1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