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지방의회 회의록은 지방행정 실태와 지역 권력 구조의 실상을 밝히는 데 필수적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지방의회는 그 지역의 산업·경제, 문화, 환경, 관습, 제도, 지역민의 욕구, 취향 등 지역민의 생활과 직결된 다양한 영역이 총체적으로 동원된 네트워크였다. 지방의회는 그 지역의 역사적 고유성과 차별성이 빚어낸 집단적 사고방식, 생활습관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운영되었는데, 지역의 역동성을 가장 실체적으로 드러내는 자료는 지방의회 회의록이다.
본 연구팀은 국가기록원 문서군에 흩어져있는 지방의회 회의록 약 5천 건을 추출하여 연도별, 지역별, 행정단위별 등 여러 범주에 따라 분류 가능하도록 체계화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부분적으로 활용되던 지방의회 회의록을 종합하여, 지역의 정치·경제·문화·사회운동·일상 등 모든 분야에 걸친 식민지 사회 연구의 토대 조성에 일조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의 시기는 일제 통치방식의 변화가 지방의회에 미친 영향을 고려하여 1920년대(1기), 1930~1937년 중일전쟁 이전까지(2기), 1937~ 1945년 해방까지(3기)의 기간으로 구분하였다. 1시기는 1920년 부제와 면제시행규칙 등 지방제도가 개정된 후 도평의회가 설치되고 부협의회와 면협의회 선거를 실시하기 시작한 시기이다. 2시기는 1930년 개정된 지방제도로 도평의회가 도회로 개정되고 부회와 읍회가 자문기관이 아닌 의결기관이 된 시기이다. 3시기는 중일전쟁 이후 사회 각 전반에서 통제정책이 시행되고 지역 사회의 공론장이 위축되며 지방 참정권이 극도로 제한된 시기를 포괄한다. 총 9권으로 이루어진 이 총서의 1~3권은 1시기에 해당하며, 4~6권은 2시기, 7~9권은 3시기에 해당한다.
이 총서는 연구팀이 수행한 번역과 해제를 선별하여 경기·함경, 강원·경상·황해, 전라·충청·평안 등 지역별로 나누어 각 권을 배치하였다. 물론 방대한 회의록 중 이 총서가 포괄하는 분량은 매우 적다 할 수 있다. 그러나 가능한 도·부·읍·면 등 행정단위와 지리적·산업적 특성, 민족적·계층별 분포에 따라 다양한 범주를 설정하여 회의록의 선택과 집중에 힘썼기에, 각 도와 도 사이의 비교나 도의 하위에 포괄되는 여러 행정단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간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지역의 다층적 구조 속에서 ‘근대적’이고 ‘식민주의적’인 요소가 동시대에 어떻게 병존하는지, 그 관계성의 양상이 지역의 역사지리적 특성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전승되는지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총서뿐 아니라 지방의회 회의록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집대성한 성과는 앞으로 식민지시기에 대해 보다 폭넓고 심도깊은 연구를 추동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 발간사 중-
이 책은 1937년부터 해방까지의 강원·경상·황해 지역을 시공간적 대상으로 한다. 전쟁 시기로 들어서면서 사회경제적 변화가 직접적으로 지역민에게 끼친 영향이 회의록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이 시기는 조선공업화정책이 전개되면서 각 도시가 공업도시, 산업도시를 경쟁적으로 지향하고 영역 확장에 몰두하던 때다. 부와 읍의 인구가 증가하면서 공동의 수요에 응하는 여러 시설의 확충이 모색되고 이에 따라 재정이 팽창했다.
이 시기 각 부와 읍은 경쟁적으로 방대한 예산을 편성하고 다액의 기채사업을 계획하였는데 이에 대한 비판이 부산부회 회의록(1937년 3월 22일)에서 보인다.
읍은 부 승격을 목표로 하여 구역 확장을 추진하였는데, 1939년 통영읍에 산양면의 일부 구역이 편입될 때 통영읍과 산양면 사이의 태합굴 굴착을 둘러싼 공사비의 조정을 둘러싸고 여러 논의가 진행되는 것을 통영읍회 회의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1939년 11월 20일).
도시 발전이라는 대전제하에 행정 구역 확장과 예산 팽창은 당연한 것으로 추진되었으나 그 이면에 있었던 지역민 부담 증가의 실상을 이 시기 회의록을 통해 엿볼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팀은 국가기록원 문서군에 흩어져있는 지방의회 회의록 약 5천 건을 추출하여 연도별, 지역별, 행정단위별 등 여러 범주에 따라 분류 가능하도록 체계화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부분적으로 활용되던 지방의회 회의록을 종합하여, 지역의 정치·경제·문화·사회운동·일상 등 모든 분야에 걸친 식민지 사회 연구의 토대 조성에 일조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의 시기는 일제 통치방식의 변화가 지방의회에 미친 영향을 고려하여 1920년대(1기), 1930~1937년 중일전쟁 이전까지(2기), 1937~ 1945년 해방까지(3기)의 기간으로 구분하였다. 1시기는 1920년 부제와 면제시행규칙 등 지방제도가 개정된 후 도평의회가 설치되고 부협의회와 면협의회 선거를 실시하기 시작한 시기이다. 2시기는 1930년 개정된 지방제도로 도평의회가 도회로 개정되고 부회와 읍회가 자문기관이 아닌 의결기관이 된 시기이다. 3시기는 중일전쟁 이후 사회 각 전반에서 통제정책이 시행되고 지역 사회의 공론장이 위축되며 지방 참정권이 극도로 제한된 시기를 포괄한다. 총 9권으로 이루어진 이 총서의 1~3권은 1시기에 해당하며, 4~6권은 2시기, 7~9권은 3시기에 해당한다.
이 총서는 연구팀이 수행한 번역과 해제를 선별하여 경기·함경, 강원·경상·황해, 전라·충청·평안 등 지역별로 나누어 각 권을 배치하였다. 물론 방대한 회의록 중 이 총서가 포괄하는 분량은 매우 적다 할 수 있다. 그러나 가능한 도·부·읍·면 등 행정단위와 지리적·산업적 특성, 민족적·계층별 분포에 따라 다양한 범주를 설정하여 회의록의 선택과 집중에 힘썼기에, 각 도와 도 사이의 비교나 도의 하위에 포괄되는 여러 행정단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간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지역의 다층적 구조 속에서 ‘근대적’이고 ‘식민주의적’인 요소가 동시대에 어떻게 병존하는지, 그 관계성의 양상이 지역의 역사지리적 특성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전승되는지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총서뿐 아니라 지방의회 회의록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집대성한 성과는 앞으로 식민지시기에 대해 보다 폭넓고 심도깊은 연구를 추동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 발간사 중-
이 책은 1937년부터 해방까지의 강원·경상·황해 지역을 시공간적 대상으로 한다. 전쟁 시기로 들어서면서 사회경제적 변화가 직접적으로 지역민에게 끼친 영향이 회의록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이 시기는 조선공업화정책이 전개되면서 각 도시가 공업도시, 산업도시를 경쟁적으로 지향하고 영역 확장에 몰두하던 때다. 부와 읍의 인구가 증가하면서 공동의 수요에 응하는 여러 시설의 확충이 모색되고 이에 따라 재정이 팽창했다.
이 시기 각 부와 읍은 경쟁적으로 방대한 예산을 편성하고 다액의 기채사업을 계획하였는데 이에 대한 비판이 부산부회 회의록(1937년 3월 22일)에서 보인다.
읍은 부 승격을 목표로 하여 구역 확장을 추진하였는데, 1939년 통영읍에 산양면의 일부 구역이 편입될 때 통영읍과 산양면 사이의 태합굴 굴착을 둘러싼 공사비의 조정을 둘러싸고 여러 논의가 진행되는 것을 통영읍회 회의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1939년 11월 20일).
도시 발전이라는 대전제하에 행정 구역 확장과 예산 팽창은 당연한 것으로 추진되었으나 그 이면에 있었던 지역민 부담 증가의 실상을 이 시기 회의록을 통해 엿볼 수 있는 것이다.
일제강점기 지방의회 회의록 번역·해제집 8 : 전시체제기 강원·경상·황해 편 (양장)
$2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