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흔히 사용하는 근대 개념은 한국 근대의 현실이나 사실에 조응하지 않는다. 세계사 차원에서 근대사로 이해되는 일제강점기는 근대를 특징짓는 개념(주권 국가, 민주주의, 자본주의)과는 동떨어진 시대였기 때문이다. 국가를 상실한 식민지에서 이 세 개념은 오히려 압살되었고 한국인들이 일제와의 투쟁을 통해 추구해야 하는 과제였다. 이러한 ‘식민지적 근대’ 사회는 구미나 일본의 근대 사회보다 훨씬 복합성이 컸다. 그래서 책의 제목도 “식민지적 근대와 조선 사회”로 설정했다.

한때 일제가 조선을 개발했는가, 수탈했는가를 둘러싸고 수탈과 개발 사이의 상관관계를 대립적으로 바라본, 의미 없는 논쟁이 벌어진 적도 있었다. 어느 입장이든 식민지 경제를 ‘반(半)’봉건적이라고 인식한 선험적 규정이 일제강점기 이래 고착된, 즉 자본주의는 좋고 선진적인 체제여서 제국주의가 이를 이식할 리 없다는 근대주의에 매몰된 것은 같았다. 그러나 제국주의 국가들은 근대 이전의 지배-복속 관계와 원시적 수탈 수준을 뛰어넘어 식민지 수탈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자신들에게 익숙한 제도인 자본주의를 이식해 식민지를 개발하고 성장시켜야 했다. 당연한 일이었다. 한 세대가 지난 과거 이야기지만, 필자가 일제강점기를 (식민지) 자본주의 경제로 봐야 한다고 주장할 때 식민사학이라는 힐난도 들었다. 한국 근현대사의 연구방법론은 많이 발전되었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책을 내면서 中)
저자

조명근,노성룡,이명학,박우현,김상규,안자코유카,이송순,문영주,장인모,임동

저자:조명근

영남대학교역사학과부교수



저자:노성룡

고려대학교문학박사



저자:이명학

한국교원대학교한국근대교육사연구센터전임연구원



저자:박우현

고려대학교아세아문제연구원박사후연구원



저자:김상규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선임연구원



저자:안자코유카

일본리츠메이칸대학(立命館大?)문학부교수



저자:이송순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연구교수



저자:문영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선임연구위원



저자:장인모

가천대학교가천리버럴아츠칼리지자유전공학부강사



저자:임동현

독립기념관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연구위원



저자:최선웅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거기록보존소전문경력관



엮음:정태헌

고려대학교한국사학과교수

목차

책을내면서

제1부식민지자본주의와‘개발’의특징

01.일제시기조선은행개조론의전개와함의_조명근
1.머리말
2.조선은행정리및이상론에입각한개조론
3.식민지현실론에입각한개조반대론
4.조선은행개조론의함의
5.맺음말

02.일제하면양장려계획(1934~1945)과식민지개발_노성룡
1.머리말
2.면양장려계획(緬羊勵計)의배경
3.면양장려계획의전개과정과특징
4.면양장려계획의한계로보는식민지개발
5.맺음말

03.일제시기사회간접자본의구축과토지수용_이명학
1.머리말
2.토지수용제도의정비와관계인권리의무력화
3.토지수용령의적용과사회간접자본의확충
4.맺음말

04.일제시기조선철도건설의성격에관한세계사적검토_박우현
1.머리말
2.건설자금조달방식의차이
3.식민지확대를지향하는철도건설
4.한정된재원의불균형한배분
5.맺음말

제2부식민통치의무력기반,조선주둔일본군

05.1910~20년대조선주둔일본군헌병대의3·1운동탄압과역할변화_김상규
1.머리말
2.1910년대조선주차헌병대의편제변화
3.조선주둔일본군헌병대의3·1운동탄압
4.보통경찰제전환과1920년대조선헌병대의축소
5.맺음말

06.일본에서의조선군연구성과와과제_안자코유카
1.머리말
2.조선군개요
3.연구사
4.맺음말

제3부식민지적근대의복합성과조선인엘리트층의동향

07.일제식민지기조선농촌의‘머슴’살이:전통과근대의하이브리드생존기_이송순
1.머리말
2.버려진담론[‘식민지반(半)봉건성’·‘민족경제권’]에대한재검토
3.‘머슴’살이:전통과근대의하이브리드생존기
4.맺음말

08.금융조합조선인이사의사회적위상과존재양태_문영주

1.머리말
2.고학력조선인의이사취업
3.‘농촌3거두’의하나인관치금융기관장
4.식민지삶과자의식
5.맺음말

09.1910~20년대조선인교원의일본시찰_장인모
1.머리말
2.시찰여행의실시
3.조선인교원의시찰여행경험
4.맺음말

10.1920~1938년공설운동장건설과조선인엘리트의활동_임동현
1.머리말
2.식민당국의공설운동장건설과조선인사회의대응
3.조선인엘리트의활동과헤게모니확보
4.맺음말

11.한국근현대선거에서기호투표의정착과정연구_최선웅
1.머리말
2.해방전후선거과정의기표
3.입법의원선거법으로명문화된기명투표
4.기호투표의시작:5·10총선거
5.기명투표의부활과좌절:1960년서울특별시장선거
6.맺음말

엮은이/글쓴이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