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흔히 사용하는 근대 개념은 한국 근대의 현실이나 사실에 조응하지 않는다. 세계사 차원에서 근대사로 이해되는 일제강점기는 근대를 특징짓는 개념(주권 국가, 민주주의, 자본주의)과는 동떨어진 시대였기 때문이다. 국가를 상실한 식민지에서 이 세 개념은 오히려 압살되었고 한국인들이 일제와의 투쟁을 통해 추구해야 하는 과제였다. 이러한 ‘식민지적 근대’ 사회는 구미나 일본의 근대 사회보다 훨씬 복합성이 컸다. 그래서 책의 제목도 “식민지적 근대와 조선 사회”로 설정했다.
한때 일제가 조선을 개발했는가, 수탈했는가를 둘러싸고 수탈과 개발 사이의 상관관계를 대립적으로 바라본, 의미 없는 논쟁이 벌어진 적도 있었다. 어느 입장이든 식민지 경제를 ‘반(半)’봉건적이라고 인식한 선험적 규정이 일제강점기 이래 고착된, 즉 자본주의는 좋고 선진적인 체제여서 제국주의가 이를 이식할 리 없다는 근대주의에 매몰된 것은 같았다. 그러나 제국주의 국가들은 근대 이전의 지배-복속 관계와 원시적 수탈 수준을 뛰어넘어 식민지 수탈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자신들에게 익숙한 제도인 자본주의를 이식해 식민지를 개발하고 성장시켜야 했다. 당연한 일이었다. 한 세대가 지난 과거 이야기지만, 필자가 일제강점기를 (식민지) 자본주의 경제로 봐야 한다고 주장할 때 식민사학이라는 힐난도 들었다. 한국 근현대사의 연구방법론은 많이 발전되었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책을 내면서 中)
한때 일제가 조선을 개발했는가, 수탈했는가를 둘러싸고 수탈과 개발 사이의 상관관계를 대립적으로 바라본, 의미 없는 논쟁이 벌어진 적도 있었다. 어느 입장이든 식민지 경제를 ‘반(半)’봉건적이라고 인식한 선험적 규정이 일제강점기 이래 고착된, 즉 자본주의는 좋고 선진적인 체제여서 제국주의가 이를 이식할 리 없다는 근대주의에 매몰된 것은 같았다. 그러나 제국주의 국가들은 근대 이전의 지배-복속 관계와 원시적 수탈 수준을 뛰어넘어 식민지 수탈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자신들에게 익숙한 제도인 자본주의를 이식해 식민지를 개발하고 성장시켜야 했다. 당연한 일이었다. 한 세대가 지난 과거 이야기지만, 필자가 일제강점기를 (식민지) 자본주의 경제로 봐야 한다고 주장할 때 식민사학이라는 힐난도 들었다. 한국 근현대사의 연구방법론은 많이 발전되었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책을 내면서 中)
식민지적 근대와 조선사회 1 (양장)
$3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