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소멸위기, ESG가족에서 답을 찾다

국가소멸위기, ESG가족에서 답을 찾다

$15.58
Description
그동안 우리 정부와 지자체, 기업 등이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해 왔지만, 문제는 더욱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경제적 지원과 인프라 구축만으로는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보다 근본적인 사회문화적 요인을 간과한 결과입니다. 여성의 사회적 활동은 점점 증가하고 있으나, 불평등한 사회경제적 구조와 문화 속에서 여성들은 일과 집안일의 이중노동을 감내해야 하기에 결혼과 출산을 기피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저출산, 국가소멸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가족에 주목해야 합니다. 단편적인 ‘인구 불리기’가 아니라 지속가능한 가족을 만드는 전략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기존의 일·가정양립을 위한 인프라 구축을 강화하는 한편 새로운 ‘가족친화적 문화’ 확산 방안을 실천해야 합니다. 출산 문제를 결정하는 주체는 여성과 가족이기에, 가족 속에서 기꺼이 출산을 결정하고 평등한 양육·보육·돌봄을 수행하여 가족의 지속성이 담보된다면, 자연히 국가의 지속성도 보장될 것입니다. 문제의 해결 주체가 가족이기에, 변화도 가족에서 시작되어야 합니다. 가족이 바뀌면 사회도 발전할 수 있습니다.
(사)한국가족문화원은 이러한 가족의 지속가능성 과제를 가족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삼아 연구하고 있습니다. (사)한국가족문화원이 ‘ESG가족’이라는 용어를 최초로 만들어 사용하고 지속가능한 가족을 연구하고 실천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는 가족 연구에 있어 패러다임의 전환을 의미합니다. (사)한국가족문화원이 이러한 패러다임 전환을 시도하고 선도하고자 합니다.

저자

한국가족문화원

저자:한국가족문화원

강득희
(사)삶의예술문화원전문위원
문화사회학박사
연세대학교보건대학원외래부교수(전)
(사)한국가족문화원이사장(전)
주요저서:『의료인류학으로접근하는전통과현대의학의만남』

공정자
인하대학교명예교수
인하대학교사회교육과교수(전)
인천지방법원조정위원(전)
한국여성사회연구회회장(전)
한국여성사회연구소소장(전)
주요저서:『구한말한인하와이이민』

김엘렌
이화여대통일학연구원객원연구위원
이화여자대학교북한학박사
국가인권위원회북한인권전문위원회전문위원(현)
서울시남북교류협력위원회위원(현)
주요저서:『김정은체제:변한것과변하지않은것』,『북한여성,변화를이끌다』

김정수
평화를만드는여성회상임대표
성공회대학교박사(신학)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20기국민소통분과위원장(현)
주요저서:?『평화교육과통일교육의만남』,『평화지향적통일교육의이해』

박민자
덕성여자대학교명예교수
(사)한국가족문화원원장,이사장(전)
한국사회학회이사(전)
주요저서:『한국의혼인,가족,젠더-어제와내일』,『새로본가족과한국사회』
주요역서:『여성사회학』,『성과사회』등

박현선
(사)한국가족문화원원장
이화여자대학교사회학박사
이화여자대학교북한학과초빙교수(현),통일부정책자문위원(현),겨레말큰사전남북공동편찬사업회이사(현)
주요저서:『현대북한사회와가족』,『선군시대북한여성의삶』,『북한이변하고있다』

이재경
이화여대여성학과명예교수
미국MIchigan대학교사회학박사
한국여성학회회장(전),한국가족학회회장(전),한국연구재단이사(전)
주요저서:『가족의이름으로:한국근대가족과페미니즘』,『여성주의역사쓰기:구술사방법』,『국가와젠더:성주류화의이론과실천』,『여성학』

장의순
숭의여자대학교수(전)
이화여자대학교총동창회회장(전)
우월김활란장학회감사(전)
(사)한국가족문화원이사장(전)
주요저서:『국민윤리』,『산업사회와직업윤리』

조성남
이화여대명예교수(사회학)(현)
오차노미즈대학특별초빙교수(현)
하와이대학교사회학박사
(사)한국가족문화원이사장(전),한국사회학회장(전),(법)전국여교수연합회장(전),평화의료재단총재(전)
주요저서:『에이지붐시대:도전과전망』,『KoreansintheUS』,『AbortionsinKorea』,『질적연구방법』

함인희
이화여자대학교사회학과교수
Emory대학교사회학박사
한국가족학회이사(현)
한국사회학회편집위원장(전)
주요저서:『인간행위와사회구조』,『문화로읽는페미니즘』
주요역서:『가족난민』

목차

발간사|가족패러다임의전환,가족이바뀌면사회가변화된다_5

1부
저출생문제해결을위한가족중심의ESG실현

박현선한국의저출생문제와새로운접근법의필요성
모순영한국의가족친화정책현황에대한소고
김엘렌해외사례로보는가족친화정책과시사점
박민주저출생에관한가족친화-ESG적접근
이미경가족친화적인ESG확산방안모색

2부
가족에게묻고가족이답한다

박민자인성교육,원점에서다시
강득희선생님의공동체지향의삶과연구공동체
신영숙여성독립운동가들의(안)살림과활동
오숙영이효재선생님을통해서변화된가족의의미조명
박민정가족에대한열린접근,이민자가족

3부
이효재선생님을생각하며

공정자가족
조성남웰에이징(Well-Ageing)모델로서의이효재선생님의삶
이희경엄마,인간,스승이효재:따님에게듣는이효재선생님의삶

참고문헌

출판사 서평

그동안우리정부와지자체,기업등이저출산문제해결을위해노력해왔지만,문제는더욱심각해지고있습니다.이는단순히경제적지원과인프라구축만으로는이문제를해결할수없다는것을보여주는것입니다.보다근본적인사회문화적요인을간과한결과입니다.여성의사회적활동은점점증가하고있으나,불평등한사회경제적구조와문화속에서여성들은일과집안일의이중노동을감내해야하기에결혼과출산을기피하는것이기도합니다.
이러한저출산,국가소멸문제를풀기위해서는가족에주목해야합니다.단편적인‘인구불리기’가아니라지속가능한가족을만드는전략을만들어야합니다.이를위해기존의일·가정양립을위한인프라구축을강화하는한편새로운‘가족친화적문화’확산방안을실천해야합니다.출산문제를결정하는주체는여성과가족이기에,가족속에서기꺼이출산을결정하고평등한양육·보육·돌봄을수행하여가족의지속성이담보된다면,자연히국가의지속성도보장될것입니다.문제의해결주체가가족이기에,변화도가족에서시작되어야합니다.가족이바뀌면사회도발전할수있습니다.
(사)한국가족문화원은이러한가족의지속가능성과제를가족의새로운패러다임으로삼아연구하고있습니다.(사)한국가족문화원이‘ESG가족’이라는용어를최초로만들어사용하고지속가능한가족을연구하고실천하는방안을모색하고있습니다.이는가족연구에있어패러다임의전환을의미합니다.(사)한국가족문화원이이러한패러다임전환을시도하고선도하고자합니다.
-발간사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