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재홍의 민족운동 연구 3 - 민세학술연구총서 14 (양장)

안재홍의 민족운동 연구 3 - 민세학술연구총서 14 (양장)

$24.00
Description
올해는 민족지도자 민세 안재홍이 절대 독립운동의 한 수단으로 본격적인 언론활동을 한 지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안재홍은 1891년 11월 경기도 평택에서 태어나 국내 민족운동을 이끌며 1919년 대한민국 청년외교단 사건을 시작으로 조선일보 필화, 신간회운동, 군관학교 사건, 조선어학회 사건 등으로 9차례 걸쳐 7년 3개월 옥고를 치른 독립운동가였다. 또한 시대일보 논설기자, 조선일보 주필·사장, 해방 후 한성일보 사장을 지낸 언론인이자, 일제식민사관에 맞서 한국고대사 연구에 몰두하고 다산 정약용의 『여유당전서』를 교열·간행한 사학자였다. 민세는 해방 후에는 건준 부위원장, 좌우합작 우측 대표, 미군정청 민정장관, 2대 국회의원 등으로 통일민족국가 수립에 헌신했던 정치가였다.
1980년대 중반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된 안재홍 재조명 학술연구 사업은 그동안 역사학, 정치학, 언론학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최근에는 교육학, 문학, 체육사, 철학 등 다양한 분야로 연구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 책에 게재되는 논문들은 2023년 (사)민세안재홍선생기념사업회가 주관하고 평택시가 후원한 「제17회 민세학술대회: 안재홍의 민족운동연구 3」의 연구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책 머리에 中)

저자

김인식,윤대식,이택선,지여정,황우갑

저자:김인식
중앙대학교교양대학교수

저자:윤대식
한국외국어대학교미네르바교양대학교수

저자:이택선
명지대학교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교수

저자:지여정
경희대학교국제한국언어문화학과박사수료

저자:황우갑
민세아카데미대표

목차

책머리에

민세안재홍선생서훈(敍勳)훈격(勳格)상향을위한추가공적조사보고/김인식
1.머리말
2.옥고기간‘9차례7년3개월’의근거
3.공적으로인정되어야할옥고
1)만주동포구제의연금유용사건
2)남경군관학교학생모집사건과흥업구락부활동:흥업구락부사건
3)조선어학회활동:조선어학회사건
4.비합법활동
1)동제사
2)신아동맹당
5.주요합법활동
1)조선산직장려계활동
2)조선물산장려회운동
3)신간회운동
4)조선학운동
6.맺음말

어두운시대안재홍의국제정세전망에대한관견(管見)/윤대식
1.머리말
2.1929년의국제정세대관(大觀)과동아시아
3.1930년대어두운시대의대관(大觀)과동아시아
4.전쟁의그림자와위난중국(危難中國)의벽상대관(壁上大觀)
5.민족에서세계로의돌파와그방법론으로서민세주의(民世主義)
6.맺음말

안재홍과이승만:민족주의와근대국가건설노선을중심으로/이택선
1.머리말
2.해방이전의활동
1)해방이전의이승만과안재홍
3.건국준비위원회에서의활동
1)건국준비위원회에서의안재홍의활동
4.임시정부봉대로뭉치다
1)임시정부봉대로뭉친안재홍과이승만
5.해방정국에서의협력과갈등
1)반탁과찬탁으로갈라지게된이승만과안재홍
2)남조선과도입법정부의민정장관이된안재홍
6.맺음말
1)제2대국회의원선거를통해대한민국건설에함께하게된안재홍과이승만
2)두사람의영원한이별:6·25전쟁발발로인해납북된안재홍

민세안재홍수필연구/지여정
1.머리말
2.현존재안재홍의현실감각
3.‘조선’과‘조선땅’구분짓기
4.세련된민족,책임감있는민중
5.맺음말

민세안재홍의충무공이순신선양활동/황우갑
1.머리말
2.안재홍의생애와이순신에대한인식
1)안재홍의생애개관
2)이순신에대한기억과존경
3.일제강점기이순신선양활동과그의의
1)1926년통영충무공유적지답사
2)1931년5월이충무공유적보존운동참여
3)1934년여수·목포이충무공유적지답사
4)1935년아산현충사답사
5)일제강점기안재홍의충무공선양운동의의의
4.광복이후이충무공선양활동과의의
1)광복이후안재홍의충무공선양활동
2)광복이후안재홍의충무공현창활동의의의
5.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