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escription
이 책은 북한에 관심은 있으나 배경지식이 많지 않은 대학생을 비롯한 일반 독자들을 위해 기획되었다. 따라서 필자들은 북한 여성에 대한 다양한 분석을 통해 반쪽이 아닌 온전한 북한 사회를 보여주어 독자들에게 유익한 길잡이가 되려고 노력했다. 책을 기획하고 집필하기 위한 몇 차례의 회의에서 필자들이 가장 고민했던 것은 어떻게 하면 여성주의적 관점을 지니면서 다양한 북한 여성의 모습을 보여주느냐 하는 것이었다. 또한 필자들 대부분이 북한이탈주민과의 심층면접조사를 통해 북한 사회를 연구하고 있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각각의 주제에 대해 다양하게 서술할 것과 북한이탈주민들이 들려준 구술 내용을 생생하게 담고자 노력했다.
이 책은 3부로 나누어 총 11장으로 구성하였다.
제1부는 북한 여성의 역사와 법, 엘리트를 다루고 있다. 1장은 여성의 관점에서 ‘분단’을 더 깊게 생각해 보자는 주제로 분단이 여성의 삶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여성의 관점에서 북한 체제를 왜 다시 보아야 하는지를 논하고 있다. 2장은 지난 80여 년간의 북한 역사 속에서 여성의 삶과 역할은 무엇이었는지, 3장은 북한 사회 전반의 성격을 규정짓는 담론과 여성 관련 법, 현실 속 여성의 삶은 어떠한지, 4장은 북한의 여성 엘리트는 누구인지, 그들은 여성의 지도자인지를 서술하고 있다.
제2부는 북한 여성의 경제·사회·가정 생활과 사회화를 담고 있다. 5장은 경제활동을 통한 북한 여성의 진로선택과 직업세계가 어떻게 펼쳐지는지, 6장은 교육과 조직생활을 통해 북한 여성의 성역할이 어떻게 구성되는지, 7장은 ‘성’의 시각으로 북한 여성의 가정생활이 어떻게 시대별로 변천되는지, 8장은 생애 주기별로 북한 여성의 사회화와 재사회화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서술하였다.
제3부는 북한 여성의 문화와 건강, 한반도 평화와 여성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9장은 북한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기념일은 무엇이며 여성의 유행은 어떻게 변화하는지, 10장은 북한 보건정책과 의료서비스가 여성에게 어떻게 적용되는지, 여성 건강 실태를 통해 앞으로 여성 건강권의 방향성을 논하고 있다. 마지막 11장은 한반도 평화 실현을 위해 그동안 남북여성교류가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한반도 평화를 위한 과정에서 여성의 역할과 국제적 실천에 대한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은 ‘북한 여성’이라는 새로운 창을 통해 균형을 갖추면서 독창적으로 북한 사회를 이해하려는 의도로 출발했다. 이 책에 담긴 각각의 글들은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의 북한을 이해하는 데 있어 창의적인 길라잡이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책이 대학을 비롯한 여러 현장에서 ‘북한 여성’을 가르치는 선생님들과 북한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유용한 길잡이가 되기를 바란다.
이 책은 3부로 나누어 총 11장으로 구성하였다.
제1부는 북한 여성의 역사와 법, 엘리트를 다루고 있다. 1장은 여성의 관점에서 ‘분단’을 더 깊게 생각해 보자는 주제로 분단이 여성의 삶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여성의 관점에서 북한 체제를 왜 다시 보아야 하는지를 논하고 있다. 2장은 지난 80여 년간의 북한 역사 속에서 여성의 삶과 역할은 무엇이었는지, 3장은 북한 사회 전반의 성격을 규정짓는 담론과 여성 관련 법, 현실 속 여성의 삶은 어떠한지, 4장은 북한의 여성 엘리트는 누구인지, 그들은 여성의 지도자인지를 서술하고 있다.
제2부는 북한 여성의 경제·사회·가정 생활과 사회화를 담고 있다. 5장은 경제활동을 통한 북한 여성의 진로선택과 직업세계가 어떻게 펼쳐지는지, 6장은 교육과 조직생활을 통해 북한 여성의 성역할이 어떻게 구성되는지, 7장은 ‘성’의 시각으로 북한 여성의 가정생활이 어떻게 시대별로 변천되는지, 8장은 생애 주기별로 북한 여성의 사회화와 재사회화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서술하였다.
제3부는 북한 여성의 문화와 건강, 한반도 평화와 여성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9장은 북한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기념일은 무엇이며 여성의 유행은 어떻게 변화하는지, 10장은 북한 보건정책과 의료서비스가 여성에게 어떻게 적용되는지, 여성 건강 실태를 통해 앞으로 여성 건강권의 방향성을 논하고 있다. 마지막 11장은 한반도 평화 실현을 위해 그동안 남북여성교류가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한반도 평화를 위한 과정에서 여성의 역할과 국제적 실천에 대한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은 ‘북한 여성’이라는 새로운 창을 통해 균형을 갖추면서 독창적으로 북한 사회를 이해하려는 의도로 출발했다. 이 책에 담긴 각각의 글들은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의 북한을 이해하는 데 있어 창의적인 길라잡이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책이 대학을 비롯한 여러 현장에서 ‘북한 여성’을 가르치는 선생님들과 북한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유용한 길잡이가 되기를 바란다.

북한의 여성
$30.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