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ld outPre order
Description
한국전쟁 휴전 후 송환거부포로 2만 3,000명을 수용한
장단벌 「힌드 나가르」(인도 마을)의 중립국송환위원회 설득작전 전개와
질서유지를 맡은 인도군 7,000명의 180일 기록
장단벌 「힌드 나가르」(인도 마을)의 중립국송환위원회 설득작전 전개와
질서유지를 맡은 인도군 7,000명의 180일 기록
- 부록: 인도 국방부, ‘인도군 한국파병사 1953~1954’
중립국송환위원회 의장국을 맡았던 인도 대표단 티마야 단장의 기록은 잃어버린 한국전쟁 휴전 직후사의 공백을 채울 수 있는 귀중한 자료다. 그는 네루 수상의 중립정책에 대한 충실한 실험조교였다. 2차세계대전 후 공산주의와 자유민주주의가 첨예하게 대립했던 냉전체제하에서 제3세력, 즉 중립지대의 존재는 불확실성 그 자체였다. 냉전체제 축소판 상황인 판문점에서 중립국 인도의 역할을 전 세계가 지켜보고 있었다. 그가 회고록 제목을 ‘중립의 실험’ 이라고 붙인 것도 이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그는 회고록을 12개 장으로 나누어 한국 전속 근무의 명령을 받은 때부터 ‘힌드 나가르’ 부임 및 설득작전 실시, 중립국 선택 포로들의 인도 도착 이후까지 상세하게 기록했다. 복잡한 문제가 발생할 때마다 중립적 입장에서 결정을 내리는 과정을 자세하게 밝혀 놓았다. 또한 북측 포로와 남측 포로, 중립국 송환위원국, 그리고 양측 사령부 등 각 주체간에 자신의 이데올로기를 내세우며 얼마나 맹목적으로 첨예하게 대립했는지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다. 또한 중간중간 세계전쟁사에 대한 해박한 지식도 곁들여 전쟁에 대한 올바른 안목과 판단을 이끌어내기도 했다.
- 〈옮긴이의 소개글〉 중에서 -
중립국송환위원회 의장국을 맡았던 인도 대표단 티마야 단장의 기록은 잃어버린 한국전쟁 휴전 직후사의 공백을 채울 수 있는 귀중한 자료다. 그는 네루 수상의 중립정책에 대한 충실한 실험조교였다. 2차세계대전 후 공산주의와 자유민주주의가 첨예하게 대립했던 냉전체제하에서 제3세력, 즉 중립지대의 존재는 불확실성 그 자체였다. 냉전체제 축소판 상황인 판문점에서 중립국 인도의 역할을 전 세계가 지켜보고 있었다. 그가 회고록 제목을 ‘중립의 실험’ 이라고 붙인 것도 이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그는 회고록을 12개 장으로 나누어 한국 전속 근무의 명령을 받은 때부터 ‘힌드 나가르’ 부임 및 설득작전 실시, 중립국 선택 포로들의 인도 도착 이후까지 상세하게 기록했다. 복잡한 문제가 발생할 때마다 중립적 입장에서 결정을 내리는 과정을 자세하게 밝혀 놓았다. 또한 북측 포로와 남측 포로, 중립국 송환위원국, 그리고 양측 사령부 등 각 주체간에 자신의 이데올로기를 내세우며 얼마나 맹목적으로 첨예하게 대립했는지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다. 또한 중간중간 세계전쟁사에 대한 해박한 지식도 곁들여 전쟁에 대한 올바른 안목과 판단을 이끌어내기도 했다.
- 〈옮긴이의 소개글〉 중에서 -

힌드 나가르 장단벌 중립국송환추진위원회의 설득작전 180일
$3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