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력주의의 함정 : 기독교윤리의 관점에서 본 능력주의

능력주의의 함정 : 기독교윤리의 관점에서 본 능력주의

$17.03
Description
현재 한국 사회는 “능력주의”란 함정에 빠져 있다. 사회뿐 아니라 교회마저도 능력주의의 함정에 빠져 고통스럽게 허우적거리면서도 이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폐해가 만만치 않다. 능력주의란 용어는 1958년 마이클 영의 풍자 소설에서 처음 등장했지만, 근대 이전부터 출신과 상관없이 능력에 따라 보상받아야 한다는 생각은 존재했다. 특히 근대 자유주의 이념은 신분이나 계급의 세습이 아니라 개인의 능력과 노력에 따라 누구든 부지런히 노력하면 사회적 지위를 보장받을 수 있다는 생각을 강화했다. 이러한 능력주의 이념은 현대에 이르러 “지위와 보상은 능력에 따라 분배되어야 한다”라는 분배 원칙으로 형성되었고, 사회적 불평등의 심화라는 역사적 배경에 따라, 기회의 평등과 사회적 이동성이라는 핵심 원칙을 전제로 발전했다.
그러나 서구 사회에서는 이러한 능력주의에 대해 오랫동안 반론이 제기되었다. 특히 능력주의는 경제적 불평등과 사회적 차별까지 도덕적으로 정당화하는 이데올로기라는 비판을 받는다. 이를 허구, 지배, 평등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먼저 능력주의자들이 전제하는 개인적이고, 통제할 수 있으며,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능력 개념은 존재하지 않는다. 가정과 사회에서 일어나는 운을 완벽히 제거하지 않는 한, 오로지 개인의 능력에 따른 성취를 파악할 수 없고, 교육이나 훈련을 통해 습득한 개인의 능력을 객관적으로 판별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능력주의는 능력 있는 엘리트들의 지배와 독점을 정당화한다. 현대 사회의 엘리트 집단은 자신들의 권력과 특권에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 능력주의 이데올로기를 사용하여 특권을 유지하고 현실의 불평등을 정당화한다. 마지막으로, 능력주의는 능력에 따른 불평등과 차별을 용인하여 사람들의 관계를 불평등하게 한다. 능력주의 체제는 능력을 갖춘 사람과 갖추지 못한 사람의 사회적 관계를 불평등하게 만들 뿐 아니라 능력을 대물림하는 또 다른 세습주의를 낳고 있다.
한마디로 능력주의는 공로의 횡포(The Tyranny of Merit)로서 권리와 오만과 남용으로 치닫기 쉬운 위험한 사상이다. 더구나 능력주의는 “공정하다는 착각”에 빠져 승자에게는 교만을 패자에게는 굴욕감을 안겨준다. 종교개혁의 정신은 공로가 아니라 은혜인데, 번영 신학 같은 능력주의 신학이 한국교회에서도 여전히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 책의 저자들은 능력주의의 문제를 신학, 사회, 정치, 교육, 경제 전반에 걸쳐서 심도 있게 연구했으며 종교개혁 정신을 현대의 문제에 적용했다. 이 책은 한국 사회에 만연한 능력주의의 문제점들을 지적할 뿐 아니라 해결책까지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특히 이 책은 이 시대 우리 사회, 특히 젊은이들이 고민하고 힘겨워하는 주제를 통전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나아가 이 책의 저자들은 개인적 삶의 문제가 곧 사회구조적인 차원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음을 명료하게 인식할 수 있게 도와준다. 이 책은 이 시대의 아픔에 공감하고 동참하며 대안 사회를 형성하길 바라는 성숙한 신앙인들이 반드시 읽어야 하는 필독서다.
저자

김성수,신혜진,이봉석,이종원,이지성,조용훈,최경석

장로회신학대학교(Th.B./M.Div./Th.M.)에서신학을공부했고,독일본대학교(Dr.theol.)에서기독교윤리를공부했다.1995년부터한남대학교기독교학과에서학생들을가르치고있으며교목실장과대학교회담임목사로도사역했다.『마을공동체와교회공동체』(2018)를비롯하여다수의저서와“글로벌재난윤리의종교적접근가능성과중요성에대한연구”(2022)등다수의학술지논문이있다.

목차


머리말13

능력주의사회에서한국교회의사회윤리적과제에대한연구
조용훈|한남대학교교수

Ⅰ.들어가는말19
Ⅱ.능력주의사회속인간과사회21
1.능력주의사회의특징21
2.능력주의사회속인간현실25
3.경제적불평등심화와민주주의의위기28
Ⅲ.능력주의사회에서사회윤리학적과제29
1.윤리학적과제29
2.사회정치적과제34
Ⅳ.능력주의사회에서한국교회의신학적과제39
1.능력주의신화및이데올로기비판39
2.“좋은사회”라는공동선증진을위한참여와연대40
3.하나님의정의에기초한교회안의능력주의극복과제42
Ⅴ.나가는말48
참고문헌50

“능력주의”사회에대한기독교사회윤리적제언
포도원주인이능력주의를대처하는법
이지성|루터대학교부교수

Ⅰ.2022년한국사회능력주의단면들55
Ⅱ.능력주의와불평등의함수관계59
Ⅲ.허구의“능력주의”와실현된디스토피아68
Ⅳ.기회의평등이라는“환상”버리기72
Ⅴ.포도원주인이능력주의를대처하는법79
참고문헌83

능력주의로인한불평등과양극화의윤리적문제
이종원|계명대학교조교수

Ⅰ.들어가는말89
Ⅱ.능력주의의발흥93
1.능력주의의기원93
2.능력주의의역설95
Ⅲ.능력주의로인한사회문제98
1.부의불평등과양극화98
2.세습과학벌주의102
3.금융자본과결탁된능력주의108
Ⅳ.능력주의를넘어서112
1.능력주의를넘어은혜와선물의윤리로112
2.청지기정신과타자에대한책임119
Ⅴ.나가는말122
참고문헌125

한국사회의메리토크라시특성비판
신혜진|이화여자대학교강사

Ⅰ.들어가는말129
Ⅱ.“메리토크라시”의이중적의미133
Ⅲ.한국사회에서의메리토크라시특성143
1.세습과자본주의의문제143
2.명분과민주주의의문제147
3.파워엘리트의결탁과역할-책임의문제150
4.신자유주의메리토크라시와한국여성159
Ⅳ.나가는말171
참고문헌174

능력주의의문제와법의역할
-볼프강후버의법윤리의적용-
김성수|명지전문대학교목

Ⅰ.들어가는말181
Ⅱ.능력주의의개념과문제183
Ⅲ.능력주의와법189
1.법의목적과기능189
2.법과기독교신앙의관계195
Ⅳ.능력주의와법윤리적과제200
Ⅴ.나가는말204
참고문헌206

능력에서연대로
“오징어게임”을기독교윤리적으로바라보기
최경석|남서울대학교부교수

Ⅰ.들어가는말211
Ⅱ.“오징어게임”속으로213
1.줄거리214
2.“오징어게임”에서연대성찾기216
Ⅲ.능력을공정으로인정하는입장에대한철학적비판222
1.의무론적윤리의입장223
2.목적론적윤리의입장226
Ⅳ.공적에서칭의로-능력을넘어서연대로229
1.칭의를통한연대230
2.노동을통한연대232
Ⅴ.나가는말:능력주의에대한신학적평가238
참고문헌240

한국사회의능력주의현상에대한이해와기독교윤리적제안
이봉석|감리교신학대학교겸임교수

Ⅰ.들어가는말245
Ⅱ.능력주의에대한사회학적위상247
1.능력주의에은폐된기회의불평등249
2.개인에게도덕적책임을묻는능력주의255
Ⅲ.능력주의에대한경제적위상학259
1.능력주의를지탱해주는자본주의정신과개신교복음주의259
2.금융자본주의가낳은불평등해소이론265
Ⅳ.능력주의에대한신학적위상271
Ⅴ.나가는말275
참고문헌279

필자소개282
편집자소개284

출판사 서평

책속에서

우선능력주의는경쟁의승자에게자신의성공이능력과노력의정당한대가이고자신은그걸누릴충분한자격이있다는도덕적오만에빠뜨린다는점에서폭군과같다.엄밀하게보면,성공한사람의승리란자신의능력과노력때문만이아님에도불구하고말이다.자신이3루에서태어났으면서도자기가3루타를친줄아는사회적불평등감수성이약한사람이있기마련이다.이런사람들에게나타나는문제는경쟁의패자들에대한도덕적채무감이나사회적연대의식이결여되어있다는점이다.자신의부와지위가혈통덕이라고인식했던과거의귀족들에게는사회에대해지녔던도덕적의무감(noblesoblige)을예의범절이나너그러움같은미덕으로표현했다.하지만능력주의사회속성공한사람들은그런도덕적의무감은없고오히려패자들을무시하고경멸한다.
---「능력주의사회에서한국교회의사회윤리적과제에대한연구」중에서

능력주의는세습이나상속같은구습을타파하기원하는진보성향의정치영역과노동계에서환영을받았지만점차불평등을정당화하는기제로활용되고있다는비판을마주하게된다.능력주의는자본주의를만나“지위와보상을능력에따라분배한다”라는원리에의해작동하게되었고그과정에서지위와보상은직업과소득으로등치되었다.즉능력에따라직업과소득이분배되어야한다는도식으로환원되면서한정적인직업과소득은소수특권자들의몫이되는결과를가져온것이다.결국지금우리사회에서능력주의는능력에따라“각자의몫을각자에게”라는고전적해석이아니라“특정직업과소득을분배하는사회제도”로활용되고있다.
---「“능력주의”사회에대한기독교사회윤리적제언」중에서

추천사

세상은온통“능력주의”로뒤덮여있는듯보인다.능력주의가지닌긍정적인면이많지만,부작용도적지않다.능력주의에대한우려와비판의목소리가커가고있는현실에서일곱명의기독교윤리학자가이책에서대안을모색하고있다.독자들은아마도나처럼책을읽기시작한순간부터깨달음의기쁨과새로운소명감이살아나는경험을하게될것이다.보다더공정한세상을위해기도하며애쓰는모든그리스도인이꼭읽었으면좋겠다는마음으로이책을적극추천한다.
-김경진(소망교회담임목사)

21세기초반우리의삶을사회윤리학적관점에서비판적으로반성할때기독교사회윤리학이우선다뤄야할과제는메리토크라시(능력주의)다.기독교윤리학자들이메리토크라시에대해다양한학제간의연구를소개하며신학으로서의기독교윤리학적해석과대안을제시했다는점에서이책은의미와가치를지닌다.무엇보다이책은이시대우리사회,특히젊은이들이고민하고힘겨워하는주제를통전적으로분석하고이해할수있도록돕는역할을한다는점에서환영받을만하다.나아가이책의저자들은개인적삶의문제가곧사회구조적인차원과밀접한관계를맺고있음을명료하게인식할수있게도와준다는점에서기독교윤리학자들다운역할을책임있게수행한것으로평가받을수있다.그들은주제에대한분석과이해를넘어성서적비전에근거한대안사회의내용과방향성을제시하고있다.따라서이책은이시대를아파하는신앙인들에게독서에참여하고토론하며공감하고결단하고나아가대안사회를형성하는일에동참하라는초대장이라할수있다.시대의아픔에동참하는성숙한신앙인들에게이책을절절한마음으로추천한다.
-임성빈(한국기독교학회회장)

이책의저자들은한국사회에만연한능력주의의문제점들을지적할뿐아니라해결책까지도구체적으로제시하고있다.실력위주의자본주의체제는사회를불평등과양극화와무한생존경쟁으로인해공멸하는피바다로만들것이다.그것은은혜를권리로만드는것이다.저자들은기독교윤리학자들로서받은능력을은혜와선물과혜택으로여기며겸손하게공동선에기여하는방법으로서로연대하고배려하며맡은책임을느끼고섬기며상생하는궁극적인가치를지향하는블루오션을제안한다.능력주의신학의반성으로부터시작하여사회전반에새로운패러다임을제공하기에신학뿐아니라각분야에유용한지침이되리라믿기때문에독자들에게이책을강력하게추천한다.
-한기채(중앙성결교회담임목사)

후버의구상은능력주의의문제극복에필요한과제의윤곽을설명해준다.앞서설명한것처럼능력주의는능력의배경적요인을간과함으로써사회적불평등을고착화한다.특히사회적배경의결핍에의해부족한능력을가진사람이경쟁에서도태되는상황이방치된다.이에따라후버의주장처럼교육의증진을통해역량을강화함으로써공정한경쟁을가능케하여실질적기회균등을구현하는것이필요하다.이는배경의불평등에의한사회적불평등을극복하는결과를가져온다.그현실화를위해법의역할이필요하다.법은발전권의보장을통해평등한교육기회를구체화할수있다.교회는달란트비유가암시하고있듯이교육의증진을책임적과제로이해하고발전권의실현을위해노력해야한다.
---「능력주의의문제와법의역할」중에서

하나님의전적인은총에의해자유를얻으며의롭다고칭함을받은인간은타인과사물을섬기는자유로확장시켜야한다.즉봉사의실행인것이다.엄격한의미에서봉사는능력에따른업적에해당한다.하지만루터에게서봉사는이기적인측면을넘어서타인의,기독교적용어로말한다면이웃의이익과행복을위한업적이다.타인을향한봉사는이웃들과의연대를통해가능하다.인간들의자유는이웃들과연대하면서공동체의행복을증진시키기위한봉사로표출되어야한다.봉사는인간의노동을통해서가능하다.
---「능력에서연대로」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