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현재 한국 사회는 “능력주의”란 함정에 빠져 있다. 사회뿐 아니라 교회마저도 능력주의의 함정에 빠져 고통스럽게 허우적거리면서도 이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폐해가 만만치 않다. 능력주의란 용어는 1958년 마이클 영의 풍자 소설에서 처음 등장했지만, 근대 이전부터 출신과 상관없이 능력에 따라 보상받아야 한다는 생각은 존재했다. 특히 근대 자유주의 이념은 신분이나 계급의 세습이 아니라 개인의 능력과 노력에 따라 누구든 부지런히 노력하면 사회적 지위를 보장받을 수 있다는 생각을 강화했다. 이러한 능력주의 이념은 현대에 이르러 “지위와 보상은 능력에 따라 분배되어야 한다”라는 분배 원칙으로 형성되었고, 사회적 불평등의 심화라는 역사적 배경에 따라, 기회의 평등과 사회적 이동성이라는 핵심 원칙을 전제로 발전했다.
그러나 서구 사회에서는 이러한 능력주의에 대해 오랫동안 반론이 제기되었다. 특히 능력주의는 경제적 불평등과 사회적 차별까지 도덕적으로 정당화하는 이데올로기라는 비판을 받는다. 이를 허구, 지배, 평등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먼저 능력주의자들이 전제하는 개인적이고, 통제할 수 있으며,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능력 개념은 존재하지 않는다. 가정과 사회에서 일어나는 운을 완벽히 제거하지 않는 한, 오로지 개인의 능력에 따른 성취를 파악할 수 없고, 교육이나 훈련을 통해 습득한 개인의 능력을 객관적으로 판별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능력주의는 능력 있는 엘리트들의 지배와 독점을 정당화한다. 현대 사회의 엘리트 집단은 자신들의 권력과 특권에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 능력주의 이데올로기를 사용하여 특권을 유지하고 현실의 불평등을 정당화한다. 마지막으로, 능력주의는 능력에 따른 불평등과 차별을 용인하여 사람들의 관계를 불평등하게 한다. 능력주의 체제는 능력을 갖춘 사람과 갖추지 못한 사람의 사회적 관계를 불평등하게 만들 뿐 아니라 능력을 대물림하는 또 다른 세습주의를 낳고 있다.
한마디로 능력주의는 공로의 횡포(The Tyranny of Merit)로서 권리와 오만과 남용으로 치닫기 쉬운 위험한 사상이다. 더구나 능력주의는 “공정하다는 착각”에 빠져 승자에게는 교만을 패자에게는 굴욕감을 안겨준다. 종교개혁의 정신은 공로가 아니라 은혜인데, 번영 신학 같은 능력주의 신학이 한국교회에서도 여전히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 책의 저자들은 능력주의의 문제를 신학, 사회, 정치, 교육, 경제 전반에 걸쳐서 심도 있게 연구했으며 종교개혁 정신을 현대의 문제에 적용했다. 이 책은 한국 사회에 만연한 능력주의의 문제점들을 지적할 뿐 아니라 해결책까지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특히 이 책은 이 시대 우리 사회, 특히 젊은이들이 고민하고 힘겨워하는 주제를 통전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나아가 이 책의 저자들은 개인적 삶의 문제가 곧 사회구조적인 차원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음을 명료하게 인식할 수 있게 도와준다. 이 책은 이 시대의 아픔에 공감하고 동참하며 대안 사회를 형성하길 바라는 성숙한 신앙인들이 반드시 읽어야 하는 필독서다.
그러나 서구 사회에서는 이러한 능력주의에 대해 오랫동안 반론이 제기되었다. 특히 능력주의는 경제적 불평등과 사회적 차별까지 도덕적으로 정당화하는 이데올로기라는 비판을 받는다. 이를 허구, 지배, 평등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먼저 능력주의자들이 전제하는 개인적이고, 통제할 수 있으며,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능력 개념은 존재하지 않는다. 가정과 사회에서 일어나는 운을 완벽히 제거하지 않는 한, 오로지 개인의 능력에 따른 성취를 파악할 수 없고, 교육이나 훈련을 통해 습득한 개인의 능력을 객관적으로 판별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능력주의는 능력 있는 엘리트들의 지배와 독점을 정당화한다. 현대 사회의 엘리트 집단은 자신들의 권력과 특권에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 능력주의 이데올로기를 사용하여 특권을 유지하고 현실의 불평등을 정당화한다. 마지막으로, 능력주의는 능력에 따른 불평등과 차별을 용인하여 사람들의 관계를 불평등하게 한다. 능력주의 체제는 능력을 갖춘 사람과 갖추지 못한 사람의 사회적 관계를 불평등하게 만들 뿐 아니라 능력을 대물림하는 또 다른 세습주의를 낳고 있다.
한마디로 능력주의는 공로의 횡포(The Tyranny of Merit)로서 권리와 오만과 남용으로 치닫기 쉬운 위험한 사상이다. 더구나 능력주의는 “공정하다는 착각”에 빠져 승자에게는 교만을 패자에게는 굴욕감을 안겨준다. 종교개혁의 정신은 공로가 아니라 은혜인데, 번영 신학 같은 능력주의 신학이 한국교회에서도 여전히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 책의 저자들은 능력주의의 문제를 신학, 사회, 정치, 교육, 경제 전반에 걸쳐서 심도 있게 연구했으며 종교개혁 정신을 현대의 문제에 적용했다. 이 책은 한국 사회에 만연한 능력주의의 문제점들을 지적할 뿐 아니라 해결책까지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특히 이 책은 이 시대 우리 사회, 특히 젊은이들이 고민하고 힘겨워하는 주제를 통전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나아가 이 책의 저자들은 개인적 삶의 문제가 곧 사회구조적인 차원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음을 명료하게 인식할 수 있게 도와준다. 이 책은 이 시대의 아픔에 공감하고 동참하며 대안 사회를 형성하길 바라는 성숙한 신앙인들이 반드시 읽어야 하는 필독서다.
능력주의의 함정 : 기독교윤리의 관점에서 본 능력주의
$1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