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영혼이 없는 몸이 죽은 것처럼, 생명의 충만함을 잃어버린 도시는 그 자체로 삭막한 공동묘지와 같다. 톱니바퀴처럼 돌아가는 도시의 일상에 시달리다 보면 우리는 어느 순간 세속의 욕망의 노예가 되어 탈진하고 소멸하는 존재가 되어버린다. 그리고 자신만의 삶의 패턴과 리듬을 잃어버린 채 세속이 작곡한 현대성의 노래 위에서 광대처럼 살아가게 된다. 따라서 신을 잃어버린 세속 도시에 사는 우리에게는 에덴동산과 같은, 세속의 일상을 회복시킬 수 있는 절대적인 시공간이 필요하다.
2021년 온 나라가 부동산 문제로 몸살을 앓고 있던 시기에 『도시를 어떻게 구원할 것인가?』라는 저서를 통해 교회가 하늘에 속한 땅이자 도시의 공적 파트너로서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에 관한 대안을 제시했던 도시신학자 김승환 박사가 3년 만에 세속 도시의 영적 빈곤함을 충만케 할 방법에 대한 숙고의 결과물을 내놓았다.
『도시를 어떻게 충만케 할 것인가?』에서 저자는 갈수록 메말라 가는 세속 도시를 되살릴 신학적 개념으로 ‘충만함’에 주목한다. 끊임없이 무엇인가 소비하고 소유하려는 세속의 삶에서, 그러나 생명의 근원인 하나님과의 연결이 있어야 도시의 일상을 재창조할 수 있고 신성한 충만함을 경험할 수 있다. 저자는 마치 메마른 사막 한가운데에 거대한 파이프라인으로 연결하여 시원한 물을 가득 쏟아붓듯 도시의 한복이 하나님의 충만함으로 가득 채워지는 시공간의 예전을 주목하면서, 평화, 안식, 환대를 통해 영성과 초월성을 잃어버린 도시의 영혼을 충만케 하는 다양한 방법을 이야기한다.
1-3장은 도시의 일상의 관한 저자의 신학적인 탐구를 담고 있다. 그는 일상 신학, 공간 신학, 근원적 정통주의(Radical Orthodoxy) 신학을 기반으로 ‘시간의 충만함’을 논한다. 목적 없는 새로움과 속도를 추구하는 세속 도시에서 찰나에 경험되는 신성한 시간은 유한한 존재가 영원한 그분과 조우함으로써 시간의 한계를 넘어서는 신비의 장으로 나아가게 한다. 이어서 4-6장에서 저자는 공간과 장소신학의 관점에서 도시 공간의 세속화를 비판하고 공간의 기원으로서의 삼위일체 하나님의 관계성을 제안하면서 거룩한 공간과 관계적인 장소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하나님을 떠나 거룩성을 상실한 도시 역시 하나님이 지으신 창조세계의 일부이고 그분의 다스림이 미치는 곳이자 우리 일상의 영역인 동시에 선교의 영역이다. 따라서 그리스도를 믿고 따르는 우리는 도시의 일상과 공간을 새로운 신앙 경험과 표현의 장소로 삼고 그 안에서 함께 구원을 경험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욕망과 물질이 지배자 노릇을 하고 있는 이 도시의 한가운데서 여전히 신성함과 거룩함으로 충만한 시간, 공간, 일상을 갈망하는 그리스도인이라면, 또한 도시를 선교지로 삼아 이 장소를 회복하고자 하는 소명을 품은 목회자라면, 이 책을 통해 저자의 신학적 성찰과 상상을 공유함으로써 각자의 신학적 고민을 풀어나가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한국의 토속 신학자를 통해 (서구 신학의 전유물처럼 여겨졌던) 현대 도시에 관한 신학적 반성이 이루어졌다는 점이 매우 고무적이다.
2021년 온 나라가 부동산 문제로 몸살을 앓고 있던 시기에 『도시를 어떻게 구원할 것인가?』라는 저서를 통해 교회가 하늘에 속한 땅이자 도시의 공적 파트너로서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에 관한 대안을 제시했던 도시신학자 김승환 박사가 3년 만에 세속 도시의 영적 빈곤함을 충만케 할 방법에 대한 숙고의 결과물을 내놓았다.
『도시를 어떻게 충만케 할 것인가?』에서 저자는 갈수록 메말라 가는 세속 도시를 되살릴 신학적 개념으로 ‘충만함’에 주목한다. 끊임없이 무엇인가 소비하고 소유하려는 세속의 삶에서, 그러나 생명의 근원인 하나님과의 연결이 있어야 도시의 일상을 재창조할 수 있고 신성한 충만함을 경험할 수 있다. 저자는 마치 메마른 사막 한가운데에 거대한 파이프라인으로 연결하여 시원한 물을 가득 쏟아붓듯 도시의 한복이 하나님의 충만함으로 가득 채워지는 시공간의 예전을 주목하면서, 평화, 안식, 환대를 통해 영성과 초월성을 잃어버린 도시의 영혼을 충만케 하는 다양한 방법을 이야기한다.
1-3장은 도시의 일상의 관한 저자의 신학적인 탐구를 담고 있다. 그는 일상 신학, 공간 신학, 근원적 정통주의(Radical Orthodoxy) 신학을 기반으로 ‘시간의 충만함’을 논한다. 목적 없는 새로움과 속도를 추구하는 세속 도시에서 찰나에 경험되는 신성한 시간은 유한한 존재가 영원한 그분과 조우함으로써 시간의 한계를 넘어서는 신비의 장으로 나아가게 한다. 이어서 4-6장에서 저자는 공간과 장소신학의 관점에서 도시 공간의 세속화를 비판하고 공간의 기원으로서의 삼위일체 하나님의 관계성을 제안하면서 거룩한 공간과 관계적인 장소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하나님을 떠나 거룩성을 상실한 도시 역시 하나님이 지으신 창조세계의 일부이고 그분의 다스림이 미치는 곳이자 우리 일상의 영역인 동시에 선교의 영역이다. 따라서 그리스도를 믿고 따르는 우리는 도시의 일상과 공간을 새로운 신앙 경험과 표현의 장소로 삼고 그 안에서 함께 구원을 경험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욕망과 물질이 지배자 노릇을 하고 있는 이 도시의 한가운데서 여전히 신성함과 거룩함으로 충만한 시간, 공간, 일상을 갈망하는 그리스도인이라면, 또한 도시를 선교지로 삼아 이 장소를 회복하고자 하는 소명을 품은 목회자라면, 이 책을 통해 저자의 신학적 성찰과 상상을 공유함으로써 각자의 신학적 고민을 풀어나가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한국의 토속 신학자를 통해 (서구 신학의 전유물처럼 여겨졌던) 현대 도시에 관한 신학적 반성이 이루어졌다는 점이 매우 고무적이다.
도시를 어떻게 충만케 할 것인가? : 도시의 일상과 공간에 대한 신학적 상상과 성찰
$1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