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외교정책과 대외관계

중국의 외교정책과 대외관계

$28.58
저자

DavidShambaugh

저자:DavidShambaugh
샴보(DavidShambaugh)는조지워싱턴대학교엘리엇국제관계대학의아시아학,정치학,국제관계학의가스톤시구르(GastonSigur)교수겸중국정책프로그램(CPP:ChinaPolicyProgram)의책임자이다.그는런던대학교소아즈(SOAS:SchoolofOrientalandAfricanStudies)에서중국정치학부교수였으며,TheChinaQuarterly의편집자로도활동했다.국제미디어에서활발한공공지식인이자단골논평가로활동하고있는그는수많은편집위원을역임하고있으며,정부,연구기관,재단,대학,기업,은행,투자기금등의자문위원을맡아왔다.조지워싱턴대(B.A),존스홉킨스SAIS(M.A),미시간대(PhD)에서수학했고,전세계적으로강연해왔으며,호주,오스트리아,브라질,중국,독일,홍콩,이탈리아,일본,러시아,싱가포르,대만의대학및연구소에서객원연구원및교수를지냈다.그의학문적연구는중국의국내정치,대외관계,군사및안보,그리고아시아의국제관계에초점을맞추었다.샴보는30권이상의책을출판했다.가장최근출판된책들은ChinaGoesGlobal(2013),TangledTitans:TheUnitedStatesandChina(2013),InternationalRelationsofAsia(2014),China’sFuture(2016),TheChinaReader:RisingPower(2016)와WheregreatPowersMeet:America&ChinainSoutheastAsia(2020)등이있다.

역자:김지용
연세대학교경제학과졸업
연세대학교국제관계학석사
뉴욕주립대(SUNYBuffalo)국제관계학/방법론박사
현해군사관학교국제관계학과교수
국방부현대군사명저출간위원회위원
한국해양전략연구소편집위원회위원
해양연구소해양정책/전력연구부겸임연구원
연세대학교BK21연구원,국립외교원객원교수,중앙대학교강의전담교수역임
주요논저
『동아시아해양안보정세와전망』(공저,박영사)
『행태적분쟁:사람의동기를이해하는것이미래분쟁에서왜결정적인가?』
(공역,국방부)
『국제안보의이해:이론과실제』(공역,명인문화사)
“민주주의는왜수호되어야하는가?전쟁수행과위기대응을중심으로”(정신전력연구)
“남중국해미중충돌가능성진단을위한네가지실마리”(이어도저널)
“21세기미국은19세기영국의실책을반복할것인가?”(Periscope)
“미국대통령의여론민감도와청중비용”(국방연구)
“세력전이와해양패권쟁탈전”(글로벌정치연구)
“야당의의회장악력,지도자의재임시점,그리고청중비용”(국방연구)외다수

역자:서윤정
연세대학교인문학부(국어국문·중어중문과)졸업
뉴욕주립대(SUNYBuffalo)비교문학·미디어연구석사
현전문번역가로활동
대기업에서글로벌소싱,트레이딩,무역분쟁협상업무역임

목차

저자서문
역자서문
1부서론
1장글로벌파워를향한중국의대장정
1950년대:고립
1960년대:설상가상
1970년대:중국,세계에합류하다
1980년대:낙관주의에서비관주의로
1990년대:고립에서복원으로
2000년대:전방위적외교
2010년대:자신감과명성의증가
2부역사적근거
2장과거의유산
제국
권위주의
‘백년국치’
현재속의과거
3장중국의국가적경험과국가대전략의진화
국가정체성
지상명령이된평화질서
중국의거버넌스
중국이베스트팔렌질서를수용하다
국경불안과미중대립
봉쇄대(對)혁명
미국의보호국및협약파트너로서의중국
덩샤오핑지지자들의대전략
1989년이후중국의대전략
미국에대한중국의환멸과성취에대한자부심
소원해진미중관계
수정된중국의대전략을향해
미중경쟁관계가적대관계가되다
결론ㆍ
3부내부적근거
4장민족주의,사회적영향력,그리고중국의외교정책
국가의정당성을결정하는중국민족주의정치
중국의세계관에대한연구
중국이바라보는세계
사회화가중국인의세계관을형성하는방식
대중민족주의는중국의외교정책을형성하는가?
중국인과세계
5장중국의외교정책수립과정:행위자와제도
지도자들이중요하다:혁명적외교에서저자세외교로
시진핑과중국의대국외교
외교정책조정
국가외교와관료주의
당외교와중국공산당관료주의
군사외교와민군협조
외교정책과정의새로운행위자
결론
4부중국의글로벌상호작용의영역
6장중국의글로벌경제적상호작용
중국경제의성숙
중국은어떻게여기까지왔는가
경제적영향력의행사
위안화국제화및자본수지자유화
일대일로
무역,무역전쟁,중국의해외직접투자
평가하기
7장중국의글로벌문화적상호작용
중국을팝니다
목표와동인(動因)
도구및메커니즘
결론
8장중국의글로벌거버넌스상호작용
국력과책임성:누가세계를지배하는가?
글로벌거버넌스에서의중국의주도적역할
중국의주도적역할
중국은글로벌거버넌스의책임있는리더인가?
9장중국의글로벌군사-안보상호작용
중국의해외이익보호
중국국가안보이익과인민해방군군사임무
현대적인민해방군으로가는길
중국의안보환경
군사외교및안보협력
결론
5부중국의양자및지역관계
10장중국과미국의관계
상호작용의역사적패턴
오바마,트럼프,시진핑:실용주의를압도하는경쟁주의
현재의사안및상호작용영역
미래를내다보며:주요변수
11장중국과러시아의관계
정상화의논리
결론및전망
12장중국과유럽의관계
EU와중국:역사적시소타기
중국의유럽진출에대한대응
유럽의대응수위조정
유럽을바라보는상반된시각
결론
13장중국과아시아의관계
개요
냉전종식이후
시진핑의영향
중국과아시아하부지역
결론
14장중국과아프리카,중남미및중동의관계
개발도상국에대한중국의전략적관점
중국과개발도상국관계의세가지특징
중국의개발도상국과관여방식
결론
15장중국특색의지역다자주의
다자주의에대한중국의인식
중국의지역적다자주의실천
결론
6부패턴과전망
16장중국과세계:향후의도전과제
향후20년간중국의진화에있어중요한요소들
도전과제1:국내문제의영향
도전과제2:미국과의관계
도전과제3:러시아와의관계
도전과제4:아시아이웃국가와의관계
도전과제5:일대일로
도전과제6:글로벌거버넌스
도전과제7:소프트파워
성찰

찾아보기
저자소개
역자소개
도해목차


9.1군개혁이후변화된인민해방군
9.2인민해방군의상위10개파트너국가,2003~2018년
15.1상하이협력기구정상회의,1996~2018년
15.2중국-아랍국가협력포럼,2004~2018년
15.3중국-중·동유럽국가(CEEC)정상회의,2012~2018년
15.4중국-아프리카협력포럼(FOCAC)회의,2000~2018년
15.5브릭스(BRICS)정상회의,2009~2018년

도표
4.1“중국의꿈,나의꿈:부강(富强)”
4.2다른국가에대한중국인들의신뢰도
4.3자본주의와경쟁:“시간은돈이고,효율은삶이다”
6.1중국의수출입
6.2공식적인외환보유고
6.3외국인직접투자
6.4일대일로
6.5중국해외직접투자의지역적구성
9.1활동별군사외교활동총계,2003~2018년
9.2고위급방문총횟수,2003~2018년
9.3인민해방군의기능별총국제군사훈련,2002~2018년
9.4인민해방군의유형별총군사훈련,2002~2018년
9.5인민해방군해군이외국에발신한총기항통지,2002~2018년
9.6지리적권역별고위급해외방문,2003~2018년
11.12003~2014년중국-러시아총무역량
12.1EU의대(對)중국상품무역,2006~2016년
16.1중국GDP성장률예측
16.2중국의에너지소비선형예측
16.3중국의원유수입선형예측
16.4중국의연구개발비,2000~2017년
16.5중국의R&D지출예측,2018~2040년
16.6중국의국방비지출예측
16.7중국에대한국제적관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