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계동,김태환,김태효,김현,마상윤,서정건,신범식,유진석,윤진표,이기범,이
저자:김계동
안보,외교,남북한관계를포함한국제정치분야를가르치고연구하고있다.연세대학교정치외교학과를졸업했으며,영국옥스퍼드대학교에서국제정치학박사학위를받았다.한국국방연구원연구위원,국가정보대학원및연세대학교교수를역임했으며,현재건국대학교안보·재난관리학과초빙교수로재직중이다.단독저서로『남북한국가관계구상:대북정책의뉴패러다임』,『남북한체제통합론』,『현대유럽정치론:정치의통합과통합의정치』,『북한의외교정책과대외관계』,『한국전쟁,불가피한선택이었나』,『한반도분단,누구의책임인가』등10여편이있으며,이중에서5권의서적이대한민국학술원우수학술도서로선정되었다.이이외에도수십편의공동저서,단독번역서,공동번역서가있다.
저자:김태환
저자:김태효
필자는2005년부터성균관대학교정치외교학과교수로재직중이다.신아시아연구소부소장과계간학술지<신아세아(NewAsia)>의편집인이기도하다.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국학중앙연구원)연구원(2000-2001),외교부외교안보연구원(현국립외교원)조교수(2002-2005),대통령대외전략비서관(2008-2011),대통령대외전략기획관(2012),성균관대국가전략대학원원장(2015)을역임했다.
필자의연구화두는국제정치이론이어떻게외교정책에투영되고,정책현장이다시이론의진화를어떻게자극하는지규명하는것이다.이제까지70여편의학술논문을국내외학술지에게재했고,<현대외교정책론>을공동집필했다.
저자:김현
저자:마상윤
현가톨릭대학교국제학부교수.서울대학교외교학과를졸업하고옥스퍼드대학교에서국제정치학박사학위를받았다.주요저서와논문으로《한국의민주주의와한미관계》(공저),〈미·중관계와한반도〉등이있다.
저자:서정건
경희대학교정치외교학과교수.서울대학교정치학과를졸업한후미국텍사스대(오스틴)UniversityofTexasatAustin에서미국의회와외교정책을주제로정치학박사학위를받았다.미국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학교(윌밍턴)UniversityofNorthCarolinaWilmington에서조교수(2007-2012)를지냈으며미국우드로우윌슨센터에서풀브라이트Fulbright펠로우(2019)와미국정치연구회회장(2020)을역임했고,2025년한국정당학회회장으로활동중이다.대통령실국가안보실,국회의장실,외교부,통일부자문위원이며한국연구재단책임전문위원과KBS객원해설위원등을지냈다.단독저서인『미국정치가국제이슈를만날때』(서강학술총서,2019)와공저인『미국정치와동아시아외교정책』(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2017)은모두대한민국학술원우수도서로선정되었고논문인TheChinaCard:PlayingPoliticswithSino-AmericanRelations(PoliticalScienceQuarterly2012)는미국정치학회(APSA)외교정책분야최우수논문(2009)으로뽑혔다.이외에WedgeIssueDynamicsandPartyPositionShifts:ChineseExclusionDebatesinthepost-reconstructionU.S.Congress,1879-1882(PartyPolitics2011),미국국내정치와경제안보:미국은어떻게중국을견제하는가?(『국가전략』2023),트럼프행정부와미국외교의잭슨주의전환(『한국과국제정치』2017)등다수의공저와논문을출간하였다.
저자:신범식
서울대학교정치외교학부교수이다.서울대학교외교학과를졸업하고동대학원에서석사학위를,러시아국립모스크바국제관계대학교에서정치학박사학위를받았다.현재서울대학교국제문제연구소소장을맡고있다.주요논저로,『국제안보환경의도전과한반도』,『유라시아의지정학적중간국외교』,『러시아의사이버안보』(2021),『북·중·러접경지대를둘러싼소지역주의전략과초국경이동』,『21세기유라시아도전과국제관계』,“Russia’sPerspectivesonInternationalPolitics,AComparisonofLiberalist,RealistandGeopoliticalParadigms”등이있다.
저자:유진석
숙명여대정외과교수
저자:윤진표
성신여대정치외교학과명예교수
미국사우스캐롤라이나대학교정치학박사
2022.『신남방정책평가와개선방향』(공저,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21.『한-아세안청년상호인식조사』(편저,한아세안센터)
2020.『현대동남아의이해』(서울:명인문화사)
2020.『2020동아시아전략평가』(공저,동아시아안보전략연구회)
저자:이기범
저자:이상환
미시간주립대학교(MichiganStateUniversity)정치학박사(Ph.D.),미시간주립대학교(MichiganStateUniversity)정치학석사(M.A.),한국외국어대학교정치학사(B.A.).현재한국외국어대학교정치외교학과교수,국민권익위원회자문위원,국제학술지KoreaJournalofInternationalStudies편집장(Editor-in-chief)이다.한국외국어대학교정치행정언론대학원장/연구산학협력단장/학생복지처장/글로벌정치연구소장/외무고시반지도교수등,미시간주립대학교아시아연구센터풀브라이트방문학자(FulbrightVisitingScholar),한국연구재단정치학분야RB,한국국제교류재단글로벌시티즌십프로그램사업주관교수,제24회세계모의유엔대회(Harvard-HUFSWorldMUN)주관교수,대통령외교안보자문위원,통일부정책자문위원,청와대국가안보실정책자문위원,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자문위원,국립외교원설립추진위원,서울동부지역산학단장협의회회장,국립창원대학교국제관계학과교수,육군정훈장교(중위)로군복무등을역임했다.
저자:이태동
연세대학교정치외교학과학사,서울대학교환경대학원도시및지역계획학석사,미국워싱턴대학교정치학박사,전)홍콩시티대학조교수,현)연세대학교정치외교학과부교수동서문제연구원환경-에너지-인력자원연구센터장
저자:인남식
저자:전재성
서울대학교외교학과를졸업하고미국노스웨스턴(NorthwesternUniversity)대학교에서정치학박사학위를받고,현재서울대학교외교학과부교수로재직중이다.저서로는'소프트파워와21세기권력'(공저),'북핵문제와한반도평화정착'(공저),'지식질서와동아시아'(공저),'인터넷권력의해부'(공저)등이있고,주요논문으로는'한반도평화체제의건설:쟁점,과제,전망','한반도평화체제:남북한의구상과정책비교검토'등이있다.
저자:조양현
국립외교원외교안보연구소교수
『アジア地域主義とアメリカ』(東京大出版,2009),『한국의대외관계와외교사현대편』(공저,동북아역사재단,2019),『境を越える危機』(共著,東京大出版,2020),『競合する史認識と史和解』(共著,晃洋書房,2020)등
저자:차창훈
중국정치,국제정치전공.영국Warwick대에서박사학위를취득했다.현재부산대정치외교학과교수로재직하고있다.주요연구성과로『동아시아거버넌스』(공저,2004),『현대외교정책론』(공저,2012),『거버닝차이나』(공역,2013),“China’sSearchforIdeologicalValuesinWorldPolitics:ChineseAdaptationtoLiberalOrderDrawnfromPoliticalReportsoftheChineseCommunistPartyCongresssince1977”(2017)등이있다.
저자:최진우
최진우교수님은현재한양대학교정치외교학과에서학생들을가르치고있다.주로강의하는과목은국제정치학입문,국제정치경제론,국제협상론,유럽정치론등이다.유럽과동아시아의지역통합에특히관심이많으며,한국과미국의외교정책,문화와정치등에대해서도연구하고있다.유럽정치연구회회장,한국유럽학회부회장,한국정치학회총무이사,한국국제정치학회연구이사등의일을맡아폭넓은학회활동을하고있다.
저자:홍현익
서울대학교외교학과학사,석사를졸업하고프랑스파리1대학(빵데옹소르본)에서정치학박사학위를이수했다.미Duke대객원연구위원,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상임위원및국제위원회간사,청와대NSC정책자문위원,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위원,세종연구소안보전략연구실장을역임하였다.현재는한국관광공사남북관광자문위원회자문위원,국회입법조사처조사분석지원위원,북한대학원대학교겸임교수,특임장관정책자문위원,세종연구소수석연구위원으로활동중이다.대표적인논문으로는소비에트연방체제붕고의원인(1998),북핵문제와6자회담:전개과정,평가및과제(2008),21세기한국의국아나보전략과힌·미동맹(2008),한국의대북전략과한·러협력방안(2009),오바마행정부의대북정책과한국의대응방안(2010),미·중·러3각관계의변화와한국의대응(2011)등이있으며저서로는'21세기대한민국의한반도대전략:북한문제해결과평화구축및통일전략'(한울,2012년)외다수가있다.
서문
제1부외교정책의이론과분석틀
1장외교정책분석의역사와발전
1.서론
2.냉전기외교정책연구의시작
3.냉전기외교정책연구의발전
4.탈냉전기와21세기외교정책연구의변화
1)냉전의종식과외교정책연구의변화
2)21세기민주화,정보화의진행과외교정책연구의변화
3)양면게임으로서외교정책분석
4)폴리휴리스틱모델의외교정책분석
5)21세기외교의출현과외교정책의미래
5.결론
토의주제/참고문헌
2장외교정책결정의구조와과정
1.서론
2.외교정책결정의구조
1)외교정책결정구조의다양성
2)최종결정단위접근법
3.외교정책결정의과정
1)외교정책결정과정의단계
2)최종결정단위와외교정책결정과정
4.외교정책결정이론
1)합리적행위자모델
2)정책결정자개인수준의이론
3)정책결정집단수준의이론
5.결론
토의주제/참고문헌
3장국내정치와외교정책
1.서론
2.외교정책연구에서국내정치요인에관한역사적조망
1)현실주의패러다임에서의국내정
2)외교정책론의등장과국내정치요인
3.정치체제와외교정책
1)민주주의국가와권위주의국가
2)의회-대통령관계
4.정치과정과외교정책
1)정당과선거
2)정당시스템과외교정책경쟁
5.사회세력과외교정책
1)여론과미디어
2)이익단체와싱크탱크
6.결론
토의주제/참고문헌
4장국제법과외교정책
1.서론
2.국제법의연원:국제관습법과조약
1)국제사법재판소규정제38조제1항
2)국제관습법
3)조약
3.외교정책수립시국제법의역할및중요성
4.국제법과국가간충돌
1)한일청구권협정에대한다른해석
2)우크라이나사태
5.국제법과국제분쟁의해결
1)남중국해사건
2)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영유권분쟁사건
3)영국-프랑스암초영유권분쟁사건
6.국제법과제재
1)국내법에근거한제재:우크라이나사태관련미국의대러시아제재
2)국제법에따른제재:대북제재
3)유엔안전보장이사회결의에사용된동사(verb)에따른강제성과외교정책수립
7.결론
토의주제/참고문헌
제2부외교정책의주요영역
5장군사안보외교
1.서론
2.군사안보개념의지속성과변화
3.안보이론과안보정책의재조명
1)전쟁과평화
2)민주주의와국제규범
4.군사안보외교의목표와수단
5.군사안보외교의실행사례
1)전면전쟁과동맹외교
2)다자안보와협력외교
3)대량살상무기와강압외교
4)비대칭위협과뉴테러리즘
5)미소냉전의경험과미중신냉전
6.결론
토의주제/참고문헌
6장통상외교
1.서론
2.21세기국제통상질서의변화
3.국제통상시각과전략및로비
4.다자주의통상외교
1)국제통상과범세계주의
2)국제통상과지역주의
5.양자주의통상외교
6.결론
토의주제/참고문헌
7장공공외교
1.서론
2.공공외교의역사적진화:프로파간다로부터공공외교로
1)19세기이래세계대전까지의공공외교
2)냉전기공공외교
3.금세기신공공외교와공공외교에대한두가지시각
1)신공공외교의대두
2)공공외교의하위분야
3)공공외교에대한두가지시각
4.공공외교의최근국제적추세
1)금세기배타적정체성의정치:이념과체제대결로부터‘가치의진영화’로
2)공공외교의최근국제적추세
5.한국공공외교의현황과특징
6.결론:공공외교의방향성
토의주제/참고문헌
8장환경외교
1.서론
2.환경외교의개념과특징
1)환경외교개념
2)환경외교특징
3.환경외교의역사
1)다자환경외교
2)양자및지역환경외교
4.주요환경문제와국제환경거버넌스
1)환경거버넌스
2)기후변화와환경외교
3)미세먼지와환경외교
5.주요국의환경외교정책
1)미국의환경외교정책
2)유럽의환경외교정책
3)일본의환경외교정책
4)중국의환경외교정책
5)한국의환경외교
6.결론
토의주제/참고문헌
제3부국가및지역별외교정책
9장한국의외교정책
1.서론
2.한국외교정책의환경
1)강대국들로둘러싸인한반도
2)무한경쟁의국제질서
3)미국의동북아및한반도전략
4)긴장과대립이잠재된동북아안보정세
5)남북관계
3.한국외교정책의목표,과제와전개
1)한국외교정책의목표
2)한국외교정책의과제와전개
4.한국의외교정책결정구조
5.한국외교정책의현안과동북아관계
6.결론
토의주제/참고문헌
10장북한의외교정책
1.서론
2.북한외교의환경과정책결정및집행체계
1)북한외교의환경
2)외교정책결정및집행체계
3.북한외교정책의목표와성격
1)북한외교정책의이념과기조
2)북한외교정책의이중성
4.북한외교정책의방향
1)냉전시대의외교정책:진영외교,자주외교,다변외교
2)탈냉전이후생존을위한외교활로모색:개방과핵외교
5.북한외교정책의현안과남북한관계
1)김정은의외교정책:핵·미사일수단강화와비핵화협상
2)북한에대한국제사회의제재
3)남북한관계의변화와교착
6.결론
토의주제/참고문헌
11장미국의외교정책
1.서론
2.미국외교정책의환경
1)대통령
2)관료기구
3)의회의견제와도전
4)이익집단과여론
3.미국외교정책의목표와방향
1)미국예외주의
2)현실주의와이상주의
3)고립주의와국제주의
4.미국외교정책의현안과대한반도관계
1)중국의부상과인도·태평양전략
2)지정학의귀환과지경학의부상
3)미국의대한반도현안
5.결론
토의주제/참고문헌
12장일본의외교정책
1.서론
2.일본외교정책의환경
1)국내외적환경
2)외교정책결정의주요행위자
3)외교정책결정과정
3.일본외교정책의목표와방향
1)일본외교정책의목표,수단및대상
2)일본외교정책의방향
4.일본외교정책의현안과대한반도관계
1)냉전기경제중심주의와일본외교
2)탈냉전이후보통국가화와일본외교
3)대한반도관계
5.결론
토의주제/참고문헌
13장중국의외교정책
1.서론
2.중국외교정책의환경
1)국내적환경
2)국제적환경
3.중국외교정책의목표와방향
1)외교정책결정구조와과정
2)중국외교정책의전략과목표
3)세계화와중국외교정책의과제
4.중국외교정책의현안과대한반도관계
1)미중경쟁구조의심화
2)한반도-중국관계의역사구조적기원
3)중국의대한반도관계
5.결론
토의주제/참고문헌
14장러시아의외교정책
1.서론
2.러시아외교의국내적및대외적환경
1)정체성논쟁과외교지향성각축
2)유라시아지정학적단층대의활성화와러시아의대응
3.러시아외교정책의지전략적목표와대안들
1)지전략적대안들
2)러시아외교의지전략적중심이동
4.러시아외교정책의글로벌한전개와대한반도관계
1)러시아외교의시기별전개
2)러시아의신동방정책과한반도
5.결론
토의주제/참고문헌
15장EU의외교정책
1.서론
2.외교정책주체로서의EU
1)EU발전과정
2)EU의국제기구와의차별성과국가성
3.EU외교정책의발전
1)EU외교정책의태동기:초창기외교안보협력의실패와유럽정치협력의등장
2)EU외교정책의제도적기반조성
3)EU의독자적안보역량구축:쌩말로선언과쾰른정상회담
4)EU의법인격획득과외교안보정책의강화:유럽헌법조약의무산과리스본조약의발효
5)브렉시트(Brexit)와EU외교안보정책
4.EU외교안보정책의현안과대한반도관계
1)근린지역의안보위협:러시아의우크라이나침공과유럽안보
2)미중전략경쟁과유럽의선택
3)EU와한반도
5.결론
토의주제/참고문헌
16장ASEAN의외교정책
1.서론
2.ASEAN외교정책의환경
1)초창기ASEAN:1967년설립부터1997년경제위기까지
2)발전기ASEAN:1997년경제위기이후
3.ASEAN외교정책의목표와방향
1)ASEAN헌장과목표
2)ASEAN의구성과특징
4.ASEAN외교정책의현안과대한반도관계
1)ASEAN외교의핵심으로서ASEAN공동체
2)ASEAN외교현안과한반도문제
3)ASEAN과한국의외교관계
5.결론
토의주제/참고문헌
17장중동의외교정책
1.서론
2.중동지역의외교환경
1)분쟁의만연화
2)정치체제의다양성
3)복합적정체성
4)미국중동정책의변화
3.정체성기반의다자외교
1)부족(까빌리야)기반외교:사우디주도걸프협력회의(GCC)
2)아랍(까우미야)기반외교:이집트주도아랍연맹(AL)
3)종교(Ummah)기반외교:사우디주도이슬람협력기구(OIC)
4.중동주요국가의외교정책
1)사우디아라비아및걸프국가:사우디의리더십유지및걸프공동위기극복
2)이란:혁명기반영향력확장
3)터키:중동관여확대
4)이스라엘:역내고립탈피및적극적공세외교추진
5.중동외교정책의현안과대한반도관계
1)중동외교정책의현안
2)한국외교의함의
3)한국중동외교의미래
6.결론
토의주제/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이책의특징
국가에있어가장중요한외교,외교정책을이론,영역,국가-지역별로소개
전통적으로주목받던군사안보,통상뿐만아니라공공외교,환경,국제법까지영역확대
한반도와관련있는6개국과ASEAN,EU,중동지역까지해당국가와지역이어떠한목표와기조하에외교정책을펼치고,한국혹은대한반도관계는어떠한지확대분석
각분야의최고전문가들이분석한최신동향
한국가에서있어매우중요한외교정책을연구하는학자와학생들에게귀한자료가될것이며,해당분야에서종사하는정책담당자들에게도움을줄것이다.그리고한국을비롯하여한국과관계가있는국가및지역에대한관심이있는일반독자들에게도흥미를제공할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