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단시대 탈경계의 동학 : 탈북민의 이주와 정착 - 지식과 문화

분단시대 탈경계의 동학 : 탈북민의 이주와 정착 - 지식과 문화

$18.00
Description
탈북민은 북한의 도망자도, 남한의 이방인도 아니다. 먼저 온 작은 통일의 주인공이자 ‘통일’이라는 거대담론을 알리는 주체이기도 하다. 3만 4,000여 명의 숫자만큼 각자의 스토리텔링이 있다. 탈북민에 대한 편견과 동정을 넘어 공감과 환대의 마음으로 통일사회를 준비해가야 한다.
이 책은 탈북민의 이주과정, 정착실태 및 심리적응 등을 다각도로 고찰하며, 사회통합과제로서 탈북민의 정체성, 남북주민의 상호인식과 갈등실상을 분석했다. 남북한 사회를 모두 경험한 탈북민의 소중한 자산을 통일국민의 정체성과 접목시키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이 책의 특징
ㆍ 탈북민의 이주와 정착을 통시적·공시적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분석
ㆍ 남북주민의 갈등실태와 원인이해 및 상호공감의 쌍방형 통합방안 제안
ㆍ 탈북민 정착지원정책의 방향 및 남북주민 간 내적통합 과제 제시

저자

신효숙

저자:신효숙
고려대학교교육학과졸업
한국학중앙연구원대학원석·박사(철학박사)
현북한대학원대학교겸임교수,통일부통일교육위원,(사)한반도평화연구원연구위원,(사)한국통일교육학회부회장등
남북하나재단교육지원부장,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상임위원,한국교육개발원부연구위원,탈북청소년교육지원센터팀장역임
주요논저
『소련군정기북한의교육』(교육과학사)
“한반도평화교육의방향탐색:남북한주민갈등과통합교육을
위한제언”(기독교와통일)
“북한이탈여성의초국적이주와가치관형성”(통일교육연구)
“북한주민,탈북자,북한이탈주민”(공저,통일인문학)
『남북소통이야기:사회통합교육프로그램』(공저,남북하나재단)
『체제전환국의경험과북한의교육개혁방안』(공저,한울아카데미)외다수

목차

서문
1장서론

제1부탈북의동기와과정
2장탈북의의미와동기
1.탈북의의미:탈출인가이주인가
2.탈북의동기:생존을위한탈북
3.탈북의동기:체제불만,개인미래
4.탈북동기의다양화
3장탈북과정
1.탈북유형과탈북과정
2.해외유입과유랑,한국유입과정
3.해외체류탈북자에대한주변국의입장

제2부탈북민들의한국사회정착
4장탈북민정착의체계화
1.정착지원체계의확립
2.정착과자립자활의도전과과제
5장탈북민의한국사회정착과부적응
1.탈북트라우마와심리정서적치유
2.가족의해체와재결합,복합가정
3.부적응과탈남,초국적이주

제3부탈북민과한국인의사회통합과제
6장남북주민접촉의갈등과포용
1.분단체제와마음의분단
2.남북주민상호인식과갈등
3.편견에서환대로
7장정착,통합,한반도통일
1.대북·통일정책과탈북민
2.한반도통일과민족통일
3.통일사회만들기,그역할과가능성
8장결론

부록
북한이탈주민연도별입국현황
북한이탈주민연령별현황
북한이탈주민재북직업별현황
북한이탈주민재북학력별현황
북한이탈주민출신지역별현황
탈북학생재학현황
탈북학생출생국별재학현황
탈북학생연도별출생국별재학현황
탈북청소년특성화학교및대안교육시설현황
제5기지역적응센터(하나센터)지정현황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출판사 서평

탈북민은북한의도망자도,남한의이방인도아니다.먼저온작은통일의주인공이자‘통일’이라는거대담론을알리는주체이기도하다.3만4,000여명의숫자만큼각자의스토리텔링이있다.탈북민에대한편견과동정을넘어공감과환대의마음으로통일사회를준비해가야한다.
이책은탈북민의이주과정,정착실태및심리적응등을다각도로고찰하며,사회통합과제로서탈북민의정체성,남북주민의상호인식과갈등실상을분석했다.남북한사회를모두경험한탈북민의소중한자산을통일국민의정체성과접목시키는데주안점을두었다.

이책의특징
*탈북민의이주와정착을통시적·공시적관점에서심층적으로분석
*남북주민의갈등실태와원인이해및상호공감의쌍방형통합방안제안
*탈북민정착지원정책의방향및남북주민간내적통합과제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