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국가

위기의 국가

$29.00
Description
“국가란 무엇이고, 어떻게 운영해야 하는가. 국가가 발전하고 실패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에 대한 정답은 없지만, 교훈은 있다.”
지구상에 다양한 민족, 문화, 종교, 그리고 정치· 경제체제를 운영하는 수많은 주권국가가 존재한다. 이들 국가의 제1원칙은 생존이다. 여기에는 자국민을 보호하고, 경제적 안정을 도모하는 등 인간으로서의 기본생활 보장도 포함한다. 하지만 많은 국가가 정치갈등, 경제악화, 문화와 종교의 충돌, 환경문제, 혹은 국제제재와 같은 외부로부터의 압박 등으로 생존의 위협을 받고 있다.

이 책은 흥망성쇠를 넘어 생존 위협까지 받는 국가들이 경험하는 위기의 이유와 종류, 그리고 위기 극복을 위해서 무엇이 필요한지를 국가 사례들을 통해 찾고 있다. 특히 저자는 우리가 일상에서 겪는 ‘사실적 가치의 적절한 분배’라는 관점에서 위기를 분석하고 있다.

저자

김성수

저자:김성수
한양대학교정치외교학과를입학한후AmericanUniversity에서정치학학사,MarymountUniversity에서인문학석사그리고UniversityofSouthernCalifornia(USC)에서정치학석사와비교정치,정치경제,정치이론으로박사학위를취득하였다.대학원재학중USCGraduateFellowship,PhiBetaKappaHonorSocietyDissertationScholarship,JesseM.UnruhInstituteofPoliticsResearchFellowship등의연구지원과더불어KoreanHeritageFoundationAward를수상하였다.현재한양대학교정치외교학과교수로재직중이며,교육부와한국연구재단의장기과제인신흥지역연구과제를성공리에완수후연속으로대학중점연구소연구과제에선정된유럽-아프리카연구소소장으로재임중이다.해외연구활동으로는한국학중앙연구원의씨앗사업에선정된탄자니아다르에살렘대학교(UniversityofDaresSalaam)한국학연구센터코디네이터로재임중이다.

대표적학회활동으로한국정치학회대외협력이사,한국국제정치학회연구이사,한국평화연구학회부회장등을역임하였다.2017년연구성과우수자로교육부장관표창과2018년한양대학교우수R&D교원으로선정되었다.유럽-아프리카연구소는신흥지역연구사업인“한국중소기업의아프리카진출을위한사업전략및비즈니스모델개발”로한국연구재단으로부터우수연구기관으로소개되었으며,현재중점연구과제인아프리카에대한새로운외교적접근모색:나이지리아,알제리,탄자니아와의공공외교전략수립과확산을수행중이다.

주요저서로는<세계속의아프리카>,<아프리카기본정보체계및파트너쉽구축>,<자본주의와민주주의,상생(相生)의정치경제학을위하여>,등다수의서적을집필하였으며비교정치와정치경제그리고아프리카지역연구에관한상당수의논문을KCI와SSCI에게재하고있다.

목차


서문

1장서론

제1부국가의발전과위기
2장국가의정의
1.국가의하드웨어
2.국가의소프트웨어
3장국가의변화와발전
1.국가운영의키워드:주권,가치,배분
2.국가를구성하는요인
4장국가위기의원천
1.배분,국가위기와신뢰의근원
2.가치의성격과방향

제2부국가위기의동인
5장정치사회적합의의균열
1.정치사회적가치의토대
2.정치사회적균열
6장성장과분배의충돌
1.경제적가치의토대
2.정치와경제의교묘한결합혹은오묘한조합
7장문화상징적가치의이탈
1.문화적가치의토대:문화상징
2.문화상징적가치의충돌
8장국제연대의약화
1.지구촌시대의국제네트워크
2.국제연대의약화:배제

제3부국가위기의사례
9장정치사회갈등
1.시리아
2.소말리아
3.리비아
10장경제환경위기
1.베네수엘라
2.아이티
3.기니
11장역사문화분절
1.예멘
2.미얀마
3.나이지리아
12장국제제재위협
1.아프가니스탄
2.이란
3.북한

제4부국가위기관리의평가와방안
13장정치정당성위기관리와민주주의
1.국가구성요소의균열
2.근대화에따른민주주의발전과위기
3.근대화,권위주의,시민사회
14장경제성장동력위기관리와자본주의
1.정치와경제의관계
2.정치경제학의쟁점들
15장사회공동체위기관리와자유주의
1.분열의경계:공동체로서의민족과문화
2.자유주의와공동체주의의조화
16장국제연대위기관리와다자주의
1.현실주의적국제체제
2.자유주의적다자주의

17장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도해목차


4.1‘가치’의성격과방향
6.1정치제도와경제제도의관계성
10.12021년주요산유국GDP(세계은행기준)
10.2아이티지진이후국가회복통계
12.11974∼2009년이란핵문제주요사건정리

도표
4.1취약국가지수영역별지표
6.1영국의소득5분위별가계소득분포
9.1리비안정치합의체의구조도
10.1베네수엘라GDP(1986~2022년)
10.22000∼2020년석유가격변동
10.3중국,이탈리아,아이티의상대적진도수비교
10.4기니보크사이트매장량비교(2017년)
10.5외국인기니직접투자변동
11.1미얀마민족구성비율
11.2나이지리아민족별구성비율(2018년)
12.1이란의정치구조

지도
5.1시민적자유의정도(2023년3월기준)
9.1내전이전시리아종파분포도
9.2다마스쿠스내반란발발지역
9.3식민지시기소말리아영토구획을보여주는지도
9.4오스만제국의14∼19세기영토변화
10.1통일이전예멘
12.1이란핵프로그램실행지역

국기와지도
시리아
소말리아
리비아
베네수엘라
아이티
기니
예멘
미얀마
나이지리아
아프가니스탄
이란
북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