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문법하고 싶은 문법 : 국어 교사와 예비 교사를 위한 국어 문법 즉문즉답

더 문법하고 싶은 문법 : 국어 교사와 예비 교사를 위한 국어 문법 즉문즉답

$21.24
Description
국어 교사에게 문법을 가르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39가지의 즉문즉설 형식으로 서술한 문법 교육 길잡이
문법은 정답이 있는 것은 아니다. 실제적 사실을 밝히기 위한 공부이고, 그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과정이다. 그런데 학교문법 속에 규범이 어설프게 섞여 들어오면서, 마치 문법이 정답이 있는 것처럼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
문법은 사실을 밝히는 과정이기 때문에 당연히 학문적으로 이견이 있고, 논쟁이 있다. 그렇기에 가르치는 사람은 이견이 되는, 논쟁이 되는 지점 자체를 이해하고서 가르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견이 있고, 논쟁이 되는 지점 자체를 이해하고 해당 내용을 가르칠 때, 학생들로 하여금 문법에 흥미를 가지게 할 수 있다. 또한 그럴 때 학생들에게 탐구할 수 있는 지점을 제시할 수 있고, 그러다 보면 학생들도 문법이 암기 과목이 아니라는 것을 깨달을 수 있다.
이 책은 이견이 있거나 논쟁이 되는 내용은, 왜 이견이 있고 어떤 부분에서 논쟁이 되는지를 설명하려고 노력하였다.

저자

신승용,안윤주

저자:신승용
서강대학교학사,석사,박사
이화여자대학교BK21연구교수(2003)
영남대학교사범대학국어교육과교수(2004~현재)
주요저서및논문
『문법하고싶은문법』(공저,2020),『국어음운론』(2013),『국어학개론』(2013),『국어사와함께보는학교문법산책』(2010),?시수업의시낭송과연계한음운변동교수-학습?(2019),?『독서와문법』‘음운의변동’단원에대한비판적검토?(2015),?문법교육에서구(句)와어(語)의문제?(2011)외논저다수.

저자:안윤주
경북기계공업고등학교국어교사(현재)
영남대학교사범대학국어교육학과문법교육전공박사과정재학중(현재)
저서및경력
『문법하고싶은문법』(공저,2020)
미래엔국어교과서교사용자료집집필(2017~2020)
대구거꾸로교실전문학습공동체회장(2018~2019)
대구중등협력학습지원단(2017~현재)
(사)미래교실네트워크이사(현재)

목차

음운과음운변동에대한Q&A
1.1./ㅎ/은거센소리인가요,예사소리인가요?
1.2.음절의끝소리규칙과평파열음화가같은것인가요?
1.3.‘괴’와‘궤’는다른데왜발음이같은가요?
1.4.도대체‘교체’는뭐고‘대치’는또무엇인가요?
1.5.‘선릉’은왜[선능],[설릉]두가지모두로발음되나요?
1.6.왜‘잣을’은[자슬]로발음하고,‘잣알’은[자달]로발음하나요?
1.7.‘내가만들빵은~’의‘만들[만들]’에서는무엇이탈락했나요?
1.8.‘깻잎[깬닙]’에‘사잇소리첨가’가있지않나요?

형태소와단어에대한Q&A
2.1.‘갔다’를형태소분석하면‘가+ㅆ+다’인가요,‘가+았+다’인가요?
2.2.‘공부시키다’가사전에없는데,그러면단어가아닌가요?
2.3.사동사는모두타동사이고,피동사는모두자동사인가요?
2.4.‘주세요’의‘요’가보조사인데어떻게‘-세요’가어미일수있나요?
2.5.‘착하다’의어근‘착’을사전에서찾으면‘품사없음’이라고나오는데,이게무슨말인가요?
2.6.‘이게뭐야’에서‘뭐’는준말인데왜‘이게’는준말이아닌가요?
2.7.명사,동사라고하면되지왜쓸데없이체언,용언이라고도하나요?
2.8.동사‘감다’는형태가변하지않는데왜가변어인가요?
2.9.‘먹지못하다’와‘옳지못하다’의‘못하다’는같은‘못하다’인데,
왜보조동사,보조형용사로품사가서로다른가요?
2.10.‘크다’는품사통용인데왜‘높이’는품사통용이아닌가요?
2.11.두어근이‘동사+형용사’인합성어는없나요?

활용과곡용,문장구조에대한Q&A
3.1.마침표가없으면문장이아닌건가요?
3.2.‘부사어’는없어도되는데‘필수적부사어’는왜꼭있어야하나요?
3.3.‘넌이제큰일났다.’는미래시제인가요,과거시제인가요?
3.4.“너뭐해?”는설명의문문인가요,판정의문문인가요?
3.5.‘비가소리도없이내린다.’는부사절을안은안은문장인가요?
3.6.‘오늘날씨가좋다.’는홑문장인가요,겹문장인가요?
3.7.‘나는네가늘건강하기를원해.’에서목적어는무엇인가요?
3.8.‘나는최선을다할것을약속한다.’는명사절을안은안은문장인가요,
관형사절을안은안은문장인가요?
3.9.‘나는신발을신고밖에나갔다.’는이어진문장인가요,안은문장인가요?
3.10.‘곰과호랑이가손을잡고걸어간다.’에서
주격조사‘가’는‘곰과호랑이’에결합한거맞나요?

의미에대한Q&A
4.1.‘장끼’는‘꿩’을전제하나요,함의하나요?

국어사에대한Q&A
5.1.8자가족용법은소리대로적은표기법이아니라는데,왜그런가요?
5.2.‘놉ㅎㆍㄴ’은재음소화가아니라단지오분석한오표기의하나일뿐이라고하는데,
이게무슨말인가요?
5.3.왜‘암병아리’가아니고‘암평아리’인가요?
5.4.중세국어에서는주격조사가‘이~ㅣ~ø’세개였나요?
5.5.의도법어미와대상법어미는같은건가요,다른건가요?
5.6.‘王이니ㄹㆍ샤ㄷㆎ’에서의‘샤’와‘海東六龍이ㄴㆍㄹㆍ샤’에서의‘샤’는같은것인가요?
5.7.‘가던새본다’(「청산별곡」)가왜의문문인가요?
5.8.‘그는그것은소문이라고말했다.’에서‘소문이다’가왜‘소문이라’로바뀌었나요?
5.9.‘나의살던고향’에서‘살다’의주어가‘내가’아니라왜‘나의’인가요?

출판사 서평

‘선릉’은왜[선능],[설릉]두가지모두로발음되나요?

[한마디로설명]
음운변동이꼭한가지방식으로만일어나야하는것은아니다.음운변동이일어나는이유는크게두가지인데,하나는구조적인제약을해소하기위해서,다른하나는발음의경제성을추구하는것이다.발음의경제성은발음을하는데드는노력을최소화하려는경향을말하는데,발음을쉽고편하게하려는경향도발음의경제성에해당한다.
구조적인제약을해소하기위해서든발음의경제성을추구한것이든음운변동이꼭단일한방식으로만일어나야하는것은아니다.그방식이한가지밖에없다면한가지방식의음운변동만일어난다.하지만그방식이복수라면,복수의방식으로음운변동이일어나기도한다.‘선릉’이바로이러한경우이다.‘선릉’을[선릉]으로발음하는것보다는유음동화를적용한[설릉]과후행하는/ㄹ/을/ㄴ/으로바꾸어서발음하는[선능]이발음하기가더편하다.즉‘선릉’을편하게발음하는방식은한가지가아니라두가지가가능하다.그래서화자에따라서[설릉]으로발음하기도하고,[선능]으로발음하기도한다.참고로표준발음은[설릉]이다.
발음의경제성을추구하는대표적인음운변동이동화이다.‘첨가,축약’도큰틀에서보면발음의경제성추구라는틀안에서해석될수있다.다만발음의경제성추구는의미변별을손상시키지않는범위안에서일어나는것이일반적이다.

[자세히설명]
음운변동중에는동일한조건환경에서예외없이항상동일한음운변동이일어나는경우가있는가하면,동일한조건환경에서두가지이상의방식으로음운변동이일어나는경우도있다.학교문법에서다루고있는음운변동중에는많은경우가전자에해당하지만,후자의경우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