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소와 좋은 삶

루소와 좋은 삶

$17.20
Description
18세기 프랑스 작가 장 자크 루소는 우리에게 주로 『사회계약론』을 쓴 정치사상가 혹은 『에밀』을 집필한 교육사상가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루소의 더 큰 관심은 자기 자신의 삶에 관한 것이었다.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나 줄곧 기성 사회의 핍박을 받았던 루소에게 일생의 과제는 삶의 고통을 견디고 나아가 자유롭고 행복한 삶을 사는 것이었다. 그가 쓴 책들 역시 그러한 삶의 길을 모색하는 한 인간의 이야기였다. 사랑과 결혼을 다룬 『신엘로이즈』, 자신의 인간관계 및 사회생활을 다룬 『루소, 장자크를 심판하다-대화』’, 자연 속에서 자신의 감각과 감정을 다룬 『고독한 산책자의 몽상』, 자신의 삶 전반을 회고한 『고백록』 그리고 자신이 추구한 인간 본성을 가상의 자연인을 통해 탐구한 『인간불평등기원론』 등이 대표적이다.

이 책은 루소의 작품들이 다룬 삶의 여러 측면들을 모아 주제별로 정리하고 거기에 저자의 생각을 보탠 것이다. 나아가 20세기 사회심리학자 에리히 프롬과 명상가 오쇼 라즈니쉬의 책들을 참조하여 루소의 인생론을 보다 체계화하고 또한 현대인의 눈높이에 맞추고자 하였다.

루소가 찾아낸 ‘좋은 삶’의 길은 사회에서 성공하는 것도 자연으로 은둔하는 것도 아니었다. 그가 스스로 되고자 했고 또 에밀의 교육의 목표로 삼았던 것은 다름 아닌 ‘사회 속의 자연인’이 되는 것이었다. 그것은 사람들 속에서 살 되 사람들에게 휩쓸리지 않는 것이고 사회인의 의무를 다하되 자신의 자유와 존재를 지키는 것이다. 자연을 갈망하지만 사회를 포기할 수 없는 현대인들이 찾는 것도 이와 비슷한 어떤 것이 아닐까?

저자

김경근

저자:김경근
서울대학교서양사학과졸업(학사,석사)
프랑스사회과학고등연구원(EHESS)졸업(역사학박사)
전북대학교역사교육과교수
저서
『프랑스근대사연구』(한울),『대학서열깨기』(개마고원),『로베스피에르』(전북대학교출판문화원)
역서
『모호한역사』(한울),『유럽의발견』(까치)외

목차


머리말

1장.자유
2장.에고
3장.존재
4장.사랑
5장.결혼과가족
6장.의료와건강
7장.돈,소비,일
8장.교육
9장.종교

맺음말
참고문헌
부록
미주

출판사 서평


18세기프랑스작가장자크루소는우리에게주로『사회계약론』을쓴정치사상가혹은『에밀』을집필한교육사상가로알려져있다.그러나루소의더큰관심은자기자신의삶에관한것이었다.가난한가정에서태어나줄곧기성사회의핍박을받았던루소에게일생의과제는삶의고통을견디고나아가자유롭고행복한삶을사는것이었다.그가쓴책들역시그러한삶의길을모색하는한인간의이야기였다.사랑과결혼을다룬『신엘로이즈』,자신의인간관계및사회생활을다룬『루소,장자크를심판하다-대화』’,자연속에서자신의감각과감정을다룬『고독한산책자의몽상』,자신의삶전반을회고한『고백록』그리고자신이추구한인간본성을가상의자연인을통해탐구한『인간불평등기원론』등이대표적이다.

이책은루소의작품들이다룬삶의여러측면들을모아주제별로정리하고거기에저자의생각을보탠것이다.나아가20세기사회심리학자에리히프롬과명상가오쇼라즈니쉬의책들을참조하여루소의인생론을보다체계화하고또한현대인의눈높이에맞추고자하였다.

루소가찾아낸‘좋은삶’의길은사회에서성공하는것도자연으로은둔하는것도아니었다.그가스스로되고자했고또에밀의교육의목표로삼았던것은다름아닌‘사회속의자연인’이되는것이었다.그것은사람들속에서살되사람들에게휩쓸리지않는것이고사회인의의무를다하되자신의자유와존재를지키는것이다.자연을갈망하지만사회를포기할수없는현대인들이찾는것도이와비슷한어떤것이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