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범일지 (1947년 오리지널 초판본 패브릭 표지)

백범일지 (1947년 오리지널 초판본 패브릭 표지)

$15.19
Description
보물 1245호 친필본을 현대어로 번역한 최신 원전 번역본!
백범 김구는 한국 독립운동의 상징적인 존재로, ‘독립운동’ 하면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생각하게 되고 ‘대한민국임시정부’ 하면 ‘백범 김구’를 떠올린다. 그만큼 독립운동을 초지일관 전개하며 주도하였고 그 중심 기관으로 널리 알려진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이끌었다. 생명의 위협 속에서 임시정부 활동을 하던 김구는 어린 자식들에게 유서를 남기고자 장편의 글을 쓰기 시작했는데, 그것이 《백범일지》의 시작이다. 일종의 유서였던 《백범일지》 〈상권〉은 1929년에 완성되었고, 이어 1942년 《백범일지》 〈하권〉을 완성했으며, 해방된 후 1947년 국사원에서 단행본 형태로 처음으로 《백범일지》가 출간되었다. 국사원본 《백범일지》는 어려운 국한문 혼용의 친필본 원고를 한글 문체로 풀고 축약하여 김구의 삶을 더욱 드라마틱하게 만들어 대중성을 확보했지만, 김구의 진면모를 다소 변형시킨 게 아니냐는 의혹을 받기도 했다. 이후 김구 가족이 보관하고 있던 친필본이 그 모습 그대로 출간되면서 여러 곳에서 정본, 필사본 등 다양한 형태의 《백범일지》가 출간되었다.

도서출판 더스토리는 백범 김구 탄생 140주년과 《백범일지》 출간 70주년을 기념하여, 보물 1245호로 지정된 친필본 《백범일지》를 역사학자이자 백범 김구 연구가인 역자가 깊이 있는 해설을 곁들여 현대어로 새롭게 번역하였다. 최신 원전 번역본으로서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고 독립운동에 모든 것을 던진 김구의 삶을 생생히 전하기 위해 백범 글의 특징을 최대한 살려 풀고 더했다. 또한 1947년 국사원 오리지널 초판본 표지디자인을 그대로 되살리고 패브릭 재질의 고급형 표지디자인을 통해 간직하고 싶은 초판본의 느낌을 살렸다.

저자

김구

저자:김구
1876년황해도해주에서태어났고본명은김창수(金昌洙)이다.서너살무렵심한천연두를앓아가까스로목숨을건졌고,《통감》과《사략》,병서를즐겨읽었다.15세에정문재의서당에서본격적으로한학수업을받고,조선왕조최후의과거에응시하였으나뜻을이루지못했다.동학과위정척사사상,의병운동등에참여했으며,1905년을사늑약이체결되자나라를살리고새로운세상을만들기위해교육운동과구국운동에앞장섰다.1911년안악사건으로15년형을선고받았고,이때독립에대한바람과결심을담아호를‘백범(白凡)’으로했다.이후몇번의감형을통해1915년석방되었다.1919년3?1운동에가담한뒤,상해로망명하여임시정부경무국장에취임하였고이후임시정부요직을거치며항일투쟁에매진했다.1945년광복후,임시정부국무위원일동과함께환국하여신탁통치반대와통일정부수립을위해힘썼고,남북협상을추진했지만성사되지못했다.1949년6월26일경교장에서안두희가쏜총에숨을거두었다.

역자:양윤모
인하대학교에서박사학위를취득하고,학교연구소에있다가지금은(사)인하역사문화연구소에서공부를하면서,인하대학교에출강을하고있다.백범김구와그가쓴《백범일지》를쭉연구해왔고,박은식과신채호,여운형등근대인물에대한논문을써왔다.인천지역의역사나문화,독립운동에대한여러편의글을집필하였고,관련자료들의번역을공동으로진행하였다.

목차

김구와《백범일지》에대하여

백범일지상권
인(仁)과신(信)두아이에게주는글
조선(祖先)과가정
출생및유년시대
학동(學童)시대
학구(學究)시대
동학접주
청국시찰
국모보수(國母報讐)
투옥
사형선고
대사령친전정형(大赦令親電停刑)
파옥
치도(緇徒)
야소교(耶蘇敎)와교육자
재차투옥(하얼빈사건)
3차투옥(15년역)
옥중생활
농부
출국
경무국장
상처(喪妻)
국무위원

백범일지하권
백범일지하권자인언(白凡逸志下卷自引言)
상해도착
경무국장
민족주의와공산주의
정의부,신민부,참의부
국무위원
미국과하와이동포성금
이봉창투탄
윤봉길의거
가흥피신
장개석면담
5당통일논의
망명가정
광동이전(以前)
광복군
대가족

부록1나의소원
부록2김구와인천그리고탈옥:치하포사건의전말
옮긴이후기

출판사 서평

원문의맛을살린진중한풀이와깊이있는해설

백범글의특징은호흡이긴문장과고사성어,한시등의인용,국한문혼용에한자어사용등이다.이책은원문의느낌과내용을훼손하지않는다는원칙아래현대어문장으로풀었고,이때해설이필요한부분은본문이나각주에그내용을적었다.친필본을바탕으로철저하게대조,분석하면서번역하였고간혹보이는원본의오류(날짜,인명,한자어등)는다양한자료를검토하여각주에보완,수정하였다.김구는《백범일지》상하권을집필한이후여러차례수정을거쳤는데,덧붙이고지운흔적들을볼수있도록이책서두에친필본과필사본《백범일지》관련사진을넣어책의사료적가치를높였다.

청년김구의삶을담은영화〈대장김창수〉의모티브‘치하포사건’전말

김구는동학사상과동학농민운동,위정척사사상,의병운동,구국계몽운동,독립운동,자주통일국가수립운동등한국근현대의중요한사상적,역사적전개와궤적을함께하고있다.하지만한국독립운동의상징이라고일컬어지며독립운동가로서는명망을쌓았지만젊을적활동에대해서는그다지잘알려져있지않다.《백범일지》가소중한이유중하나는젊은시절김구의활동상을엿볼수있고,김구가독립투쟁에헌신한이유를규명할기초자료가될수있다는것이다.특히영화〈대장김창수〉의모티브가된‘치하포사건’은중국망명이전김구에게최대의자부심을안겨주고김구인생을결정짓는하나의큰사건이었다.이에책뒤에는부록으로치하포사건전말과재판과정,탈옥과정과탈출로등을실어본문의부족한부분을보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