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들꽃처럼 별들처럼, 가장 약한 이가 잘 사는 사회가 되길 기도하며…….”
햇살도 무르익은 5월, 산과 들은 나날이 초록을 더해 가지만 해마다 5월이면, 깊은 상처에 움이 트듯 되살아나는 곳이 있습니다. 바로 빛고을 광주입니다. 40 여년이 지났지만 광주민주화운동의 이야기를 세상에 내놓는 일은 여전히 쉽지 않습니다. 더구나 어린이들이 읽는 동화로 담아내기엔 많은 부분을 생각하고 또 생각해야 합니다.
책고래아이들 서른세 번째 이야기 《들꽃처럼 별들처럼》은 ‘광주민주화운동’과 ‘장애인’이라는 무겁고
큰 주제를 함께 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화가로는 최초로 UN 전시뿐 아니라 베를린 장벽에 전시를 했고, 오랫동안 지적장애인을 주제로 그림을 그려 온 김근태의 삶을 담은 창작동화입니다. 대학시절 5.18
광주 시민군으로 참여했던 트라우마를 평생 가슴에 안은 채, 한쪽 눈이 보이지 않고 들을 수도 없지만 지금도 활발히 활동 중인 김근태 화가의 이야기입니다.
이야기 속 주인공 노마는 네 살 때 교통사고로 죽었다가 다시 살아납니다. 동네 사람들은 노마를 보면 신기해했지요. 온몸이 피투성이여서 살아도 성한 데가 없을 줄 알았는데, 겉보기에 멀쩡했거든요. 사실 겉으로만 멀쩡했지 노마는 그때부터 오른쪽 눈이 잘 안 보이고, 귀도 잘 들리지 않았습니다. 눈의 초점이 맞지 않으니 툭하면 넘어졌고, 운동 신경이 떨어져서 뛰어 놀 수도 없었습니다. 어린 나이에 장애인이 된 노마에게 불행은 끊임없이 이어졌습니다. 사랑하는 누나가 백혈병으로 갑자기 세상을 떠났고, 얼마 되지 않아 아버지마저 암으로 돌아가셨지요. 어디에도 기댈 데 없던 노마가 유일하게 마음을 쏟는 것은 그림이었습니다. 마침 노마의 그림을 유심히 보았던 선생님의 권유로 미술대학을 준비하던 중 유일한 친구 옥이가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오랜 방황 끝에 겨우 마음을 잡고 광주에 있는 미술대학에 진학한 노마는 1980년 5월 18일, 계엄군에 맞서 시민군이 되었습니다. 친구들의 시신이 놓여 있는 도청에 남아 죽음을 각오한 순간, 울면서 찾아온 어머니의 얼굴이 지워지지 않았지요. 노마는 차마 ‘제발 죽지 말라’는 어머니의 마지막 부탁을 뿌리치지 못해 도청을 빠져나왔어요. 스스로 동료들을 배신한 거라 생각해 평생 죄인으로 살았지요. 스스로 목숨을 끊기 위해 발버둥 쳤어요.
죽음의 고통에서 노마를 살려낸 건 그림과 아내 순이였어요. 특히 지적장애인을 그리면서 전혀 다른 삶을 살기 시작했지요. 노마의 작품 세계도 그렇지만, 하루하루 기적 같은 일들이 일어났습니다. 아무도 거들떠보지 않는 지적장애인을 그리는 노마에게 UN에서 초대장이 날아오고, 수많은 나라에서 전시 요청이 왔습니다. 평화를 상징하는 베를린 장벽에 노마의 그림이 걸리고, 기네스북에 오를 만한 100미터짜리 그림을 그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간혹 노마의 유명세를 시기하고 질투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누구도 쉽게 노마처럼 그림을 그릴 수도 살 수도 없지요. 노마는 지금도 몸은 불편하지만 ‘들판에 피어 있는 들꽃처럼, 밤하늘에 빛나는 별들처럼’ 사람들의 눈에 잘 보이지 않는 지적장애인을 그림으로 그리기에 심혈을 쏟고 있어요. 아내 순이의 헌신적인 사랑이 없었다면 지금의 노마는 없겠지요.
책고래아이들 서른세 번째 이야기 《들꽃처럼 별들처럼》은 ‘광주민주화운동’과 ‘장애인’이라는 무겁고
큰 주제를 함께 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화가로는 최초로 UN 전시뿐 아니라 베를린 장벽에 전시를 했고, 오랫동안 지적장애인을 주제로 그림을 그려 온 김근태의 삶을 담은 창작동화입니다. 대학시절 5.18
광주 시민군으로 참여했던 트라우마를 평생 가슴에 안은 채, 한쪽 눈이 보이지 않고 들을 수도 없지만 지금도 활발히 활동 중인 김근태 화가의 이야기입니다.
이야기 속 주인공 노마는 네 살 때 교통사고로 죽었다가 다시 살아납니다. 동네 사람들은 노마를 보면 신기해했지요. 온몸이 피투성이여서 살아도 성한 데가 없을 줄 알았는데, 겉보기에 멀쩡했거든요. 사실 겉으로만 멀쩡했지 노마는 그때부터 오른쪽 눈이 잘 안 보이고, 귀도 잘 들리지 않았습니다. 눈의 초점이 맞지 않으니 툭하면 넘어졌고, 운동 신경이 떨어져서 뛰어 놀 수도 없었습니다. 어린 나이에 장애인이 된 노마에게 불행은 끊임없이 이어졌습니다. 사랑하는 누나가 백혈병으로 갑자기 세상을 떠났고, 얼마 되지 않아 아버지마저 암으로 돌아가셨지요. 어디에도 기댈 데 없던 노마가 유일하게 마음을 쏟는 것은 그림이었습니다. 마침 노마의 그림을 유심히 보았던 선생님의 권유로 미술대학을 준비하던 중 유일한 친구 옥이가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오랜 방황 끝에 겨우 마음을 잡고 광주에 있는 미술대학에 진학한 노마는 1980년 5월 18일, 계엄군에 맞서 시민군이 되었습니다. 친구들의 시신이 놓여 있는 도청에 남아 죽음을 각오한 순간, 울면서 찾아온 어머니의 얼굴이 지워지지 않았지요. 노마는 차마 ‘제발 죽지 말라’는 어머니의 마지막 부탁을 뿌리치지 못해 도청을 빠져나왔어요. 스스로 동료들을 배신한 거라 생각해 평생 죄인으로 살았지요. 스스로 목숨을 끊기 위해 발버둥 쳤어요.
죽음의 고통에서 노마를 살려낸 건 그림과 아내 순이였어요. 특히 지적장애인을 그리면서 전혀 다른 삶을 살기 시작했지요. 노마의 작품 세계도 그렇지만, 하루하루 기적 같은 일들이 일어났습니다. 아무도 거들떠보지 않는 지적장애인을 그리는 노마에게 UN에서 초대장이 날아오고, 수많은 나라에서 전시 요청이 왔습니다. 평화를 상징하는 베를린 장벽에 노마의 그림이 걸리고, 기네스북에 오를 만한 100미터짜리 그림을 그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간혹 노마의 유명세를 시기하고 질투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누구도 쉽게 노마처럼 그림을 그릴 수도 살 수도 없지요. 노마는 지금도 몸은 불편하지만 ‘들판에 피어 있는 들꽃처럼, 밤하늘에 빛나는 별들처럼’ 사람들의 눈에 잘 보이지 않는 지적장애인을 그림으로 그리기에 심혈을 쏟고 있어요. 아내 순이의 헌신적인 사랑이 없었다면 지금의 노마는 없겠지요.
들꽃처럼 별들처럼 - 책고래아이들 33
$1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