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시에 들린’ 안기풍 시인의 방언에서 맛보게 하는 시에 대한 진정성
경기도 파주 광탄에서 〈캔아저씨 근대사박물관〉 관장과 사설 도서관 〈별천지 만권당(萬券堂)〉의 주인장이면서 2022년 계간 『아시아문예』 시로 등단한 안기풍 시인의 두 번째 시집 『수녀원으로 이사 온 남자』를 출간했다.
안기풍 시인의 시집 『수녀원으로 이사 온 남자』는 올해 초 첫 시집 『기산리 개울물 소리』를 선보인 지 반 년 조금 지난 시점에 출간하는 두 번째 시집이다. 첫 시집 『기산리 개울물 소리』가 사람살이의 구체적 양상, 즉 질곡(桎梏)과 성취로 요약되는 체험을 간결한 시어와 생생한 이미지로 형상화하여 자신의 오늘 시작에의 열중과 시인으로서의 자기 정위(定位)가 결코 허명(虛名)에 매달리는 처세가 아님을 웅변적으로 보여주었다면, 두 번째 시집 『수녀원으로 이사 온 남자』에서는 시인으로서의 정체성이며 자신의 삶의 전 과정에 시가 어떻게 관여하고 있는가 하는 문제를 보여주고 있다.
안기풍 시인은 시집 첫머리 「시인의 말」에서 어느 날 “따르릉 따르릉/ 수녀님에게서 걸려온 전화 한 통// ‘수녀원 살 생각 없는지요?’// 아담한 이층집/ 잘 가꾼 소나무들과 정원/ 내가 살고 싶었던 꿈 속의 집// 성모 마리아의 뜻인가/ 우주 만물을 만드신 하나님의 뜻인가/ 이곳에서 시를 쓰기 시작했다// 운명이다”라고 말했다. 이 글은 짧지만 강렬한 「시(詩)」라는 작품, “사막의 모래알/ 같았던 내 인생// 한 줄기 오로라 같은 너/ 너는 내 운명”(전문)이라는 시적 화자에게 다가온 시가 가진 절대성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안기풍 시인의 생각은 시를 통해 세계의 모든 것을 드러내고 싶다는 욕망을 보여준다. 더불어 시적 화자에게 시는 궁극적인 의식의 변화를 선사한다. “사막의 모래알”이란 시적 화자의 파편화된 삶의 현장일 터이다. 파편화된 채 나뒹굴던 모래알 같던 삶의 실체를 하나하나 꿸 수 있는 도구가 시(詩)였던 셈이다. “한 줄기 오로라”라는 것은 결국 혼돈의 세계에서 솟아난 희망이며 기쁨의 실체인 것이다. 이러한 사고는 시를 통해 세계의 모든 것을 드러내고 싶은 욕망을 보여준다. 더불어 시적 화자에게 시는 궁극적인 의식의 변화를 선사한다.
시가 선사한 의식의 변화는 “자유”이다. 대개 형식이나 틀은 우리의 의식을 억압하게 마련이고 더러 그 틀 안에서 신음하는 경우를 종종 마주하게 되는데 시적 화자는 시에서 “자유”를 찾았다고 당당히 선언하고 있다. 새장을 나온 새의 형국으로 시를 만나 자유로의 비상을 실현하고 있다는 사실은 시 안에서 느끼는 걸림 없는 자유, 시를 쓰면서 느끼는 무한한 상상의 자유 등이다.
바로 전 2023년 초에 첫 시집을 발행했다는 사실은 ‘시에 들린’ 시인의 현재 상황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마치 귀신에 들린 자가 끝없이 내뱉는 말처럼 시에 들린 시적 화자는 시라는 방언을 쉼 없이 쏟아내는 것이다. “혼자 걷는 인생길/ 시(詩)가 있어 외롭지 않다”(「인생길」 부분)라는 발화에서 느끼는 진정성도 앞에 말한 시에 들림에서 비롯될 터이다.
안기풍 시인은 대교약졸(大巧若拙)의 문체로 일상과 주변의 서사를 쉬운 말로 풀고 있는 이 시집은 덕분에 가독성이 매우 뛰어나다. 실제 사람살이라는 것의 조잔함과 일상의 기쁨을 직관적 언어로 풀어내어 독자들에게 어렵지 않게 다가가고 있다. 아마도 안기풍 시인은 기산리 별천지에 자신만의 유토피아를 건설하고 절벽 같은 길을 넘나들며 소풍을 다닐 것이다.
안기풍 시인의 시집 『수녀원으로 이사 온 남자』는 올해 초 첫 시집 『기산리 개울물 소리』를 선보인 지 반 년 조금 지난 시점에 출간하는 두 번째 시집이다. 첫 시집 『기산리 개울물 소리』가 사람살이의 구체적 양상, 즉 질곡(桎梏)과 성취로 요약되는 체험을 간결한 시어와 생생한 이미지로 형상화하여 자신의 오늘 시작에의 열중과 시인으로서의 자기 정위(定位)가 결코 허명(虛名)에 매달리는 처세가 아님을 웅변적으로 보여주었다면, 두 번째 시집 『수녀원으로 이사 온 남자』에서는 시인으로서의 정체성이며 자신의 삶의 전 과정에 시가 어떻게 관여하고 있는가 하는 문제를 보여주고 있다.
안기풍 시인은 시집 첫머리 「시인의 말」에서 어느 날 “따르릉 따르릉/ 수녀님에게서 걸려온 전화 한 통// ‘수녀원 살 생각 없는지요?’// 아담한 이층집/ 잘 가꾼 소나무들과 정원/ 내가 살고 싶었던 꿈 속의 집// 성모 마리아의 뜻인가/ 우주 만물을 만드신 하나님의 뜻인가/ 이곳에서 시를 쓰기 시작했다// 운명이다”라고 말했다. 이 글은 짧지만 강렬한 「시(詩)」라는 작품, “사막의 모래알/ 같았던 내 인생// 한 줄기 오로라 같은 너/ 너는 내 운명”(전문)이라는 시적 화자에게 다가온 시가 가진 절대성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안기풍 시인의 생각은 시를 통해 세계의 모든 것을 드러내고 싶다는 욕망을 보여준다. 더불어 시적 화자에게 시는 궁극적인 의식의 변화를 선사한다. “사막의 모래알”이란 시적 화자의 파편화된 삶의 현장일 터이다. 파편화된 채 나뒹굴던 모래알 같던 삶의 실체를 하나하나 꿸 수 있는 도구가 시(詩)였던 셈이다. “한 줄기 오로라”라는 것은 결국 혼돈의 세계에서 솟아난 희망이며 기쁨의 실체인 것이다. 이러한 사고는 시를 통해 세계의 모든 것을 드러내고 싶은 욕망을 보여준다. 더불어 시적 화자에게 시는 궁극적인 의식의 변화를 선사한다.
시가 선사한 의식의 변화는 “자유”이다. 대개 형식이나 틀은 우리의 의식을 억압하게 마련이고 더러 그 틀 안에서 신음하는 경우를 종종 마주하게 되는데 시적 화자는 시에서 “자유”를 찾았다고 당당히 선언하고 있다. 새장을 나온 새의 형국으로 시를 만나 자유로의 비상을 실현하고 있다는 사실은 시 안에서 느끼는 걸림 없는 자유, 시를 쓰면서 느끼는 무한한 상상의 자유 등이다.
바로 전 2023년 초에 첫 시집을 발행했다는 사실은 ‘시에 들린’ 시인의 현재 상황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마치 귀신에 들린 자가 끝없이 내뱉는 말처럼 시에 들린 시적 화자는 시라는 방언을 쉼 없이 쏟아내는 것이다. “혼자 걷는 인생길/ 시(詩)가 있어 외롭지 않다”(「인생길」 부분)라는 발화에서 느끼는 진정성도 앞에 말한 시에 들림에서 비롯될 터이다.
안기풍 시인은 대교약졸(大巧若拙)의 문체로 일상과 주변의 서사를 쉬운 말로 풀고 있는 이 시집은 덕분에 가독성이 매우 뛰어나다. 실제 사람살이라는 것의 조잔함과 일상의 기쁨을 직관적 언어로 풀어내어 독자들에게 어렵지 않게 다가가고 있다. 아마도 안기풍 시인은 기산리 별천지에 자신만의 유토피아를 건설하고 절벽 같은 길을 넘나들며 소풍을 다닐 것이다.
수녀원으로 이사 온 남자 (양장)
$1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