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104편의 시와 영화에 담은 13가지 현실과 삶에 대해 이야기하다
2009년 『시사사』를 통해 시인으로 등단하여 시집 『내 이름은 구운몽』 『우리는 날마다 더 아름다워져야 한다』과 詩네마 이야기 『아직 돌아오지 않은 것들』 등을 출간했던 김지율 시인이 두 번째 詩네마 에세이 『나는 천사의 말을 극장에서 배웠지』를 선보였다. 현재 경상국립대 인문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로 재직 중인 김지율 시인은 지난 3년간 진주 KBS1 〈정보 주는 라디오〉에서 좋은 시와 영화를 대중들에게 알려야겠다며 방송한 원고들을 재구성하고 필요한 부분은 새롭게 쓴 책이다.
시와 영화는 동시대에 일어나는 동일한 사건에 대해 각자 자기의 색깔로 말하고 이미지화한다. 비슷한 사건과 감정이지만 시가 전달하는 방식이 다르고 영화가 전달하는 방법이 조금씩 다르다. 말하자면 ‘시는 말하는 그림이고, 영화는 눈으로 보는 시’이다.
『나는 천사의 말을 극장에서 배웠지』에는 현실을 소재로 13가지 주제로 시와 영화를 소개하고 있다. Part 1은 일상이라는 현실, Part 2 타인이라는 거울, Part 3은 우리들의 일그러진 자화상, Part 4 나는 내가 믿고 싶은 대로 기억한다, Part 5 자연과 생태 그리고 공생의 길, Part 6 부디 이 마음을 읽어주세요, Part 7 길 위에서 꾸는 꿈, Part 8 슬픔이라는 연대, Part 9 너무 빠르거나 너무 늦은 시간들, Part 10 가깝고도 먼 차별과 소통 이야기, Part 11 아우슈비츠와 5·18 민주화운동, Part 12 음악들, Part 13 독락당과 육첩방 사이 등이다.
김지율 시인의 ‘詩네마 에세이’에는 피터 위어의 〈트루먼쇼〉, 팀 버튼의 〈가위손〉, 스티븐 달드리의 〈디 아워스〉, 미셸 공드리의 〈이터널 선샤인〉, 제임스 카메론의 〈아바타〉, 송해성의 〈파이란〉, 월터 살레스의 〈모터사이클 다이어리〉, 스티븐 스필버그의 〈칼라 퍼플〉, 양조위의 〈화양연화〉, 피터 패럴리의 〈그린북〉, 이창동의 〈박하사탕〉, 커스틴 쉐리단의 〈어거스트 러쉬〉, 마이클 래드포드의 〈일 포스티노〉 등 아직도 영화마니아와 일반인들에게 화제작으로 거론되는 작품이다. 또 영화와 연결되는 주제로 이야기되는 시인들 역시 이상, 김춘수, 이승훈, 정현종, 최문자, 황지우, 김승희, 정호승, 박노해, 안도현, 이문재, 나희덕, 허수경, 박정대, 이병률, 문태준, 고영민, 손택수, 이수명, 송경동 등이 쓴 문제작들이다.
세상의 모든 시와 영화는 첫 시이고 첫 영화다. 그 시와 영화들은 새로움을 향해 죽고 또 새로움을 향해 다시 살아가기 때문에 매 순간 어떤 모험을 무릅쓰고 우리에게 온다. ‘최선’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다음’을 보여주는 그런 시와 영화는 나와 우리의 테두리를 점점 희미하게 만들 것이다.
그러므로 한 편의 시와 한 편의 영화는 어떤 사물과 존재를 입체적이고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한 상생의 관계에 있다. 시와 영화를 좋아하고 즐기는 일은 우리에게 한층 더 깊고 풍부한 감성과 지성을 선물한다. 이 책에는 내공 있는 시인들과 영화감독들의 104편의 작품이 실려 있다. 그 한 편 한 편의 시와 영화 속에 담긴 삶의 진정성과 표현의 미학성을 함께 느끼고 알아갈 때 그것이 더 풍부한 의미로 완성될 수 있을 것이다.
김지율 시인은 「작가의 말」에서 “장 뤽 고다르는 ‘우리가 영화를 선택한 것이 아니라 영화가 우리를 선택’한 것이라고 했다. 그래서 어쩌면 이 책에 묶인 시와 영화가 나를 그리고 우리를 선택한 것인지도 모른다. 읽고 나서 오랫동안 입속을 맴돌던 시들, 러닝타임이 끝나고 마지막 엔딩크레딧이 올라갈 때까지 멍한 순간들을 선물했던 영화들이 이 책의 주인공들이다. 104편의 詩네마와 함께 부디 당신이 좀 더 자유롭고, 좀 더 가볍게 춤출 그런 순간을 오래 맞이하길” 바란다고 부탁했다.
시와 영화는 동시대에 일어나는 동일한 사건에 대해 각자 자기의 색깔로 말하고 이미지화한다. 비슷한 사건과 감정이지만 시가 전달하는 방식이 다르고 영화가 전달하는 방법이 조금씩 다르다. 말하자면 ‘시는 말하는 그림이고, 영화는 눈으로 보는 시’이다.
『나는 천사의 말을 극장에서 배웠지』에는 현실을 소재로 13가지 주제로 시와 영화를 소개하고 있다. Part 1은 일상이라는 현실, Part 2 타인이라는 거울, Part 3은 우리들의 일그러진 자화상, Part 4 나는 내가 믿고 싶은 대로 기억한다, Part 5 자연과 생태 그리고 공생의 길, Part 6 부디 이 마음을 읽어주세요, Part 7 길 위에서 꾸는 꿈, Part 8 슬픔이라는 연대, Part 9 너무 빠르거나 너무 늦은 시간들, Part 10 가깝고도 먼 차별과 소통 이야기, Part 11 아우슈비츠와 5·18 민주화운동, Part 12 음악들, Part 13 독락당과 육첩방 사이 등이다.
김지율 시인의 ‘詩네마 에세이’에는 피터 위어의 〈트루먼쇼〉, 팀 버튼의 〈가위손〉, 스티븐 달드리의 〈디 아워스〉, 미셸 공드리의 〈이터널 선샤인〉, 제임스 카메론의 〈아바타〉, 송해성의 〈파이란〉, 월터 살레스의 〈모터사이클 다이어리〉, 스티븐 스필버그의 〈칼라 퍼플〉, 양조위의 〈화양연화〉, 피터 패럴리의 〈그린북〉, 이창동의 〈박하사탕〉, 커스틴 쉐리단의 〈어거스트 러쉬〉, 마이클 래드포드의 〈일 포스티노〉 등 아직도 영화마니아와 일반인들에게 화제작으로 거론되는 작품이다. 또 영화와 연결되는 주제로 이야기되는 시인들 역시 이상, 김춘수, 이승훈, 정현종, 최문자, 황지우, 김승희, 정호승, 박노해, 안도현, 이문재, 나희덕, 허수경, 박정대, 이병률, 문태준, 고영민, 손택수, 이수명, 송경동 등이 쓴 문제작들이다.
세상의 모든 시와 영화는 첫 시이고 첫 영화다. 그 시와 영화들은 새로움을 향해 죽고 또 새로움을 향해 다시 살아가기 때문에 매 순간 어떤 모험을 무릅쓰고 우리에게 온다. ‘최선’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다음’을 보여주는 그런 시와 영화는 나와 우리의 테두리를 점점 희미하게 만들 것이다.
그러므로 한 편의 시와 한 편의 영화는 어떤 사물과 존재를 입체적이고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한 상생의 관계에 있다. 시와 영화를 좋아하고 즐기는 일은 우리에게 한층 더 깊고 풍부한 감성과 지성을 선물한다. 이 책에는 내공 있는 시인들과 영화감독들의 104편의 작품이 실려 있다. 그 한 편 한 편의 시와 영화 속에 담긴 삶의 진정성과 표현의 미학성을 함께 느끼고 알아갈 때 그것이 더 풍부한 의미로 완성될 수 있을 것이다.
김지율 시인은 「작가의 말」에서 “장 뤽 고다르는 ‘우리가 영화를 선택한 것이 아니라 영화가 우리를 선택’한 것이라고 했다. 그래서 어쩌면 이 책에 묶인 시와 영화가 나를 그리고 우리를 선택한 것인지도 모른다. 읽고 나서 오랫동안 입속을 맴돌던 시들, 러닝타임이 끝나고 마지막 엔딩크레딧이 올라갈 때까지 멍한 순간들을 선물했던 영화들이 이 책의 주인공들이다. 104편의 詩네마와 함께 부디 당신이 좀 더 자유롭고, 좀 더 가볍게 춤출 그런 순간을 오래 맞이하길” 바란다고 부탁했다.
나는 천사의 말을 극장에서 배웠지 : 김지율 시네마 에세이
$1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