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지적이고 철학적이고 사회적이며 생에 대한 진지한 물음이 담긴 에세이들
2015년 『에세이스트』로 수필 신인상을 수상한 전남 보성 새재 출신 박춘 수필가가 첫 수필집 『그것을 이해해야 한다』를 데뷔 10년 만에 출간했다.
박춘 수필가는 50대 초반 강직성 척추염이라는 희귀병을 진단받았다. 근육 내장이 굳어지며 죽음에 이를 수 있는 불치병이지만 삶에 대한 강한 의지와 아내의 헌신적인 사랑으로 병을 이겨냈다. 지금은 정기적으로 병원 치료를 받으며 꾸준히 도서관을 찾아 주로 철학과 경제, 역사에 관한 책을 읽고 있다.
박춘의 수필은 정서적인가 하면 지적이고, 철학적인가 하면 사회적이다. 그래서 그의 수필에는 애틋한 정감도 느껴지고, 생에 대한 진지한 물음도 담겼으며 동시에 대자연적인 고뇌도 읽힌다.
표제작 「그것을 이해해야 한다」에서 ‘진실’을 탐구하는 그의 독서력을 바탕으로 세상을 읽고 문학을 대하는 자세를 짐작할 수 있다. 발터 벤야민이 『문예이론』에 적어놓은 “진실은 구체적이다”라는 명제에 뒤이어 브레히트는 “나도 그것을 이해해야 한다”라는 글을 읽은 후 “‘진실은 구체적이다’는 명제만 보았다면 그냥 그렇지 하고 지나쳤을 것이다”, 그런데 뒤이은 브레히트의 “나도 그것을 이해해야 한다”는 말에 붙잡혔다고 서두를 쓴다.
그는 ‘그것을 이해해야 한다’에 대해 “이해했다거나 이해한다는 것도 아닌 이해해야 한다는 언어가 가진 의욕과 요원할지 모른다는 의심과 그래도 포기할 수는 없다는 원망에 시선이 갔다. 그 다짐의 무거움에 붙잡혔”으며 “진실은 영혼의 서(序)다. 인과를 돌아보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그래서 인간에게 진실은 본질적으로 비(悲)”이고 “오늘은 다른 날과 똑같은 하루이거나 다른 날과 똑같지 않은 하루다. 천지개벽 같은 것은 없다. 다만 조금 변할 수 있거나 변할 수 있는 가능이 있을 뿐이다. 그러니까 내가 찾는 그 무엇들은 이미 그곳에 있었거나 거기에 있다”며 작가 자신도 ‘그것을 이해해야 한다’는 문장으로 글을 마무리지었다.
박춘 수필가는 역사와 시사문제에 대해 관심이 많다. 세자 양녕은 충주부사 곽선의 첩 어리를 몰래 궁궐로 들여 아이까지 낳는 문제를 일으켰으며, 이후 폐세자된 양녕이 귀향지에서 자살한 어리에게 남기는 편지글인 「어리야, 양녕의 변(辯)」, 청나라 침입으로 남한산성에 갇힌 임금(인조)을 가운데 두고 계속 싸우자는 척화파와 무릎을 꿇고 머리를 조아릴 것을 주장한 화친파 속의 갈등 속에 임금은 없었다는 「그곳에 산성이 있다」 등 조선의 역사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었다. 이뿐만 아니라 근현대사에도 눈길을 준다. 백년 전 일본에 나라를 병탄 당하고 실의에 빠진 이십대 중반이었을 조부(祖父)의 나라를 잃은 심정을 헤아린 「백년, 광복 70년의 회억(悔憶)」, 일제의 위안부 만행을 규탄하고 항의하기 위한 소녀상과 한일 간 위안부 협상문에서 기록된 ‘불가역(不可逆)’이란 단어에 대한 생각을 풀어낸 「소녀상, 그리고 불가역(不可逆)」도 눈길을 끈다.
그가 책을 읽고 작품을 쓰기 위해 거의 매일 들르는 도서관에 대한 글도 흥미롭다. 무하마드 알리와 대결한 안토니오 이노키를 닮았고 주식투자와 경제 관련 책을 읽는 ‘이노키’ 선생 등과 만난 이야기 「도서관 사람들」, 10여 년 전 10명 중 8명은 젊은층이 이용하던 도서관이 지금은 노장층이 훨신 많아졌으며 대학생층이 주로 맡던 사서보조도 장애인들이 담당하는 사회 변화를 읽어낸 「도서관 열람실 풍경」은 물론 자신의 삶에 특별히 기억되는 이광수의 『흙』, 헤르만 헤세의 『지와 사랑』, 이상의 『날개』,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설국』과 얽힌 이야기를 들려주는 「네 권의 책」, 나쁜 선택을 하지 않고 최소한의 인간다운 품성을 유지하기 위한 조건을 지키기 위해 작가는 책을 읽고 있다는 「책을 읽는다」도 읽을 만하다.
박춘 작가는 자신의 쓰고 있는 수필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하고 공부한다. 제5장에 수록된 「수필의 변(辯)」, 「문학 이야기, 묘사」, 「문학 이야기, 성찰」, 「문학 이야기, 재미」, 「문학 이야기, 기행수필」 등은 메타수필로 부를 수 있다. 또 박춘 작가가 평생 살아온 삶의 진솔한 태도를 쓴 「오금공원에서 보내는 편지」는 동료 수필가들이 많이 언급하는 작품인데, 글 속에 그의 ‘착한 심성’이 잘 드러나고 신변잡기에서 벗어나 사유의 폭이 깊고 넓어짐을 느꼈다는 것은 오랜 기간 수많은 책을 섭력한 독서의 힘이 아닐까 생각한다.
박춘 수필가는 50대 초반 강직성 척추염이라는 희귀병을 진단받았다. 근육 내장이 굳어지며 죽음에 이를 수 있는 불치병이지만 삶에 대한 강한 의지와 아내의 헌신적인 사랑으로 병을 이겨냈다. 지금은 정기적으로 병원 치료를 받으며 꾸준히 도서관을 찾아 주로 철학과 경제, 역사에 관한 책을 읽고 있다.
박춘의 수필은 정서적인가 하면 지적이고, 철학적인가 하면 사회적이다. 그래서 그의 수필에는 애틋한 정감도 느껴지고, 생에 대한 진지한 물음도 담겼으며 동시에 대자연적인 고뇌도 읽힌다.
표제작 「그것을 이해해야 한다」에서 ‘진실’을 탐구하는 그의 독서력을 바탕으로 세상을 읽고 문학을 대하는 자세를 짐작할 수 있다. 발터 벤야민이 『문예이론』에 적어놓은 “진실은 구체적이다”라는 명제에 뒤이어 브레히트는 “나도 그것을 이해해야 한다”라는 글을 읽은 후 “‘진실은 구체적이다’는 명제만 보았다면 그냥 그렇지 하고 지나쳤을 것이다”, 그런데 뒤이은 브레히트의 “나도 그것을 이해해야 한다”는 말에 붙잡혔다고 서두를 쓴다.
그는 ‘그것을 이해해야 한다’에 대해 “이해했다거나 이해한다는 것도 아닌 이해해야 한다는 언어가 가진 의욕과 요원할지 모른다는 의심과 그래도 포기할 수는 없다는 원망에 시선이 갔다. 그 다짐의 무거움에 붙잡혔”으며 “진실은 영혼의 서(序)다. 인과를 돌아보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그래서 인간에게 진실은 본질적으로 비(悲)”이고 “오늘은 다른 날과 똑같은 하루이거나 다른 날과 똑같지 않은 하루다. 천지개벽 같은 것은 없다. 다만 조금 변할 수 있거나 변할 수 있는 가능이 있을 뿐이다. 그러니까 내가 찾는 그 무엇들은 이미 그곳에 있었거나 거기에 있다”며 작가 자신도 ‘그것을 이해해야 한다’는 문장으로 글을 마무리지었다.
박춘 수필가는 역사와 시사문제에 대해 관심이 많다. 세자 양녕은 충주부사 곽선의 첩 어리를 몰래 궁궐로 들여 아이까지 낳는 문제를 일으켰으며, 이후 폐세자된 양녕이 귀향지에서 자살한 어리에게 남기는 편지글인 「어리야, 양녕의 변(辯)」, 청나라 침입으로 남한산성에 갇힌 임금(인조)을 가운데 두고 계속 싸우자는 척화파와 무릎을 꿇고 머리를 조아릴 것을 주장한 화친파 속의 갈등 속에 임금은 없었다는 「그곳에 산성이 있다」 등 조선의 역사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었다. 이뿐만 아니라 근현대사에도 눈길을 준다. 백년 전 일본에 나라를 병탄 당하고 실의에 빠진 이십대 중반이었을 조부(祖父)의 나라를 잃은 심정을 헤아린 「백년, 광복 70년의 회억(悔憶)」, 일제의 위안부 만행을 규탄하고 항의하기 위한 소녀상과 한일 간 위안부 협상문에서 기록된 ‘불가역(不可逆)’이란 단어에 대한 생각을 풀어낸 「소녀상, 그리고 불가역(不可逆)」도 눈길을 끈다.
그가 책을 읽고 작품을 쓰기 위해 거의 매일 들르는 도서관에 대한 글도 흥미롭다. 무하마드 알리와 대결한 안토니오 이노키를 닮았고 주식투자와 경제 관련 책을 읽는 ‘이노키’ 선생 등과 만난 이야기 「도서관 사람들」, 10여 년 전 10명 중 8명은 젊은층이 이용하던 도서관이 지금은 노장층이 훨신 많아졌으며 대학생층이 주로 맡던 사서보조도 장애인들이 담당하는 사회 변화를 읽어낸 「도서관 열람실 풍경」은 물론 자신의 삶에 특별히 기억되는 이광수의 『흙』, 헤르만 헤세의 『지와 사랑』, 이상의 『날개』,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설국』과 얽힌 이야기를 들려주는 「네 권의 책」, 나쁜 선택을 하지 않고 최소한의 인간다운 품성을 유지하기 위한 조건을 지키기 위해 작가는 책을 읽고 있다는 「책을 읽는다」도 읽을 만하다.
박춘 작가는 자신의 쓰고 있는 수필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하고 공부한다. 제5장에 수록된 「수필의 변(辯)」, 「문학 이야기, 묘사」, 「문학 이야기, 성찰」, 「문학 이야기, 재미」, 「문학 이야기, 기행수필」 등은 메타수필로 부를 수 있다. 또 박춘 작가가 평생 살아온 삶의 진솔한 태도를 쓴 「오금공원에서 보내는 편지」는 동료 수필가들이 많이 언급하는 작품인데, 글 속에 그의 ‘착한 심성’이 잘 드러나고 신변잡기에서 벗어나 사유의 폭이 깊고 넓어짐을 느꼈다는 것은 오랜 기간 수많은 책을 섭력한 독서의 힘이 아닐까 생각한다.
그것을 이해해야 한다
$1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