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고향 원주와 자연과의 교감을 잘 드러낸 원주토박이 지은희의 시들
2022년 『문학고을』 시 부문 신인상으로 등단하고 한국문인협회 원주지부, 원주여성문학인회 회원으로 활동하며 원주여성문학상을 수상한 원주토박이 지은희 시인이 첫 시집 『카페거리에 그녀는 없다』를 출간했다.
지은희 시인의 시집 『카페거리에 그녀는 없다』에는 시가 곧 생활이요, 생활이 곧 시인 듯, 발길 닿은 곳마다, 눈길 머무는 것마다 모두 그의 시심으로 시의 꽃을 피우고 있다. 그의 시는 ‘서정성’에서 출발한다. 특히 눈길을 끈 것은 자연을 사랑하고 자연과 조화를 이루면서 자신이 살고 있는 고장을 소재로 그려낸 시들이 많다. 지은희 시인은 그 자연 속에서 자아를 찾아 교감하고 이상향을 지향하듯 무위자연을 노래하고 있다. “세월에 지친 마음 응원의 박수 보내며/ 힘내라고 메시지도 보내주는/ 어버이의 품속 같은 큰 산/ 그대 바라보며/ 세상 사는 법 배운다”(「치악산과 나」)라고 노래한다.
지은희 시인의 자연 사랑과 그가 살고 있는 고장에 대한 사랑은 시 제목에서도 나타난다. 「원주천」, 「박경리 옛집 뜨락」, 「치악산에 머무는 선비」, 「거돈사지」, 「법천사지」, 「배론성지」 등 모두 그가 함께 호흡하고 함께 살아가는 그의 고장에 존재하는 지명이다. 이름만으로도 유서 깊어보이고 이상적인 세계를 지은희 시인은 어떤 경지를 어떻게 그려내고 있을까. 특히 천주교 순교자의 터전이거나 절터인 ‘배론성지’, ‘거돈사지’, ‘법천사지’ 등은 종교적 사유의 세계가 지은희 시인에 의하여 어떻게 승화되고 있는지 주목을 끈다. 특히 성스러운 ‘배론성지’에 이르러 한순간 발길이 머물고 마음이 머물러 순교자들의 음성과 하느님의 거룩한 음성을 들으며 더 가까이 더 깊게 “친해지고 싶다”라고 고백한다.
지은희 시인은 자신의 고향 원주에 대한 애착과 사랑, 그리고 자연과의 교감의 정서를 잘 그려내고 있다. 「치악산과 나」, 「박경리 옛집 뜨락」, 「원주천」, 「치악산에 머무는 선비」, 「원주천」, 「동백」, 「덤바우」, 「치악산에 머무는 선비」 등이 그것이다. 원주를 품고 있는 ‘치악산’은 꿈과 그리움의 대상이다. “갈래머리 뛰어놀던 어린 날과/ 단발머리 교복 소녀를 품고 있는” 산이다. 그 산에는 비밀의 정원 같은 “지고지순 짝사랑으로/ 까맣게 탄 속마음 묻어놓은 그 산 자락”이다. 그리고 “머리카락 희끗희끗 변해가는 지금”은 “세월에 지친 마음 응원의 박수를 보내며/ 힘내라는 메시지도 아끼지 않고 보내주는/ 어버이의 품속 같은 큰 산”이라고 「치악산과 나」에서 그리고 있다. 「박경리 옛집 뜨락에서」는 고요한 정적이 감도는 작품이다. 화자는 마치 박경리의 혼을 불러내려는 듯 ‘나비’를 환유한다. 그 고요 속에서 화자는 숨소리를 낮추고 호흡하듯 ‘나비’를 바라보면서 무언의 대화를 나눈다. 그윽한 침묵의 대화다.
지은희 시인의 자연을 노래한 시 중에서 「겨울 호수」는 시의 완성도가 높은 작품이다. “고요와 마주한 얼음 덮인 호수/ 시간도 멈춰 쉬고 있다”와 같은 묘사가 그것이다. 또한 “침묵의 호수 햇살 건드리면/ 얼음 속 깊은 곳으로부터/ 가만히 봄 끌고 오는 소리 들린다” 혹은 “멈추었던 시간의 초침이/ 가늘게 흔들린다”와 같은 표현은 시적 이미지화의 절창이다. 또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의 정서가 압권이다. 「아버지의 방」에는 “유언이 된 낡은 노트/ 일상의 지혜가 담긴” 경전과 같은 아버지의 말씀이 숨쉬고 있다. 아버지가 안 계신 ‘빈방’이지만 그 여운과 여백은 시적 승화의 극치를 이룬다.
지은희 시인의 시집 『카페거리에 그녀는 없다』에는 시가 곧 생활이요, 생활이 곧 시인 듯, 발길 닿은 곳마다, 눈길 머무는 것마다 모두 그의 시심으로 시의 꽃을 피우고 있다. 그의 시는 ‘서정성’에서 출발한다. 특히 눈길을 끈 것은 자연을 사랑하고 자연과 조화를 이루면서 자신이 살고 있는 고장을 소재로 그려낸 시들이 많다. 지은희 시인은 그 자연 속에서 자아를 찾아 교감하고 이상향을 지향하듯 무위자연을 노래하고 있다. “세월에 지친 마음 응원의 박수 보내며/ 힘내라고 메시지도 보내주는/ 어버이의 품속 같은 큰 산/ 그대 바라보며/ 세상 사는 법 배운다”(「치악산과 나」)라고 노래한다.
지은희 시인의 자연 사랑과 그가 살고 있는 고장에 대한 사랑은 시 제목에서도 나타난다. 「원주천」, 「박경리 옛집 뜨락」, 「치악산에 머무는 선비」, 「거돈사지」, 「법천사지」, 「배론성지」 등 모두 그가 함께 호흡하고 함께 살아가는 그의 고장에 존재하는 지명이다. 이름만으로도 유서 깊어보이고 이상적인 세계를 지은희 시인은 어떤 경지를 어떻게 그려내고 있을까. 특히 천주교 순교자의 터전이거나 절터인 ‘배론성지’, ‘거돈사지’, ‘법천사지’ 등은 종교적 사유의 세계가 지은희 시인에 의하여 어떻게 승화되고 있는지 주목을 끈다. 특히 성스러운 ‘배론성지’에 이르러 한순간 발길이 머물고 마음이 머물러 순교자들의 음성과 하느님의 거룩한 음성을 들으며 더 가까이 더 깊게 “친해지고 싶다”라고 고백한다.
지은희 시인은 자신의 고향 원주에 대한 애착과 사랑, 그리고 자연과의 교감의 정서를 잘 그려내고 있다. 「치악산과 나」, 「박경리 옛집 뜨락」, 「원주천」, 「치악산에 머무는 선비」, 「원주천」, 「동백」, 「덤바우」, 「치악산에 머무는 선비」 등이 그것이다. 원주를 품고 있는 ‘치악산’은 꿈과 그리움의 대상이다. “갈래머리 뛰어놀던 어린 날과/ 단발머리 교복 소녀를 품고 있는” 산이다. 그 산에는 비밀의 정원 같은 “지고지순 짝사랑으로/ 까맣게 탄 속마음 묻어놓은 그 산 자락”이다. 그리고 “머리카락 희끗희끗 변해가는 지금”은 “세월에 지친 마음 응원의 박수를 보내며/ 힘내라는 메시지도 아끼지 않고 보내주는/ 어버이의 품속 같은 큰 산”이라고 「치악산과 나」에서 그리고 있다. 「박경리 옛집 뜨락에서」는 고요한 정적이 감도는 작품이다. 화자는 마치 박경리의 혼을 불러내려는 듯 ‘나비’를 환유한다. 그 고요 속에서 화자는 숨소리를 낮추고 호흡하듯 ‘나비’를 바라보면서 무언의 대화를 나눈다. 그윽한 침묵의 대화다.
지은희 시인의 자연을 노래한 시 중에서 「겨울 호수」는 시의 완성도가 높은 작품이다. “고요와 마주한 얼음 덮인 호수/ 시간도 멈춰 쉬고 있다”와 같은 묘사가 그것이다. 또한 “침묵의 호수 햇살 건드리면/ 얼음 속 깊은 곳으로부터/ 가만히 봄 끌고 오는 소리 들린다” 혹은 “멈추었던 시간의 초침이/ 가늘게 흔들린다”와 같은 표현은 시적 이미지화의 절창이다. 또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의 정서가 압권이다. 「아버지의 방」에는 “유언이 된 낡은 노트/ 일상의 지혜가 담긴” 경전과 같은 아버지의 말씀이 숨쉬고 있다. 아버지가 안 계신 ‘빈방’이지만 그 여운과 여백은 시적 승화의 극치를 이룬다.
카페거리에 그녀는 없다
$1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