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철원의 역사와 문화, 철새 등을 시로 승화시킨 김백란의 세 번째 시집
2012년 『한국문인』 시 부문 신인상으로 등단한 후 두 권의 시집을 펴냈고 2021년에는 철원의 상징인 철새들의 이미지를 바탕으로 직관적인 시적 영감을 시사화(詩寫畵)한 사진첩 『철새 이야기(a stor y of 50years)』를 임수현 사진작가와 함께 출간했던 김백란 시인이 세 번째 시집 『민통선 마을 양지리에서』를 출간했다.
김백란 시인은 철원 민통선 마을에서 살아온 해가 어언 50년이 되었다. 김백란 시인은 이곳에 살면서 체험한 일과 시시때때로 느낀 정서를 시로 제대로 표현하고 있다. 표제시 「민통선 마을 양지리에서」가 그것이다. 국가에서 임대해주었던 듯한 양지리는 “논과 논이 아닌 자갈밭이었고/ 황무지였”고 “전쟁이 할퀴고 간 피바람으로 황페한 땅”이었다. 전쟁으로 “살아남은 피붙이 하나 없이/ 외지에서 몰려온 사람들/ 가난 때문에 서러운 사람들이/ 의지할 데라곤 노동력 하나 빈손에 움켜쥐고/ 철원 벌판을 밟았던” 사람들이 삶의 터전을 잡은 곳이다. 하지만 몇십 년을 살다보니 이웃하여 살던 사람들은 하나둘 떠나가고 없다고 담담하고 진솔하게 표현했다. 그러나 그 속에는 서민들의 애환이 강물처럼 싸하게 가슴을 젖게 한다
김백란 시의 특징은 사물들에게 감정을 이입시켜 사람과 똑같이 호흡하고 노래하는 의인화 기법으로 시를 승화시키고 있다. 그것은 그만큼 사물과 생명체에 대하여 깊은 관심과 애정에서 비롯되는 따뜻한 성정이다. 김백란 시인은 철원에 살면서 숨결마다 발길 닿은 길목마다에서 마치 가까운 이들에게 혹은 이 세상에게 던지는 메시지와도 같이 자연스럽게 그곳의 역사와 문화와 사물들과 대화를 나누면서 그 정서를 시로 승화시켜내고 있다. 「한탄강 주상절리」는 김백란 시인에 의해 그 아름다움의 비경을 넌지시 시사한다. “틈새마다 야생화/ 그 자태를 뽐내고/ 절벽의 날선 기운이/ 강물의 흐름을/ 잠시 잠시 주춤거리게 한다”고 할 정도로 여행객들의 발길을 끌어당기는 곳이다.
‘철원’ 하면 빼놓을 수 없는 곳이 ‘도피안사’이다. 이 절은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도선이 창건한 사찰이다. 김백란 시인은 우리들이 평소에 자주 쓰는 ‘절 사(寺)’ 자의 훈(訓)을 따서 친근한 어감으로 바꾸어 「되피절에 갔더니」란 제목으로 차용하였다. “샘물가에 동자승이 오밀조밀 모여서/ 이야기꽃을 피우고// 오래 묵은 느티나무 아래/ 봄이 꽃대 들고 일어나/ 반갑다고 인사를 건넨다// 스님은 독경 중이고/ 처마 끝에 인경 소리/ 바람을 부르는데”와 같은 청각과 시각의 공감각적 이미지 묘사는 절창 중에 절창이다. 마지막 연에서 다시 “피안의 요새로 들어가는 길은/ 햇살과 더불어 열려 있는 듯하다”고 불교 최고의 경지까지 암시한 상상의 심미안은 가히 미학적 우월성(優越性)을 확보하고도 남는다.
김백란 시인은 철원 민통선 마을에서 살아온 해가 어언 50년이 되었다. 김백란 시인은 이곳에 살면서 체험한 일과 시시때때로 느낀 정서를 시로 제대로 표현하고 있다. 표제시 「민통선 마을 양지리에서」가 그것이다. 국가에서 임대해주었던 듯한 양지리는 “논과 논이 아닌 자갈밭이었고/ 황무지였”고 “전쟁이 할퀴고 간 피바람으로 황페한 땅”이었다. 전쟁으로 “살아남은 피붙이 하나 없이/ 외지에서 몰려온 사람들/ 가난 때문에 서러운 사람들이/ 의지할 데라곤 노동력 하나 빈손에 움켜쥐고/ 철원 벌판을 밟았던” 사람들이 삶의 터전을 잡은 곳이다. 하지만 몇십 년을 살다보니 이웃하여 살던 사람들은 하나둘 떠나가고 없다고 담담하고 진솔하게 표현했다. 그러나 그 속에는 서민들의 애환이 강물처럼 싸하게 가슴을 젖게 한다
김백란 시의 특징은 사물들에게 감정을 이입시켜 사람과 똑같이 호흡하고 노래하는 의인화 기법으로 시를 승화시키고 있다. 그것은 그만큼 사물과 생명체에 대하여 깊은 관심과 애정에서 비롯되는 따뜻한 성정이다. 김백란 시인은 철원에 살면서 숨결마다 발길 닿은 길목마다에서 마치 가까운 이들에게 혹은 이 세상에게 던지는 메시지와도 같이 자연스럽게 그곳의 역사와 문화와 사물들과 대화를 나누면서 그 정서를 시로 승화시켜내고 있다. 「한탄강 주상절리」는 김백란 시인에 의해 그 아름다움의 비경을 넌지시 시사한다. “틈새마다 야생화/ 그 자태를 뽐내고/ 절벽의 날선 기운이/ 강물의 흐름을/ 잠시 잠시 주춤거리게 한다”고 할 정도로 여행객들의 발길을 끌어당기는 곳이다.
‘철원’ 하면 빼놓을 수 없는 곳이 ‘도피안사’이다. 이 절은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도선이 창건한 사찰이다. 김백란 시인은 우리들이 평소에 자주 쓰는 ‘절 사(寺)’ 자의 훈(訓)을 따서 친근한 어감으로 바꾸어 「되피절에 갔더니」란 제목으로 차용하였다. “샘물가에 동자승이 오밀조밀 모여서/ 이야기꽃을 피우고// 오래 묵은 느티나무 아래/ 봄이 꽃대 들고 일어나/ 반갑다고 인사를 건넨다// 스님은 독경 중이고/ 처마 끝에 인경 소리/ 바람을 부르는데”와 같은 청각과 시각의 공감각적 이미지 묘사는 절창 중에 절창이다. 마지막 연에서 다시 “피안의 요새로 들어가는 길은/ 햇살과 더불어 열려 있는 듯하다”고 불교 최고의 경지까지 암시한 상상의 심미안은 가히 미학적 우월성(優越性)을 확보하고도 남는다.
민통선 마을 양지리에서 - 북인시선
$1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