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마고도 외전(外傳) - 현대시세계 시인선 151

차마고도 외전(外傳) - 현대시세계 시인선 151

$11.00
Description
‘자연’으로 돌아온 도시의 적자(嫡子) 조현석 시집 『차마고도 외전(外傳)』
1988년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시 「에드바르트 뭉크의 꿈꾸는 겨울스케치」로 등단했던 조현석 시인이 시단 데뷔 35년 만에 다섯 번째 시집 『차마고도 외전(外傳)』을 현대시세계 시인선 151번으로 출간했다.
조현석의 시가 마침내 ‘자연’으로 돌아왔다. 도시의 적자(嫡子)였던 그의 시를 두고 ‘자연으로 돌아왔다’고 표현한 건 출발지로 회귀했다는 뜻이 아니라 서정시의 근원으로 회귀했다는 뜻이다. “도시의 외곽 마르고 검게 병든 나무들 사이/ 흔들거리는 신호등 - 빨강, 파랑, 초록의 불/ 모두 켜져 나올 곳을 찾지 못하고/ 맴돌다, 주저앉고 말았다”(「벽에게 묻다」, 제1시집, 1992년)던 30여 년 전의 그의 시는 “살포시 실바람이 타는 천 갈래 구름의 현악(絃樂)/ 봄볕 좋은 물가에 앉아 귀에 고이는 소리 담는 게지”(「파르르 연두」)라고 노래할 만큼 변했다.
조현석의 시가 변했다. “현란하면서도 매끈하게 펼쳐지는 수사와 장식적인 이미지들, 세련된 감상성, 여성성”으로 무장한 채 “도시적 서정”(성민엽 문학평론가)을 유감없이 드러냈던 첫 시집, “어느 곳에도 속하지 않는 불법체류자의 불안”(최인자 문학평론가)에 시적 자아를 기꺼이 투사했던 두 번째 시집, 시의 제목을 모두 “∼다”로 끝나는 서술형으로 통일하여 “내면의 고통과 우울”(이재훈 시인)을 끝까지 밀어붙였던 세 번째 시집, “실존적 결핍에서 비롯되는 갈증”으로 “견고한 고독의 세계”(고봉준 문학평론가)를 노래했던 네 번째 시집에 이르기까지 그의 시를 관통하는 정서는 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불안과 절망이었다. 물론 이번 시집에서도 그 정서가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지만 확연하게 줄어들었고, 그 자리를 ‘자연’의 발견(1부), 지나간 시간에 대한 회한과 성찰(2, 3부), 가족에 대한 그리움과 미안함(4부) 등이 대신하고 있다.
표제시 「차마고도 외전(外傳)」과 「차마고도」의 주인공들이 그랬듯이 이제 그는 그의 슬픔과 아픔과 절망을 미화하지도 과장하지도 않는다. 도통했다는 말이 아니다. 있는 그대로를 인정하고 받아들일 만큼 ‘내공’이 쌓였다는 말이다. 이번 시집에서는 오랫동안 그의 시의 전매특허처럼 여겨졌던 “현란하면서도 매끈하게 펼쳐지는 수사와 장식적인 이미지들”(제1시집 해설, 1992년)이 많이 사라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조현석의 시가 ‘도시적 서정’에서 ‘전통적 서정’으로 변했다. 뿐만 아니라 시의 형식도 눈에 띄게 단아해졌다. 시세계가 변하다보니 시형식도 변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의 이런 변화를 바라보는 주위의 평가는 갈릴 수 있다. 미학적 퇴행으로 받아들이는 비판적 시각도 있을 것이고, 인간적 성숙으로 받아들이는 옹호의 시선도 있을 것이다. 결국 시를 주목해서 보느냐, 시인을 주목해서 보느냐의 차이일 테다. 전자를 두고 ‘애정 없는 비판’이라고 몰아붙인다면 그들은 후자를 향해 ‘비판 없는 애정’이라고 맞받아칠 것이다. 어느 한쪽을 선택해야 한다면 나는 비판의 치열함보다는 옹호의 공감 쪽에 설 것이다. 왜냐하면 좋은 시란 ‘잘 표현된 아픔’이라고 믿으니까. 시인의 아픔에 대한 공감이나 이해 없이 어찌 그 시인의 시를 평가하겠는가
저자

조현석

1963년서울에서출생했다.서울예술전문대학문예창작과와한국방송통신대학국어국문학과를졸업했다.1988년경향신문신춘문예에시「에드바르트뭉크의꿈꾸는겨울스케치」로등단했다.1987년부터여러출판사에서단행본기획과편집을맡아일했으며중앙일보사출판국의계간지『문예중앙』과시사월간지『월간중앙』에서근무한이후경향신문편집국으로옮긴뒤섹션〈매거진X〉취재기자를끝으로2001년직장생활을정리했다.시집으로『에드바르트뭉크의꿈꾸는겨울스케치』(도서출판청하,1992년),『불법,…체류자』(문학세계사,1995년),『울다,염소』(현대시,2009년),『검은눈자작나무』(문학수첩,2018년)등네권의시집을출간했다.현재도서출판북인(Bookin)대표이다.

목차


1부
내가봤다·13
알타미라벽화처럼·14
오리무중·15
부석사·16
운주사·18
차마고도·19
차마고도외전(外傳)·20
물방울석·22
빛나는경계·23
귓속의바다·24
나무의새벽·26
상현(上弦)·27
개기일식·28
초승달의위로·29
산책·30

2부
궁상각치우·33
붉은편지·34
동백의침묵·35
파르르연두·36
우수(雨水)·37
봄의옆얼굴·38
구름의독설·39
즐거운횡포·40
춘경(春經)·41
오월·42
불꽃·44
나비의내통(內通)·45
향기만리·46
아주짧게찰랑·47
관상점사(觀相占辭)·48

3부
갈대의자세·53
모래시계·54
뚝·55
휴일의구름·56
안녕(安寧)·57
모과의11월·58
치명(治命)·59
보름날·60
11월11일·61
영하1도와0도사이·62
침묵의기억·63
첼로듣는아침·64
불볕독서·65
크리스마스악몽·66
동짓날금요일·68

4부
흑백사진·71
왕십리·72
마지막학기·74
센베과자·76
백발민들레·77
설렁탕한그릇·78
곁·80
끝나지않을노래·81
못된소·82
주렁주렁아카시아·84
조용하게한마디·85
마음으로보라·86
손가락끝·88
낙타문답(問答)·89
59분59초·90

해설에드바르트뭉크의‘귀거래사’/김남호·91

출판사 서평

추천사

서울촌놈조현석은아직도서울에서불법체류중이다.아무도그에게고통에대해알려주지않았으므로,그는고통이고통인줄도모른채고통스러워하고있다.고통의근원에는“퇴색한”,“갑갑한”미래에대한불안과가족의부재가자리잡고있다.소식이오리무중이었던남동생,“부처님오신뒷날뇌졸중으로쓰러진어머니”와감악산아래‘요양병원침대에누워말라가는아버지’마저돌아가신후그는천애고아가되었다.여간해선가족사를드러내지않던그가이번시집에선내밀한가족사를덤덤하게풀어놓고있다.특히어머니가돌아가신후왕십리집에서홀로살다가요양병원에서돌아가신아버지에대한죄송스러운마음이곳곳에배어있다.하지만그는괴로워하거나슬퍼하지않는다.겉으로드러내는대신안으로더단단해진다.삶은찰나이고,괴로운것이다.괴로움과고통은살아있기에생겨나고,집착과탐욕을버리면인생은즐거워진다.그가가끔절을찾아합장하고,만인앞에서웃을수있는이유다.“낙타가사막을/길안잃고가는건/울음을따라가기때문”이고,“그낙타울음소리어디서든들리는듯”하기에불법체류자조현석은오늘도고통을시로승화시킨다.
―김정수/시인

책속에서

<차마고도외전(外傳)>

그렇구나,걸을수록멀어지고
오를수록오늘의끝으로다가가는
깎아지른빌딩의그림자꼿꼿한도시
자신을되비치는유리창벽들빛나고
또빛나는길이시작하고끝나는
인도앞과뒤와옆,또그앞과뒤와옆
그어디고천길낭떠러지로이어지니
무작정앞만보고걸어가야한다
뒤를돌아보는후회따위는남기지말고

아하,추락은가능해도
상승이나횡단과추월은허용되지않는
어떤것도그림자남기지못하는
금빛햇살이소리없이녹아내리는
바람마저툭툭끊겨가쁜숨소리
메아리로되돌아오는도시한복판

백척간두,아찔한빌딩꼭대기
발가락닳고짓물러뭉개지기전에
도착한어느곳
그저삼보일배고행을강요하는데
걸음은결코더디어지지않는다
벼랑이다걸을수록기어갈수록
멀어진세상과가까워지는
허공에발딛듯안전하게걸어야한다

<파르르연두>

살포시실바람이타는천갈래구름의현악(絃樂)
봄볕좋은물가에앉아귀에고이는소리담는게지

소리는발가락을적시고무릎으로허벅지로굽은등짚고척추따라정수리거쳐지그시감은눈동자속으로차가운심장한가운데맴돌고맴돌아다시목뼈타고백회혈뚫고더욱더위로오르고올라서동토(凍土)가품었던햇살의추억에닿지그하늘끝에되돌려놓는게지자잘하고소소한파문무궁무진의허공뒤덮는게지

파르르파르르
흐르고오래흘러서오래도록길게
갓피운연두의여운,결코멈추지않는게지

<궁상각치우>

며칠전부터듣기시작한비가긋지않네
늦은밤부터이른낮까지퍼붓는빗줄기가천지에후줄근하네
흠뻑젖은삭신몽롱몽롱구름속을걷듯헤매네

낮은곳,깊이를모르는곳
어두운곳,꽃향기더러운곳
그어디에떨어져도
소리를울려침묵이되는

새벽동트기시작한,딱한순간하늘이맑게개네
아직도떨어지다만빗방울몇개어디선가떨어지네
갈증길고길어메말랐던목청마저감미로워지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