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특별한 언어와 독특한 표현으로 차별화한 지성과 감성 전달하는 김기호1999년 『원주문학』으로 시작 활동을 시작한 김기호 시인이 『우리 집 식구는 되고 남의 집 식구는 안 되나요?』를 현대시세계 시인선 153번으로 출간했다.
김기호 시집 『우리 집 식구는 되고 남의 집 식구는 안 되나요?』에는 독특한 지성과 감성과 개성 기반의 차별성과 주목되는 메시지 및 예술적 가치와 의의를 품고 있는 시를 만날 수 있다. 1부에 수록된 시 「여보게」는 인간의 한 생애를 ‘소풍길’로 인식하면서 살아오다가 이 소풍길이 멈추게 될 때 보통 사람들처럼 가슴 아프게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사실은 겪지 못할 것을 남달리 아름답게 겪었다는 역설적 독백으로 제시하고 있다.
또 다른 시 「존재와 기억의 반추」에서는 시어(언어) 사용의 특징이다, 목격, 기억, 경험, 사태’라는 단어들의 유의성이다. 기억은 목격과는 다른 타자를 갖는 말이며, 경험은 ‘사실’과 사태를 포함하는 말이다. 떠올린다는 것은 시적 화자가 죽음이라는 ‘사실과 사태’를 겪어내는 일이며, 기억하고, 새김질로 담아내는 일로써, 이러한 감각적이고 사유적인 언어를 사용하여 엄마와의 사별의 기억을 ‘길어낼 수 없다’고 고백하며, 다섯 살 기억의 실체를 비탄하는 화자의 모습을 담담하게 그려냄으로써, 시적 차별성과 독자성을 보여주고 있다.
표제시 「우리 집 식구는 되고 남의 집 식구는 안 되나요?」는 “자본주의는 야바위(Shell) 게임”이라고 말한 공공은행연구소(Public Banking Institute) CEO이자 변호사인 엘렌 브라운의 말을 1연에 거론하며 국내외 정치와 경제의 허와 실을 드러내는 동시에, 가난 속에서 노동을 하고 시(예술)를 쓰는 사람들의 어려움과 고충을 드러내고 있다.
김기호 시인의 작품들은 특별한 경험과 사고 체계에 기초한 정보를 바탕으로 한다. 또한 자각적으로 도출하여 형성해낸 현실적 삶의 조건과 미래 지향적 과제의 기반을 보여준다. 이러한 토대로 위에서 일종의 자기 철학, 기쁨, 비전, 희망, 꿈, 자기 사랑 등을 음악적 가락에 실어 언어로 제시하며 독특한 예술적 메시지를 담고 있다. 시인의 60편 작품들은 감성과 지성과 정서적 공감의 통합적 토대에서 비롯된 인간 조건의 특별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
시인들의 시는 첫째, 언어 기반의 음악적 가락과 공감적 차별성 여하 둘째, 예술로서의 독자성과 메시지 전달의 충실성 여하 등 두 갈래 조건에 기초하여 긍정과 부정 양면으로 차별화될 수 있어야 한다. 시인들에게 두 갈래의 현실적 과제가 주어져 있다는 사실은 시 쓰기가 그리 수월한 일이 아니며, 모든 시가 개별적 차별성을 갖추되,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각기 다른 표현력으로 형성되는 독자들의 공감력 때문에, 사람마다 긍정 부정 양면에서 천차만별로 다를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김기호 시인은 특별한 언어 선택과 독특한 표현력으로 시 문장을 이끌어가는 힘이 많은 다른 시인들의 작품을 통해 경험했던 바와는 달리, 남다른 감성과 지성의 메시지를 조화롭게 차별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는 독특한 언어 사용의 독자성이 발휘되어 나타나는 차별화의 정체성으로 독자들에게 전하는 은밀한 정서적 공감력을 갖추고 있다는 증거이다.
김기호 시집 『우리 집 식구는 되고 남의 집 식구는 안 되나요?』에는 독특한 지성과 감성과 개성 기반의 차별성과 주목되는 메시지 및 예술적 가치와 의의를 품고 있는 시를 만날 수 있다. 1부에 수록된 시 「여보게」는 인간의 한 생애를 ‘소풍길’로 인식하면서 살아오다가 이 소풍길이 멈추게 될 때 보통 사람들처럼 가슴 아프게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사실은 겪지 못할 것을 남달리 아름답게 겪었다는 역설적 독백으로 제시하고 있다.
또 다른 시 「존재와 기억의 반추」에서는 시어(언어) 사용의 특징이다, 목격, 기억, 경험, 사태’라는 단어들의 유의성이다. 기억은 목격과는 다른 타자를 갖는 말이며, 경험은 ‘사실’과 사태를 포함하는 말이다. 떠올린다는 것은 시적 화자가 죽음이라는 ‘사실과 사태’를 겪어내는 일이며, 기억하고, 새김질로 담아내는 일로써, 이러한 감각적이고 사유적인 언어를 사용하여 엄마와의 사별의 기억을 ‘길어낼 수 없다’고 고백하며, 다섯 살 기억의 실체를 비탄하는 화자의 모습을 담담하게 그려냄으로써, 시적 차별성과 독자성을 보여주고 있다.
표제시 「우리 집 식구는 되고 남의 집 식구는 안 되나요?」는 “자본주의는 야바위(Shell) 게임”이라고 말한 공공은행연구소(Public Banking Institute) CEO이자 변호사인 엘렌 브라운의 말을 1연에 거론하며 국내외 정치와 경제의 허와 실을 드러내는 동시에, 가난 속에서 노동을 하고 시(예술)를 쓰는 사람들의 어려움과 고충을 드러내고 있다.
김기호 시인의 작품들은 특별한 경험과 사고 체계에 기초한 정보를 바탕으로 한다. 또한 자각적으로 도출하여 형성해낸 현실적 삶의 조건과 미래 지향적 과제의 기반을 보여준다. 이러한 토대로 위에서 일종의 자기 철학, 기쁨, 비전, 희망, 꿈, 자기 사랑 등을 음악적 가락에 실어 언어로 제시하며 독특한 예술적 메시지를 담고 있다. 시인의 60편 작품들은 감성과 지성과 정서적 공감의 통합적 토대에서 비롯된 인간 조건의 특별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
시인들의 시는 첫째, 언어 기반의 음악적 가락과 공감적 차별성 여하 둘째, 예술로서의 독자성과 메시지 전달의 충실성 여하 등 두 갈래 조건에 기초하여 긍정과 부정 양면으로 차별화될 수 있어야 한다. 시인들에게 두 갈래의 현실적 과제가 주어져 있다는 사실은 시 쓰기가 그리 수월한 일이 아니며, 모든 시가 개별적 차별성을 갖추되,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각기 다른 표현력으로 형성되는 독자들의 공감력 때문에, 사람마다 긍정 부정 양면에서 천차만별로 다를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김기호 시인은 특별한 언어 선택과 독특한 표현력으로 시 문장을 이끌어가는 힘이 많은 다른 시인들의 작품을 통해 경험했던 바와는 달리, 남다른 감성과 지성의 메시지를 조화롭게 차별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는 독특한 언어 사용의 독자성이 발휘되어 나타나는 차별화의 정체성으로 독자들에게 전하는 은밀한 정서적 공감력을 갖추고 있다는 증거이다.
우리 집 식구는 되고 남의 집 식구는 안 되나요? - 현대시세계 시인선 153
$1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