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시간의 상자’ 안팎의 시차와 감정, 기억과 은밀하게 내통한 고백의 시들
2013년 『시에』로 등단하고 2015년 첫 시집 『만 개의 골목』을 출간했던 유성임 시인이 8년 만에 두 번째 시집 『붉음을 쥐고 있는 뜨거운 손끝』을 현대시세계 시인선 158번으로 출간했다.
유성임 시인은 ‘시간의 상자’ 하나를 가지고 있다. 혼자만의 공간에 꼭꼭 숨겨둔 상자 속에는 기억, 추억, 사랑, 상처, 시, 비, 저녁 등이 들어 있다. 시인은 곁에 사람이 없을 때마다 상자를 열고는 가만히 안을 들여다본다. 상자 속의 시간은 우리의 생각처럼 흐르지 않는다. 서서히 흐르거나, 고여 있거나 역행하기도 한다. 하지만 상자 밖의 시간은 시시각각 변하면서 빠르게 앞으로 흘러간다. 상자 밖에서 상자 안을 들여다보는 시인도 차츰 변해간다.
상자 밖의 ‘흐름’과 상자 안의 ‘지체 혹은 멈춤’, 그 시간의 간극과 파장에서 ‘시적인 것’이 생겨난다. 상자 안과 밖의 시차와 감정이 ‘시적인 것’과 결합해 펼쳐 보이는 세계는 현실 이전의 기억과 내통하는 은밀한 고백이다. 상자 밖으로 나온 고백은 급작스러운 환경 변화에 현실과의 결합을 망설이다가 이내 사물을 소환한다. 사물과 ‘시적인 것’이 잠시 멈췄던 시간을 되돌리며 시를 탄생시킨다.
사진이 ‘빛의 예술’이라면 시는 ‘언어의 예술’이라 할 수 있다. 시는 짧은 순간에 포착한 이미지와 기억(경험), 상상을 언어로 형상화한 것이다. 유성임 시인에게 시는 무엇일까. 「시간의 진심」에 의하면 시를 쓸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진심”이고, 시작(詩作)은 시의 마트에서 잘 숙성된 시어를 골라 “발효된 시간”을 거치는 것이다. 발효에서 숙성에 이르려면 시간이 필요하다. 착상에서 전개, 상상 그리고 사유하는 시간을 거쳐야 한 편의 시가 완성된다는 사실을 시인은 “작은 젓갈 병”에 붙어 있는 “회사 상호의 부제목”을 통해 확인한다.
“회사 상호”를 믿고 젓갈을 구매하듯, 시인의 이름을 믿고 시를 읽고 시집을 산다는 것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숙성되지 않은 시는 시행착오를 겪는다. 숙성도 아닌 발효되기 전에 시작하면 “문이 열리지” 않아 “순간 아득한 벼랑으로 떨어”지기도 한다. 쉽게 열리지 않는 문 앞에서 오래 서성대면 목적조차 잊어버리고 삼천포로 빠질 수도 있다. “개운하지 않”지만, 그래도 잠이라는 발효의 시간이 경과하면 “암흑 같은 나의 머릿속에 단비”가 내려 한 편의 시를 쓸 수 있을 것이다.
김상미 시인은 “유성임 시인이 8년 만에 두 번째 시집을 출간했다. 반갑고, 고맙다. 『붉음을 쥐고 있는 뜨거운 손끝』으로 시의 상승 음계를 한 뜸 한 뜸 시침질하고 감침질하고 박음질해낸 시편들을 어둠이 오기 전의 저녁, 비 오는 저녁의 그리움처럼 펼쳐놓았다. 훌쩍 불혹을 넘긴 세월. 그 사이 많은 일이 있었고, 많은 날이 지나갔고, 사는 방식도 조금씩 달라졌지만, 시인은 시를 놓치지 않기 위해 피톤치드 가득한 시어를 찾아, 시를 찾아 마트에도 가고 노량진 학원가, 고속도로 휴게소, 36번도로와 50번도로, 논골담길, 몰운대, 남영역, 한여름의 바닷가, 지하동굴… 갈 수 있는 곳은 어디든 가고 또 갔다. 그때마다 품 안에 숨긴 회한의 시계는 가차 없이 밤 11시 59분에서 멈추었지만, 기운 내! 시인은 붉음을 쥐고 있는 뜨거운 손끝을 놓지 않고 500년을 버틴 못난이 소나무처럼 그 시간 속에, 그 일상 속에 가감 없이 자신의 시를 풀어놓았다. 멈추었던 노고의 시계가 돌아가고 시인에게 새 아침이 밝아오길 기대한다”며 축하의 말을 전했다.
유성임 시인은 ‘시간의 상자’ 하나를 가지고 있다. 혼자만의 공간에 꼭꼭 숨겨둔 상자 속에는 기억, 추억, 사랑, 상처, 시, 비, 저녁 등이 들어 있다. 시인은 곁에 사람이 없을 때마다 상자를 열고는 가만히 안을 들여다본다. 상자 속의 시간은 우리의 생각처럼 흐르지 않는다. 서서히 흐르거나, 고여 있거나 역행하기도 한다. 하지만 상자 밖의 시간은 시시각각 변하면서 빠르게 앞으로 흘러간다. 상자 밖에서 상자 안을 들여다보는 시인도 차츰 변해간다.
상자 밖의 ‘흐름’과 상자 안의 ‘지체 혹은 멈춤’, 그 시간의 간극과 파장에서 ‘시적인 것’이 생겨난다. 상자 안과 밖의 시차와 감정이 ‘시적인 것’과 결합해 펼쳐 보이는 세계는 현실 이전의 기억과 내통하는 은밀한 고백이다. 상자 밖으로 나온 고백은 급작스러운 환경 변화에 현실과의 결합을 망설이다가 이내 사물을 소환한다. 사물과 ‘시적인 것’이 잠시 멈췄던 시간을 되돌리며 시를 탄생시킨다.
사진이 ‘빛의 예술’이라면 시는 ‘언어의 예술’이라 할 수 있다. 시는 짧은 순간에 포착한 이미지와 기억(경험), 상상을 언어로 형상화한 것이다. 유성임 시인에게 시는 무엇일까. 「시간의 진심」에 의하면 시를 쓸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진심”이고, 시작(詩作)은 시의 마트에서 잘 숙성된 시어를 골라 “발효된 시간”을 거치는 것이다. 발효에서 숙성에 이르려면 시간이 필요하다. 착상에서 전개, 상상 그리고 사유하는 시간을 거쳐야 한 편의 시가 완성된다는 사실을 시인은 “작은 젓갈 병”에 붙어 있는 “회사 상호의 부제목”을 통해 확인한다.
“회사 상호”를 믿고 젓갈을 구매하듯, 시인의 이름을 믿고 시를 읽고 시집을 산다는 것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숙성되지 않은 시는 시행착오를 겪는다. 숙성도 아닌 발효되기 전에 시작하면 “문이 열리지” 않아 “순간 아득한 벼랑으로 떨어”지기도 한다. 쉽게 열리지 않는 문 앞에서 오래 서성대면 목적조차 잊어버리고 삼천포로 빠질 수도 있다. “개운하지 않”지만, 그래도 잠이라는 발효의 시간이 경과하면 “암흑 같은 나의 머릿속에 단비”가 내려 한 편의 시를 쓸 수 있을 것이다.
김상미 시인은 “유성임 시인이 8년 만에 두 번째 시집을 출간했다. 반갑고, 고맙다. 『붉음을 쥐고 있는 뜨거운 손끝』으로 시의 상승 음계를 한 뜸 한 뜸 시침질하고 감침질하고 박음질해낸 시편들을 어둠이 오기 전의 저녁, 비 오는 저녁의 그리움처럼 펼쳐놓았다. 훌쩍 불혹을 넘긴 세월. 그 사이 많은 일이 있었고, 많은 날이 지나갔고, 사는 방식도 조금씩 달라졌지만, 시인은 시를 놓치지 않기 위해 피톤치드 가득한 시어를 찾아, 시를 찾아 마트에도 가고 노량진 학원가, 고속도로 휴게소, 36번도로와 50번도로, 논골담길, 몰운대, 남영역, 한여름의 바닷가, 지하동굴… 갈 수 있는 곳은 어디든 가고 또 갔다. 그때마다 품 안에 숨긴 회한의 시계는 가차 없이 밤 11시 59분에서 멈추었지만, 기운 내! 시인은 붉음을 쥐고 있는 뜨거운 손끝을 놓지 않고 500년을 버틴 못난이 소나무처럼 그 시간 속에, 그 일상 속에 가감 없이 자신의 시를 풀어놓았다. 멈추었던 노고의 시계가 돌아가고 시인에게 새 아침이 밝아오길 기대한다”며 축하의 말을 전했다.
붉음을 쥐고 있는 뜨거운 손끝 - 현대시세계 시인선 158
$1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