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따스한 배려가 곳곳에 숨어 있는 이호준 시인의 『사는 거, 그깟』
2013년 『시와경계』 신인상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했고 2018년 첫 시집 『티그리스강에는 샤가 산다』를 선보였던 이호준 시인이 6년 만에 두 번째 시집 『사는 거, 그깟』을 현대시세계 시인선 159번으로 출간했다.
이호준의 두 번째 시집 『사는 거, 그깟』에 실린 시들은 로맹 가리의 「새들은 페루에 가서 죽다」에 주목한 이유가 있다. 「나는 날마다 유언을 쓴다」라는 시에 “내가 페루 해변으로 간 새처럼 못 돌아오면”이라는 구절이나 「카리브횟집의 저녁」, 「쿠바에서 꾸는 꿈」 같은 시 때문은 아니다. 「새를 묻다」, 「히말라야를 넘는 새들」, 「새들의 러시안룰렛」, 「제비집 요리 드실래요?」와 같은 시 제목이나 시의 행간에 페루 해변에 와서 죽는 새만큼이나 많은 새가 등장해서도 아니다. 치열한 삶의 현장에서 기자로, 세계 곳곳을 떠돈 여행작가로, 삶의 애환을 따스한 감성으로 녹인 에세이스트로 살다가 휴전선 근처 경기도 파주에 정착한 동질성 때문만도 아니다. 고독한, 감성 충만한 시인으로 살아가는 이호준이라는 한 개인에 주목해서도 아니다. 그것은 카페 앞 좁은 해변까지 날아와 새들이 죽는 이유를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는 것과 조금 닮았다.
세상을 떠돌던 시인이 모처럼 집에 돌아와 그리운 온갖 것을 햇빛에 널어놓고는 “엄마 냄새”(이하 「모처럼 집에 돌아와」)를 맡는다. “등걸잠 속에 유년의 뜰을 넣어놓고” 잠든 척한다. 어느새 “뒤따라온 고요가 팔베개하고 곁에”(「시(詩)」) 슬그머니 눕겠는다. 그러다가 “하늘이 지상의 공책에 시를 쓰”(「국지성 소나기」)면, 후다닥 일어나 널어놓은 걸 거두어들일 것이다. 비가 그칠 때까지 시를 썼다가 지울 것이다. 그게 요즘 시인의 삶의 방식이다. 페루 리마 해변은 새들의 무덤이자, 영혼의 안식처이다. 조금 몽상적이지만… 이호준의 시가 힘든 현대인의 삶의 피난처, 더 힘든 영혼의 안식처가 되고 싶은 것은 아닐까 싶다.
이호준의 시집 『사는 거, 그깟』은 시적 방법론에서 첫 시집의 연장선에 있다. 첫 시집 해설에서 정한용 시인이 언급한 “시적 자아를 점진적으로 대상에 투사시키는 기법” 말이다. 시인은 대상과 자아의 상호 스밈과 투사, 전환을 입체적으로 구사하면서 대상과 내밀하게 조응한다. 시인의 의도겠지만, 시집의 구성도 꽤 닮았다. 하지만 이호준의 시 쓰는 행위는 시 「배려」와 다를 게 없다. 시상이 떠오르지 않아 헤매다가, 문득 소 발자국을 발견하듯 떠오르고, 마침내 소를 만나는…. “감의 씨”가 소 발자국이라면, “감씨의 배를 반으로 가르는 순간” 발견한 “수저 하나”는 소가 될 것이다. 소를 잡고(得牛) 그 소를 길들이는(牧牛) 법이 다 다르듯, 감의 씨가 품고 있는 수저의 생김새도 다를 것이다. 시인은 소를 찾아나서는 일처럼 “감꽃이 감을 잉태하던 봄날부터” 감의 씨 속에 수저를 “꼼꼼하게 준비했을 것”이다. 자연의 배려이다. “홍시로 헛헛한 속”을 달래는 어느 노인에 대한 언급은 시인의 배려이다. 이처럼 이호준의 시에는 따스한 배려가 곳곳에 스며 있다.
류근 시인은 “멀리서 몸을 추스린 능선 같고 가까이서 등을 내어미는 지붕 같다. 삶이 그대로 언어가 되고 악기가 된 사람. 시인 이호준의 시에는 욕망의 흔적이 보이지 않는다. 세속이 그를 욕망하였으되 시인의 언어엔 그물에 걸릴 망설임조차 머물지 않는다. 시대의 중심과 주변을 두루 떠도는 여행자답게 그가 늘 반 걸음 앞에서 우리에게 보여주는 별자리엔 따스한 눈물과 체온이 깃들어 있다. 인간에 대한 사랑 아니고 무엇이랴. 이토록 깊고 기쁜 시가 아직 살아 있다. 눈물겹다”며 두 번째 시집 추천사를 써주었다.
이호준의 두 번째 시집 『사는 거, 그깟』에 실린 시들은 로맹 가리의 「새들은 페루에 가서 죽다」에 주목한 이유가 있다. 「나는 날마다 유언을 쓴다」라는 시에 “내가 페루 해변으로 간 새처럼 못 돌아오면”이라는 구절이나 「카리브횟집의 저녁」, 「쿠바에서 꾸는 꿈」 같은 시 때문은 아니다. 「새를 묻다」, 「히말라야를 넘는 새들」, 「새들의 러시안룰렛」, 「제비집 요리 드실래요?」와 같은 시 제목이나 시의 행간에 페루 해변에 와서 죽는 새만큼이나 많은 새가 등장해서도 아니다. 치열한 삶의 현장에서 기자로, 세계 곳곳을 떠돈 여행작가로, 삶의 애환을 따스한 감성으로 녹인 에세이스트로 살다가 휴전선 근처 경기도 파주에 정착한 동질성 때문만도 아니다. 고독한, 감성 충만한 시인으로 살아가는 이호준이라는 한 개인에 주목해서도 아니다. 그것은 카페 앞 좁은 해변까지 날아와 새들이 죽는 이유를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는 것과 조금 닮았다.
세상을 떠돌던 시인이 모처럼 집에 돌아와 그리운 온갖 것을 햇빛에 널어놓고는 “엄마 냄새”(이하 「모처럼 집에 돌아와」)를 맡는다. “등걸잠 속에 유년의 뜰을 넣어놓고” 잠든 척한다. 어느새 “뒤따라온 고요가 팔베개하고 곁에”(「시(詩)」) 슬그머니 눕겠는다. 그러다가 “하늘이 지상의 공책에 시를 쓰”(「국지성 소나기」)면, 후다닥 일어나 널어놓은 걸 거두어들일 것이다. 비가 그칠 때까지 시를 썼다가 지울 것이다. 그게 요즘 시인의 삶의 방식이다. 페루 리마 해변은 새들의 무덤이자, 영혼의 안식처이다. 조금 몽상적이지만… 이호준의 시가 힘든 현대인의 삶의 피난처, 더 힘든 영혼의 안식처가 되고 싶은 것은 아닐까 싶다.
이호준의 시집 『사는 거, 그깟』은 시적 방법론에서 첫 시집의 연장선에 있다. 첫 시집 해설에서 정한용 시인이 언급한 “시적 자아를 점진적으로 대상에 투사시키는 기법” 말이다. 시인은 대상과 자아의 상호 스밈과 투사, 전환을 입체적으로 구사하면서 대상과 내밀하게 조응한다. 시인의 의도겠지만, 시집의 구성도 꽤 닮았다. 하지만 이호준의 시 쓰는 행위는 시 「배려」와 다를 게 없다. 시상이 떠오르지 않아 헤매다가, 문득 소 발자국을 발견하듯 떠오르고, 마침내 소를 만나는…. “감의 씨”가 소 발자국이라면, “감씨의 배를 반으로 가르는 순간” 발견한 “수저 하나”는 소가 될 것이다. 소를 잡고(得牛) 그 소를 길들이는(牧牛) 법이 다 다르듯, 감의 씨가 품고 있는 수저의 생김새도 다를 것이다. 시인은 소를 찾아나서는 일처럼 “감꽃이 감을 잉태하던 봄날부터” 감의 씨 속에 수저를 “꼼꼼하게 준비했을 것”이다. 자연의 배려이다. “홍시로 헛헛한 속”을 달래는 어느 노인에 대한 언급은 시인의 배려이다. 이처럼 이호준의 시에는 따스한 배려가 곳곳에 스며 있다.
류근 시인은 “멀리서 몸을 추스린 능선 같고 가까이서 등을 내어미는 지붕 같다. 삶이 그대로 언어가 되고 악기가 된 사람. 시인 이호준의 시에는 욕망의 흔적이 보이지 않는다. 세속이 그를 욕망하였으되 시인의 언어엔 그물에 걸릴 망설임조차 머물지 않는다. 시대의 중심과 주변을 두루 떠도는 여행자답게 그가 늘 반 걸음 앞에서 우리에게 보여주는 별자리엔 따스한 눈물과 체온이 깃들어 있다. 인간에 대한 사랑 아니고 무엇이랴. 이토록 깊고 기쁜 시가 아직 살아 있다. 눈물겹다”며 두 번째 시집 추천사를 써주었다.
사는 거, 그깟 - 현대시세계 시인선 159
$1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