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는 거, 그깟 - 현대시세계 시인선 159

사는 거, 그깟 - 현대시세계 시인선 159

$11.00
Description
따스한 배려가 곳곳에 숨어 있는 이호준 시인의 『사는 거, 그깟』
2013년 『시와경계』 신인상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했고 2018년 첫 시집 『티그리스강에는 샤가 산다』를 선보였던 이호준 시인이 6년 만에 두 번째 시집 『사는 거, 그깟』을 현대시세계 시인선 159번으로 출간했다.
이호준의 두 번째 시집 『사는 거, 그깟』에 실린 시들은 로맹 가리의 「새들은 페루에 가서 죽다」에 주목한 이유가 있다. 「나는 날마다 유언을 쓴다」라는 시에 “내가 페루 해변으로 간 새처럼 못 돌아오면”이라는 구절이나 「카리브횟집의 저녁」, 「쿠바에서 꾸는 꿈」 같은 시 때문은 아니다. 「새를 묻다」, 「히말라야를 넘는 새들」, 「새들의 러시안룰렛」, 「제비집 요리 드실래요?」와 같은 시 제목이나 시의 행간에 페루 해변에 와서 죽는 새만큼이나 많은 새가 등장해서도 아니다. 치열한 삶의 현장에서 기자로, 세계 곳곳을 떠돈 여행작가로, 삶의 애환을 따스한 감성으로 녹인 에세이스트로 살다가 휴전선 근처 경기도 파주에 정착한 동질성 때문만도 아니다. 고독한, 감성 충만한 시인으로 살아가는 이호준이라는 한 개인에 주목해서도 아니다. 그것은 카페 앞 좁은 해변까지 날아와 새들이 죽는 이유를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는 것과 조금 닮았다.
세상을 떠돌던 시인이 모처럼 집에 돌아와 그리운 온갖 것을 햇빛에 널어놓고는 “엄마 냄새”(이하 「모처럼 집에 돌아와」)를 맡는다. “등걸잠 속에 유년의 뜰을 넣어놓고” 잠든 척한다. 어느새 “뒤따라온 고요가 팔베개하고 곁에”(「시(詩)」) 슬그머니 눕겠는다. 그러다가 “하늘이 지상의 공책에 시를 쓰”(「국지성 소나기」)면, 후다닥 일어나 널어놓은 걸 거두어들일 것이다. 비가 그칠 때까지 시를 썼다가 지울 것이다. 그게 요즘 시인의 삶의 방식이다. 페루 리마 해변은 새들의 무덤이자, 영혼의 안식처이다. 조금 몽상적이지만… 이호준의 시가 힘든 현대인의 삶의 피난처, 더 힘든 영혼의 안식처가 되고 싶은 것은 아닐까 싶다.
이호준의 시집 『사는 거, 그깟』은 시적 방법론에서 첫 시집의 연장선에 있다. 첫 시집 해설에서 정한용 시인이 언급한 “시적 자아를 점진적으로 대상에 투사시키는 기법” 말이다. 시인은 대상과 자아의 상호 스밈과 투사, 전환을 입체적으로 구사하면서 대상과 내밀하게 조응한다. 시인의 의도겠지만, 시집의 구성도 꽤 닮았다. 하지만 이호준의 시 쓰는 행위는 시 「배려」와 다를 게 없다. 시상이 떠오르지 않아 헤매다가, 문득 소 발자국을 발견하듯 떠오르고, 마침내 소를 만나는…. “감의 씨”가 소 발자국이라면, “감씨의 배를 반으로 가르는 순간” 발견한 “수저 하나”는 소가 될 것이다. 소를 잡고(得牛) 그 소를 길들이는(牧牛) 법이 다 다르듯, 감의 씨가 품고 있는 수저의 생김새도 다를 것이다. 시인은 소를 찾아나서는 일처럼 “감꽃이 감을 잉태하던 봄날부터” 감의 씨 속에 수저를 “꼼꼼하게 준비했을 것”이다. 자연의 배려이다. “홍시로 헛헛한 속”을 달래는 어느 노인에 대한 언급은 시인의 배려이다. 이처럼 이호준의 시에는 따스한 배려가 곳곳에 스며 있다.
류근 시인은 “멀리서 몸을 추스린 능선 같고 가까이서 등을 내어미는 지붕 같다. 삶이 그대로 언어가 되고 악기가 된 사람. 시인 이호준의 시에는 욕망의 흔적이 보이지 않는다. 세속이 그를 욕망하였으되 시인의 언어엔 그물에 걸릴 망설임조차 머물지 않는다. 시대의 중심과 주변을 두루 떠도는 여행자답게 그가 늘 반 걸음 앞에서 우리에게 보여주는 별자리엔 따스한 눈물과 체온이 깃들어 있다. 인간에 대한 사랑 아니고 무엇이랴. 이토록 깊고 기쁜 시가 아직 살아 있다. 눈물겹다”며 두 번째 시집 추천사를 써주었다.
저자

이호준

저자:이호준

2013년『시와경계』신인상으로작품활동을시작했다.시집『티그리스강에는샤가산다』,산문집『사라져가는것들잊혀져가는것들』(1,2권),『세상에서가장따뜻한안부』,『자작나무숲으로간당신에게』와기행산문집『클레오파트라가사랑한지중해를걷다』,『아브라함의땅유프라테스를걷다』,『문명의고향티그리스강을걷다』,『나를치유하는여행』,『세상의끝,오로라』등을펴냈다.

목차


1부
모처럼집에돌아와·13
식탁에내리는비·14
백열등이있던방·16
뻔뻔한유랑·18
떠돌이의생일·19
카리브횟집의저녁·20
시(詩)·21
나는날마다유언을쓴다·22
쿠바에서꾸는꿈·24
열일곱,서울역에잠들다·26
유전(遺傳)·27
군부대가있던자리·28
남편새끼,나쁜새끼·30
새를묻다·32
큰기러기가족이떠나던날·33
불면·34
피싱문자·36
당신을보내고난뒤·38

2부
목이긴새들의겨울나기·41
재개발구역·42
인력시장의아침·44
나무주막·45
어느성탄전야·46
노숙인의봄·48
1월이면·49
개미들의버섯농사·50
이팝나무아래서·52
이웃·54
발자국이전하는말·56
인과(因果)·57
사는거,그깟·58
히말라야를넘는새들·60
조개속의어린게·62
6월에내리는비·63
슬픔에게빚지다·64
빈집·66

3부
무화과의지조·71
신(新)고려장시대·72
고물상이사라진동네·74
파리와시인의무게·76
어떤죽음·77
저,이번역에내려도될까요?·78
시간을팝니다·80
염소가떠내려간이유·82
불통시대의대화법·84
사이보그로거듭나다·86
2월아침에·89
말[言]의기원·90
바닷속에마을이있어서·92
감자밭에서·93
선물·94
새들의러시안룰렛·96
자연산길단종되다·98
가을엽신·100

4부
연기(緣起)·103
염화미소·104
단풍잎지다·105
굴참경을읽다·106
조기말리는풍경·107
자비심의실체·108
자선보일러·109
배려·110
썩지않는것들·111
꽃은새가물어온다·112
드문겨울·114
첫꽃피다·116
제비집요리드실래요?·117
국지성소나기·118
오징어덕장의아침·119
엄마·120
텅빌수록가득한·121
봄비내리는밤·122

해설페루해변으로가서죽는새들처럼/김정수·123

출판사 서평

따스한배려가곳곳에숨어있는이호준시인의『사는거,그깟』

2013년『시와경계』신인상으로작품활동을시작했고2018년첫시집『티그리스강에는샤가산다』를선보였던이호준시인이6년만에두번째시집『사는거,그깟』을현대시세계시인선159번으로출간했다.
이호준의두번째시집『사는거,그깟』에실린시들은로맹가리의「새들은페루에가서죽다」에주목한이유가있다.「나는날마다유언을쓴다」라는시에“내가페루해변으로간새처럼못돌아오면”이라는구절이나「카리브횟집의저녁」,「쿠바에서꾸는꿈」같은시때문은아니다.「새를묻다」,「히말라야를넘는새들」,「새들의러시안룰렛」,「제비집요리드실래요?」와같은시제목이나시의행간에페루해변에와서죽는새만큼이나많은새가등장해서도아니다.치열한삶의현장에서기자로,세계곳곳을떠돈여행작가로,삶의애환을따스한감성으로녹인에세이스트로살다가휴전선근처경기도파주에정착한동질성때문만도아니다.고독한,감성충만한시인으로살아가는이호준이라는한개인에주목해서도아니다.그것은카페앞좁은해변까지날아와새들이죽는이유를제대로설명하지못하는것과조금닮았다.

세상을떠돌던시인이모처럼집에돌아와그리운온갖것을햇빛에널어놓고는“엄마냄새”(이하「모처럼집에돌아와」)를맡는다.“등걸잠속에유년의뜰을넣어놓고”잠든척한다.어느새“뒤따라온고요가팔베개하고곁에”(「시(詩)」)슬그머니눕겠는다.그러다가“하늘이지상의공책에시를쓰”(「국지성소나기」)면,후다닥일어나널어놓은걸거두어들일것이다.비가그칠때까지시를썼다가지울것이다.그게요즘시인의삶의방식이다.페루리마해변은새들의무덤이자,영혼의안식처이다.조금몽상적이지만…이호준의시가힘든현대인의삶의피난처,더힘든영혼의안식처가되고싶은것은아닐까싶다.
이호준의시집『사는거,그깟』은시적방법론에서첫시집의연장선에있다.첫시집해설에서정한용시인이언급한“시적자아를점진적으로대상에투사시키는기법”말이다.시인은대상과자아의상호스밈과투사,전환을입체적으로구사하면서대상과내밀하게조응한다.시인의의도겠지만,시집의구성도꽤닮았다.하지만이호준의시쓰는행위는시「배려」와다를게없다.시상이떠오르지않아헤매다가,문득소발자국을발견하듯떠오르고,마침내소를만나는….“감의씨”가소발자국이라면,“감씨의배를반으로가르는순간”발견한“수저하나”는소가될것이다.소를잡고(得牛)그소를길들이는(牧牛)법이다다르듯,감의씨가품고있는수저의생김새도다를것이다.시인은소를찾아나서는일처럼“감꽃이감을잉태하던봄날부터”감의씨속에수저를“꼼꼼하게준비했을것”이다.자연의배려이다.“홍시로헛헛한속”을달래는어느노인에대한언급은시인의배려이다.이처럼이호준의시에는따스한배려가곳곳에스며있다.
류근시인은“멀리서몸을추스린능선같고가까이서등을내어미는지붕같다.삶이그대로언어가되고악기가된사람.시인이호준의시에는욕망의흔적이보이지않는다.세속이그를욕망하였으되시인의언어엔그물에걸릴망설임조차머물지않는다.시대의중심과주변을두루떠도는여행자답게그가늘반걸음앞에서우리에게보여주는별자리엔따스한눈물과체온이깃들어있다.인간에대한사랑아니고무엇이랴.이토록깊고기쁜시가아직살아있다.눈물겹다”며두번째시집추천사를써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