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삶과 생명과 세계가 지닌 신비와 그 섭리를 읽어내는 김수미의 시들
2018년 『작가와문학』 신인상으로 등단하여 바람시문학회 회장, 천안문인협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한국영상대학교 교수와 4차 산업 관련 교육업체 강사로 활동 중인 김수미 시인이 데뷔 6년 만에 첫 시집 『나비를 보내다』를 현대시세계 시인선 167번으로 출간했다.
김수미의 첫 시집 『나비를 보내다』의 특징은 담백한 수채화와 같은 문체 속에 시인의 인생관과 가치관이 고스란히 담겨 있으며, 정갈한 언어 속에서 자신과 이웃의 삶을 성찰하면서 얻은 인생의 신비와 세계의 양상이 맑고 깨끗하게 드러나고 있다. 시인이 주목하는 세계는 생명이 그려내는 아름다운 무늬라든가, 심오한 인생의 비밀에 대해서 차분하지만 호기심 가득한 태도로 접근한다. 시상의 전개 과정에서 결코 무리하지 않고 자연스러운 포석을 따르고 있어 억지스럽지 않으며 물 흐르는 듯한 순리에 순응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표제시 「나비를 보내다」는 시적 화자가 갑상선에 문제가 생겨서 그것을 제거하는 수술을 받은 경험을 시로 만든 것으로 보인다. “목울대에 기르던 나비 한 마리”는 바로 그처럼 상실한 자신의 몸 일부를 지칭하기에 ‘나비’는 곧 이별과 상실이라는 삶의 이치를 체현하고 있는 대상이면서, 상처받기 쉬운 연약한 삶의 표상이기도 하다. 화자는 그러한 나비에 대해서 “눈 꼭 감고 울면서 보내고” “나는 이제 나비 없는 계절을 살아야지”, “나비의 흔적을 지워버려야지”라고 하면서 상실과 부재를 수용하면서 살아갈 것을 다짐한다.
시 「몽돌해변」에서는 바닷가 몽돌들이 “서로 부딪치며 이 세상 것은 아닌 노래를 부른다”는 구절에서 ‘이 세상 것은 아닌 노래’란 세속의 때가 말끔하게 씻긴 맑은 노래이며, 이 세상을 초월해 있다는 점에서 신성한 노래라고 하겠다. “깎이고 부서지고 둥글어진 조각들은/ 어떻게 맞춰도 틈새가 넓다/ 틈새 사이로 바람 숭숭 드나들고”라는 표현에서 알 수 있듯이 오래된 것들은 깎이고 부서지면서 둥글어져서 넓어진 틈새로 바람이 드나들면서 이 세상 것은 아닌 노래를 생성한다. 이 세상 것은 아닌 노래란 오래된 세월이 형성한 관용과 포용의 여유, 곧 다른 것을 너그럽게 받아들이고 수용하며 감싸주는 포용력에서 생성된다. 그러니까 이 세상 것이 아닌 ‘초월적인 노래’란 곧 우리의 뜻과 의지 위에서 그것을 기획하고 조정하는 어떤 큰 존재의 뜻이자 의지라고 하겠다.
김수미 시인은 무슨 거창한 담론을 논하려고 하지도 않고, 무슨 심오한 메시지를 전달하려고 애쓰지도 않는다. 그러면서도 맑고 고운 영혼에서 우러나오는 정갈한 시심으로 삶과 생명과 세계가 지닌 신비와 그 섭리를 읽어내려고 한다. 그리고 거기에서 초월적인 존재의 그림자를 발견하고 그가 생성하는 이 세상 것은 아닌 노래를 듣는다. 이러한 노래는 시인이 삶을 긍정하고 상실과 결핍을 수용하는 힘이 된다.
박미라 시인은 “‘여기서 저기로’ ‘빛바랜 것들을 호명하며 떠’나는 것이 삶의 무늬 중 하나라고 할 때 ‘아무도 모르게 무릎도 끓어보고’ 사는 일이 김수미 시인의 경우뿐이겠는가? 얼룩지고 빛바랜 것들을 한 발짝 떨어져서 바라보면서 스스로를 추스르는 고단함을 ‘아름다웠다는 것은 얼마나 분명한 과거형인가’ 물으면서 다시 힘주어 일어서는 시인의 시선이 고요해서 더욱 가슴 저리다. 그저 ‘돌탑을 쌓는’ 자세로 ‘작아도 커도 모두 제자리가 있다’고 중얼거린다. 그가 얼마나 웅숭깊은 시간을 지나왔는지 미루어 짐작할 뿐이다. 후회하거니 주저앉지 않는 아름다운 자세가 시편 곳곳을 끌고 간다. 독자의 통점에 닿아 깊은 위로가 되는 아름다운 시인이 되길 바란다”며 첫 시집 출간을 축하했다.
김수미의 첫 시집 『나비를 보내다』의 특징은 담백한 수채화와 같은 문체 속에 시인의 인생관과 가치관이 고스란히 담겨 있으며, 정갈한 언어 속에서 자신과 이웃의 삶을 성찰하면서 얻은 인생의 신비와 세계의 양상이 맑고 깨끗하게 드러나고 있다. 시인이 주목하는 세계는 생명이 그려내는 아름다운 무늬라든가, 심오한 인생의 비밀에 대해서 차분하지만 호기심 가득한 태도로 접근한다. 시상의 전개 과정에서 결코 무리하지 않고 자연스러운 포석을 따르고 있어 억지스럽지 않으며 물 흐르는 듯한 순리에 순응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표제시 「나비를 보내다」는 시적 화자가 갑상선에 문제가 생겨서 그것을 제거하는 수술을 받은 경험을 시로 만든 것으로 보인다. “목울대에 기르던 나비 한 마리”는 바로 그처럼 상실한 자신의 몸 일부를 지칭하기에 ‘나비’는 곧 이별과 상실이라는 삶의 이치를 체현하고 있는 대상이면서, 상처받기 쉬운 연약한 삶의 표상이기도 하다. 화자는 그러한 나비에 대해서 “눈 꼭 감고 울면서 보내고” “나는 이제 나비 없는 계절을 살아야지”, “나비의 흔적을 지워버려야지”라고 하면서 상실과 부재를 수용하면서 살아갈 것을 다짐한다.
시 「몽돌해변」에서는 바닷가 몽돌들이 “서로 부딪치며 이 세상 것은 아닌 노래를 부른다”는 구절에서 ‘이 세상 것은 아닌 노래’란 세속의 때가 말끔하게 씻긴 맑은 노래이며, 이 세상을 초월해 있다는 점에서 신성한 노래라고 하겠다. “깎이고 부서지고 둥글어진 조각들은/ 어떻게 맞춰도 틈새가 넓다/ 틈새 사이로 바람 숭숭 드나들고”라는 표현에서 알 수 있듯이 오래된 것들은 깎이고 부서지면서 둥글어져서 넓어진 틈새로 바람이 드나들면서 이 세상 것은 아닌 노래를 생성한다. 이 세상 것은 아닌 노래란 오래된 세월이 형성한 관용과 포용의 여유, 곧 다른 것을 너그럽게 받아들이고 수용하며 감싸주는 포용력에서 생성된다. 그러니까 이 세상 것이 아닌 ‘초월적인 노래’란 곧 우리의 뜻과 의지 위에서 그것을 기획하고 조정하는 어떤 큰 존재의 뜻이자 의지라고 하겠다.
김수미 시인은 무슨 거창한 담론을 논하려고 하지도 않고, 무슨 심오한 메시지를 전달하려고 애쓰지도 않는다. 그러면서도 맑고 고운 영혼에서 우러나오는 정갈한 시심으로 삶과 생명과 세계가 지닌 신비와 그 섭리를 읽어내려고 한다. 그리고 거기에서 초월적인 존재의 그림자를 발견하고 그가 생성하는 이 세상 것은 아닌 노래를 듣는다. 이러한 노래는 시인이 삶을 긍정하고 상실과 결핍을 수용하는 힘이 된다.
박미라 시인은 “‘여기서 저기로’ ‘빛바랜 것들을 호명하며 떠’나는 것이 삶의 무늬 중 하나라고 할 때 ‘아무도 모르게 무릎도 끓어보고’ 사는 일이 김수미 시인의 경우뿐이겠는가? 얼룩지고 빛바랜 것들을 한 발짝 떨어져서 바라보면서 스스로를 추스르는 고단함을 ‘아름다웠다는 것은 얼마나 분명한 과거형인가’ 물으면서 다시 힘주어 일어서는 시인의 시선이 고요해서 더욱 가슴 저리다. 그저 ‘돌탑을 쌓는’ 자세로 ‘작아도 커도 모두 제자리가 있다’고 중얼거린다. 그가 얼마나 웅숭깊은 시간을 지나왔는지 미루어 짐작할 뿐이다. 후회하거니 주저앉지 않는 아름다운 자세가 시편 곳곳을 끌고 간다. 독자의 통점에 닿아 깊은 위로가 되는 아름다운 시인이 되길 바란다”며 첫 시집 출간을 축하했다.
비를 보내다 - 현대시세계 시인선 167
$1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