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아득한 슬픔이 서려 있으나 진정한 사랑을 원하는 이다영의 시들
인천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꽤 오랜 시간 국어교사로 학생을 가르쳤으며 2010년 월간 『순수문학』으로 등단해 2013년 시집 『끝없는 길 위에서』로 영랑문학상 우수상을 수상한 이다영 시인이 만 11년 만에 두 번째 시집 『백령도 표류기』를 현대시세계 시인선 172번으로 출간하였다.
한 사람의 인생/일생에는 일상 가운데서 일어나는 여러 일, 즉 인간사도 상존한다. “외로움이/ 죽음의 위협보다 큰 것임”(「인간사(人間事)」)을 아는 나이가 된 이다영 시인은 받는 기쁨보다 주는 행복을 선택한다. 「시인의 말」에서 밝혔듯이 “마음이 다가오는 사람을 만나면/ 무엇이든 선물을 주고 싶”어한다. 그 선물을 받은 사람의 기쁨이 자신에게 돌아오는 “순간의 느낌”에서 행복을 느낀다. 시인은 그 “선물처럼 인생도 시도/ 잔잔한 물결이기를” 염원한다. 그 물결에는 진정한 사랑을 원하는 심리와 아득한 슬픔이 서려 있다.
이다영 시인의 시에서 ‘슬픔’은 건강한 삶으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겪는 일시적인 감정이지만, ‘우울’은 내면 깊숙이 침잠해 몸에 파동을 일으킨다. 「우울 방정식」에서 보듯, 몸과 마음의 “바다에 넘쳐” 흘러 “넘실거리는 물결로 하루를 점령”한다. 슬픔에서 발원한 우울이 일상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준다. 슬픔은 시간이 지나면 약해지거나 사라지지만, 우울은 쉽게 소멸하지 않고 슬픔이나 불안, 무기력 같은 문제를 수반한다.
시 「뫼비우스의 띠」는 제목이 시사하는 바와 같이 안과 밖의 구분은 공간의 주체가 누구냐에 따라, 관찰자의 시점에 따라 확연히 달라진다. 겉으로는 ‘파리’라는 미물과의 사투지만, 안으로는 자아와의 사투라 할 수 있다. 어쩌면 이보다 더 깊이를 알 수 없는 “전생과 현생/ 내생까지도 건 싸움”일 수도 있다. 우주의 질서 속에서 탄생과 죽음이라는 마주 볼 수 없는 운명의 무한반복. “결코 끊을 수 없는” 무한궤도에 갇힌 한없이 나약한 존재의 슬픔이 엿보인다.
표제시 「백령도 표류기」는 백령도 여행을 갔다가 안개와 비바람에 출항하지 못한 상황을 날짜별로 기록하고 있다. 시인은 안개로 발이 묶인 이후 8일간의 행적과 심리상태를 간략하게 묘사한다. 8일은 입도를 제외한 표류의 날이다. 첫째 날, 생각이 많아진 “일행은 모두 말이 없”다. 둘째 날, 안개가 “펜션 주변까지 다가”오자, 시인은 “안개 속의 나를 안개도 찾기” 어려울 것이라 한다. 나는 보이지 않을 뿐 거기 있지만, 없는 것과 다름없다. 존재하지만,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여기/섬에 존재하지만, 저기/뭍에 존재하지 않는다. 셋째 날, 안개에 더해 비가 내리고, 넷째 날에는 비바람까지 분다. 다섯째 날에는 태풍까지 더해진다. 안개-비-비바람-태풍으로 제약의 강도가 세질수록 시인의 반응도 침묵-산책-무기력-기도로 변화를 거듭한다.
여덟째 날에 표류를 끝내고 마침내 “인천에 도착”하자 “섬에서의 모든 기억을 단칼에 베어”낸다. 섬에서 나오자마자, 단칼에 베어버린 것이 “섬에서의 모든 기억”뿐일까. “시의 오지 속으로 들어가”려는 것은 ‘섬에서의 표류’와 단절, 즉 현실적 제약과 “오래된 습관”(「주인」)에서 벗어나 “시 없이는 죽을 것만 같던 때”(「치수」)로 되돌아가고 싶은 욕망의 표현은 아닐까. “변함없이”의 강조와 역설에 주목하면 “시의 오지” 역시 과거와 현재, 미래에도 시를 쓰려는 마음은 변함이 없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한 사람의 인생/일생에는 일상 가운데서 일어나는 여러 일, 즉 인간사도 상존한다. “외로움이/ 죽음의 위협보다 큰 것임”(「인간사(人間事)」)을 아는 나이가 된 이다영 시인은 받는 기쁨보다 주는 행복을 선택한다. 「시인의 말」에서 밝혔듯이 “마음이 다가오는 사람을 만나면/ 무엇이든 선물을 주고 싶”어한다. 그 선물을 받은 사람의 기쁨이 자신에게 돌아오는 “순간의 느낌”에서 행복을 느낀다. 시인은 그 “선물처럼 인생도 시도/ 잔잔한 물결이기를” 염원한다. 그 물결에는 진정한 사랑을 원하는 심리와 아득한 슬픔이 서려 있다.
이다영 시인의 시에서 ‘슬픔’은 건강한 삶으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겪는 일시적인 감정이지만, ‘우울’은 내면 깊숙이 침잠해 몸에 파동을 일으킨다. 「우울 방정식」에서 보듯, 몸과 마음의 “바다에 넘쳐” 흘러 “넘실거리는 물결로 하루를 점령”한다. 슬픔에서 발원한 우울이 일상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준다. 슬픔은 시간이 지나면 약해지거나 사라지지만, 우울은 쉽게 소멸하지 않고 슬픔이나 불안, 무기력 같은 문제를 수반한다.
시 「뫼비우스의 띠」는 제목이 시사하는 바와 같이 안과 밖의 구분은 공간의 주체가 누구냐에 따라, 관찰자의 시점에 따라 확연히 달라진다. 겉으로는 ‘파리’라는 미물과의 사투지만, 안으로는 자아와의 사투라 할 수 있다. 어쩌면 이보다 더 깊이를 알 수 없는 “전생과 현생/ 내생까지도 건 싸움”일 수도 있다. 우주의 질서 속에서 탄생과 죽음이라는 마주 볼 수 없는 운명의 무한반복. “결코 끊을 수 없는” 무한궤도에 갇힌 한없이 나약한 존재의 슬픔이 엿보인다.
표제시 「백령도 표류기」는 백령도 여행을 갔다가 안개와 비바람에 출항하지 못한 상황을 날짜별로 기록하고 있다. 시인은 안개로 발이 묶인 이후 8일간의 행적과 심리상태를 간략하게 묘사한다. 8일은 입도를 제외한 표류의 날이다. 첫째 날, 생각이 많아진 “일행은 모두 말이 없”다. 둘째 날, 안개가 “펜션 주변까지 다가”오자, 시인은 “안개 속의 나를 안개도 찾기” 어려울 것이라 한다. 나는 보이지 않을 뿐 거기 있지만, 없는 것과 다름없다. 존재하지만,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여기/섬에 존재하지만, 저기/뭍에 존재하지 않는다. 셋째 날, 안개에 더해 비가 내리고, 넷째 날에는 비바람까지 분다. 다섯째 날에는 태풍까지 더해진다. 안개-비-비바람-태풍으로 제약의 강도가 세질수록 시인의 반응도 침묵-산책-무기력-기도로 변화를 거듭한다.
여덟째 날에 표류를 끝내고 마침내 “인천에 도착”하자 “섬에서의 모든 기억을 단칼에 베어”낸다. 섬에서 나오자마자, 단칼에 베어버린 것이 “섬에서의 모든 기억”뿐일까. “시의 오지 속으로 들어가”려는 것은 ‘섬에서의 표류’와 단절, 즉 현실적 제약과 “오래된 습관”(「주인」)에서 벗어나 “시 없이는 죽을 것만 같던 때”(「치수」)로 되돌아가고 싶은 욕망의 표현은 아닐까. “변함없이”의 강조와 역설에 주목하면 “시의 오지” 역시 과거와 현재, 미래에도 시를 쓰려는 마음은 변함이 없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백령도 표류기 - 현대시세계 시인선 172
$1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