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인물고 2 : 안동

영남인물고 2 : 안동

$33.26
저자

정약전,신해진

저자:정약전

역주:신해진
경북의성출생
고려대학교국어국문학과및동대학원석.박사과정졸업(문학박사)
전남대학교제23회용봉학술상(2019);제25회.제26회용봉학술특별상(2021,2022)
현재전남대학교인문대학국어국문학과교수
저역서<남천권두문호구일록>(2023),<말의기억>(공저,2023),<구포나만갑병자록>(2023),<팔록구사맹난후조망록>(2023),<이탁영정만록의임진변생후일록>(2023),<용주조경호란일기>(2023)외다수.

목차

01.류성룡문충공柳成龍文忠公
02.남치리南致利보충:류성룡(1542~1607)이찬한묘표
03.금윤선琴胤先보충:이광정(1674~1756)이찬한가장
04.김성일문충공金誠一文忠公
05.정사성鄭士誠보충:이상정(1711~1781)이찬한행장
06.류종개柳宗介보충:권두경(1654~1725)이찬한묘갈명
07.홍적洪迪보충:허목(1596~1682)이찬한묘갈명
08.류복기柳復起보충:류정원(1703~1761)이찬한묘지
09.김득연金得보충:김굉(1739~1816)이찬한묘갈명
10.배용길裵龍吉보충:김응조(1587~1667)가찬한행장
11.이형남李亨男보충:이세택(1716~1777)이찬한행장
12.김용金涌보충:허목(1596~1682)이찬한묘갈
13.정사신鄭士信보충:정전(1569~1639)이찬한행록
14.류복립柳復立
15.김집金潗보충:이현일(1627~1704)이찬한비문
16.김윤안金允安보충:권유(1633~1704)가찬한묘갈명
17.권익창權益昌보충:이시명(1590~1674)이찬한행장
18.이광후李光後
19.권강權?보충:채제공(1720~1799)이찬한묘지
20.권희인權希仁
21.권태일權泰一보충:김상헌(1570~1652)이찬한비문
22.이대임李大任
23.이창후李昌後
24.류여柳?보충:홍여하(1621~1678)가찬한묘지
25.홍성해洪成海보충:정종로(1738~1816)가찬한묘지
26.류진柳袗보충:홍여하(1621~1678)가찬한행장보충:정종로(1738~1816)이찬한묘갈명
27.류의남柳義男보충:류원지(1598~1674)가찬한묘지
28.김시권金是權
29.김시추金是樞
30.남급南?보충:남천한(1607~1686)이찬한가장
31.류원경柳元慶보충:정칙(1601~1663)이찬한묘지명
32.남해준南海準보충:남몽뢰(1620~1681)가찬한가장
33.장흥효張興孝보충:권유(1633~1704)가찬한서문
34.권기權紀보충:이재(1657~1730)가찬한묘갈
35.김시온金是?보충:권해(1639~1704)가찬한묘지
36.김휴金烋보충:김성탁(1684~1747)이찬한행장
37.정칙鄭?보충:이재(1657~1730)가찬한행장

출판사 서평

57개고을의860명이수록된17권17책의필사본
정조의명으로1799년완성된영남인물고초고의역주서
인물사실을초출한행장등원래문적도번역해보충

1751년저술된이중환의《택리지(擇里志)》에의하면,“조선의인재가운데반은영남에있다.”라는말이있으니,영남인물고는그러한사실을실감케한다.영남인물고는1798년채제공등이정조의명에따라영남지역인물860명의간략한생애와주요행적을각종문헌에서초출하고군현별로편차한문헌인데,총목(總目)과도목(都目:이름,벼슬,호등의간략기록표),권1~15를합하여총17책으로이루어진유일필사본이다.현재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권1~10까지10책이소장되어있고,국립고궁박물관에총목과도목을포함하여권11~15까지7책이소장되어있다.
원래규장각에보관해오던《영남인물고》는1909년이토히로부미가한일관계조사자료로일본으로책을가져갈때7책(총목도록,권11~15)도반출되어규장각에는10책만남게되었다.그러다2011년조선왕조도서가일본으로부터반환되어국립고궁박물관에소장되면서,영남인물고7책도환수되어규장각의10책과짝하여완질을이루게되었다.
영남인물고는1967년강주진등의번역으로일본에있었던부분을제외하고번역되어출간된바있으나,재번역이나완역이이루어지지않은채학술적주석작업또한전무한상태였다.특히인물에대한주석작업은관계적차원에서깊이있는분석이필요하며,이를위한기초작업으로2022년한국고전번역원에서교감표점작업이이루어졌다.
영남인물고에는인물의사실이행장,언행록,비문,제문등원래문적에서초록하여수록되어있다.이는각인물이일생동안산실제적삶의총체에서선택적시각에의해1차형상화한것이원래문적이고,원래문적에서초출하여2차형상화한것이바로영남인물고의행적인것이다.곧원래문적의찬자가지녔던시각과초출자의시각이결합된양상으로그들의관계도고려의대상이되어야한다.그래서이책에서는보충자료로그원래문적을대부분번역하여함께수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