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교 巫敎 : 권력에 밀린 한국인의 근본신앙 (개정판)

무교 巫敎 : 권력에 밀린 한국인의 근본신앙 (개정판)

$14.22
저자

최준식

저자:최준식
서강대학교사학과졸업
미국템플대학교종교학과대학원졸업
이화여대한국학과교수역임
현재이화여대명예교수
대표저서:『한국의종교,문화로읽는다1,2,3』,『죽음의미래』,『MetaReligion』,『너무늦기전에들어야할죽음학강의』,『한국사자의서』,『종교,그지독한오해와편견』,『죽음학개론』,『사후생이야기』,『전생이야기』등이있다.

목차

개정판서문
초판서문

Ⅰ.한국의고유종교인무교(巫敎)는미신인가?
무교는어떤종교?
무교인가,무속인가/한국무교의지형도/무교의기본구조/무당,진정한의미의사제/무당이되려면?/후(post)내림굿이야기
굿은어떻게하나
굿이란언제그리고왜하는가/굿은어떻게하는가/굿의내용은무엇인가
한국인의근원신앙인무교
굿의종류--오구굿을중심으로/한국무교의신령/문화영웅,바리공주이야기/무교의신령은잡령?
Ⅱ.왜한국은무교의나라인가?
한국무교약사
무교는한국인의근본종교/한국무교약사와그전개양상/신라금관과무교/신라이후의무교이야기
무교의현재
무교의종교사회학적인의미/근대의무교/현대의무교
한국인의근본종교는무교!
무교를대하는태도의이중성/비(非)질서의세계를지향/북한인민도무교지향
Ⅲ.한국인의종교적인내면세계
무교에서바라본불교와그리스도교
장면1./장면2./불교와그리스도교신행의기본구조/그리스도교의경우/불교의경우/초월적인존재와의소통/맹신혹은유치한신앙의폐해
종교신앙은일반적으로다같다
고등종교와기층종교의차이란?/그저권력으로판가름날뿐/권력과결탁하지못한한국무교
마치며

출판사 서평

한국인의근본종교,무교:미신이아닌문화적근원으로서의재해석

한국인의무교에대한태도는이율배반적이다.한편으로는미신으로취급하며천시하면서다른한편으로수시로무교(무속,점)에의존한다.때로는‘재미삼아’하는경우도없지않으나,그런경우에도요행을바라는마음만은거짓이없다.일반인의이러한태도는특히학계에서더욱두드러져서,무교는종교적현상의일부로다뤄지거나대체로는민속학의대상으로서만진지하게취급될뿐,그것의종교적맥락과구조를천착하면서일상속에서시민들의삶과더불어논의하는경우는드물다.

이러한무교에대한인식과실제생활의괴리는어제오늘의일이아니라우리나라에이른바고등종교(高等宗敎)로서불교와유교가도입된고대(삼국시대)로부터누천년동안지속되어온것이다.이렇게보면,오랜탄압과멸시에도불구하고무교가사라지기는커녕이른바고등하다는종교에비하여훨씬더다양하게변주하며오늘날에도여전히그위력을떨치고있는것은불가사의한일이다.

<무교-권력에밀린한국인의근본신앙>은무교를둘러싼이러한이율배반,그리고불가사의함의연원을추적한다.이를통해,자신의근본신앙을홀대하는한국사회에경종을울리며,무교가한국문화와사회에미치는깊이있는영향을다각적으로탐색하고있다.우선‘무교’라는명칭부터가논쟁적이다.대체로‘무속’으로호명되는이종교현상을정식종교로인정하는의미를담고있다.여기서무교는한국사회를이해하는하나의통로가된다.이를통해무교가한국의사회문화나예술등이형성되는데에어떤역할을하는지를알수있다.

중국의경우천자(天子)만이천제(天祭)를주관할수있었던반면고대한국사회의제천(祭天)의례는온나라사람들이모두참여하였고,특히며칠낮밤동안음주가무(飮酒歌舞)를즐겼다는스토리와함께전해온다.이것은오늘날단절된것이아니라,예컨대노래방문화와현대한국인의세계적인음주문화에그대로계승되고있다고본다.이런점에서한국인에게무교적속성을제거하면곧죽음에이르고말것이라고예상할수도있다.한마디로무교는한국인과떼려야뗄수없는깊은관계를맺고있다는것이다.

이책은무교를일상적인생활세계수준에서긍정적으로다룬최초의단행본으로서,한국무교의숨은가치와의미를세상에알리고자하는강한내적동기에서출발한다.저자는무교가단순히무교인(巫敎人)의샤머니즘적실천에국한된것이아니라,한국인의근원신앙으로서깊은문화적,사회적맥락을지니고있다고주장한다.이러한관점은무교를한국문화의깊이를이해하는데중요한열쇠로제시한다.또이런식의접근을통해우리는무교가21세기에살고있는한국인에게어떤의미가있는지새삼스럽게알수있을것이다.

무교를둘러싼오해와편견을해소하고,무교가한국문화와사회에서어떤역할을하는지를밝히는것은매우중요한작업이다.한국의무교를통해본다면,우리는종교가단지신앙의차원을넘어문화와사회에깊이뿌리내리고있음을이해할수있다.나아가‘무교적인간’으로서의한국인인나의이해에도큰도움을얻을수있다.‘점’이나‘굿’등피상적이고무교의일각에불과한내용을소거하고보면,한국인은누구나무교(巫敎)적으로사고하고행동한다는것이다.

이책은초판이발행된이후로부터15년만에새롭게펴낸개정판이다.그사이쇄를거듭하며이책은지속적으로독자들의관심을받아왔다.지난15년동안의한국사회의변화는상전벽해라고해도무방할정도로급격하게변천하였다.코로나19팬데믹으로말미암아전세계가돌아가지못할문명적심연을건넜다고평가되고,더욱이생성형인공지능의급속한발달로인해‘온라인’으로진출하며그생명력을이어오던무교(무속)의일부흐름도큰위기에직면하고있다.
이책(개정판)이이러한최근의인류사회동향까지를모두직접적으로언급하는것은아니지만,저자는무교에대한지속적인관심이한국사회에서무교가여전히근본신앙으로서의지위를잃지않고있음을시사해준다고말한다.또한,한국무교에대한연구와일반적인접근방식을넘어서,무교의본질을좀더폭넓게해석하려는시도를강조하며,무교가한국인의심성과일상생활에어떻게녹아있는지를심도있게탐구한다.

이를위해이책은무교의기본구조와실천(굿),무당의역할과굿의의미,무교와한국인의종교적내면세계사이의상호작용등을다룬다.특히,‘한국인의근본신앙인무교’와‘왜한국은무교의나라인가’같은장에서는무교가어떻게한국의고유종교로자리잡았는지,그리고그것이현대한국인의종교적정체성과어떻게연결되는지를탐색한다.

오늘의한국사회는급속한‘탈(脫)종교화’현상에직면해있다.그러나탈종교화는무교(巫敎)적시각에서볼때,종교자체로부터의이탈이아니라,오랫동안물들어있던외래종교혹은교단(제도)종교로부터이탈하여,좀더근원적인종교로회귀하는현상으로이해할수있다.그종점에무교혹은‘무교적인원형종교’가자리잡고있을것이라는점을,이책을읽으면서이해할수있을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