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유튜브 채널〈댓글 읽어주는 기자들〉의 김기화,
기자가 기자를, 언론이 언론을 까는
공영방송 KBS의 이단아가 엉뚱하고 용감하게
도전하고 실험한 뉴미디어 행보
기자가 기자를, 언론이 언론을 까는
공영방송 KBS의 이단아가 엉뚱하고 용감하게
도전하고 실험한 뉴미디어 행보
언론인 손석희, 방송인 이금희, 교수 정준희 추천!
소통이 중요한 시대에 역설적으로 가장 부재한 것이 소통이다. 대중이 사회적 소통을 기대할 수 있는 최전방에 언론이 있다. 언론의 역할과 기능이 그 어느 때보다 ‘소통’에 있는 때이다. 누구나 정보와 지식을 공유하고 전달할 수 있는 지금에 언론은 어느 때보다도 큰 존재가치를 지닌다. 단, 언론인이 책임과 기능을 다할 생각이 있다면. 책임과 기능을 다하지 않는 언론 때문에 언론의 존재 가치도, 언론에 대한 대중의 기대도 한껏 낮아져 있다. 언론에 기대하는 건 단지 책임과 기능을 명백히 다하는 ‘소통’인데, 그게 그렇게 어려운 걸까? 대중은 언론에 투명한 공유와 열린 소통을 기대하고 있다. 안타깝게도 지금의 대중은 너무도 지쳤다. 뻔한 뉴스! 가짜 뉴스! 왜곡과 오도! 대중이 바보인가?! 뉴미디어라는 용어를 남발하고, 편파적인 뉴스 아닌 뉴스를 반복하고, 일방적인 주장을 양산하는 걸 받아들이게?
〈댓글 읽어주는 기자들(댓읽기)〉은 반성과 실험으로 언론의 의미를 재고하는 기자들의 유튜브 채널이다. ‘댓글 읽어주는 기자들’은 기사에 달린 댓글을 읽어주고, 대댓글을 단다. 댓글로 소통하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거침없이 비판한다, 깐다, 뜯어본다. 기자도, 언론도, 본진인 회사조차. 언뜻 보수적인 언론 방송사 KBS에서 이처럼 창의적인(?) 콘텐츠가 시작되었다는 데 엉뚱하기까지 하다. 자사의 보수적이고 안전한 보도 방향을 넘어서 무려 5년간이나 지속되었다는 게 놀랍기까지 하다!
〈댓읽기〉의 최초 기획자인 김기화 기자는 실험적이기까지 한 소통을 시도했다. 자사에서 방송된 기사가 지닌 오류를 언급하고 재고하며, 타 언론사 기자를 출연시켜 어느 한 방송국·신문사에 머무르지 않는 언론의 전방위적 문제를 들춘다. 사회와 정부에 대한 비판의 시위도 강하게 당긴다. 대통령의 연설이 지닌 문제점을 꼼꼼히 뜯어보고, 사회적으로 취재와 보도의 가치가 높지만 일반 방송 리포트에서 시간 관계상 혹은 시청자에게 미칠 영향 때문에 보도되지 못하거나 축소 보도되는 사안을 깊이 있게 다룬다. 김기화 기자를 대표로 하는 ‘댓글 읽어주는 기자들’에 따르면 소통 불가인 불신의 사회에서 대중에 소통 창구를 열어두는 것이야말로 언론의 역할이자 의무이다. 《댓글 읽어주는 기자들》은 언론의 열린 소통을 콘셉트로 한 유튜브 채널 〈댓읽기〉에서 2018년부터 지금까지 깊은 호응과 공감을 얻은 이야기를 담았다. 기존 방송 내용을 바탕으로, 언론의 과감한 반성과 그럼에도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댓글 읽어주는 기자들》은 네 파트로 이루어져 있다. ‘변두리 정체성의 시작’에서는 보수 언론을 대표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KBS에서 어떻게 조금은 어긋나고 새로운 〈댓읽기〉가 시작되었는지 그리고 〈댓읽기〉의 정체성은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반성과 발설’은 우리 사회 언론과 기자의 현주소와 반성 그리고 언론과 기자의 책임과 의무를 바탕으로 한 목소리를 드러내는 파트이다. ‘실험과 소통’은 관성적인 기존 언론의 한계와 문제점을 넘어서고자 하는 〈댓읽기〉의 시도와 노력을 담고 있고, ‘취재와 인터뷰’에서는 〈댓읽기〉에서 다룬 보도 아이템 중 주요 이슈를 더욱 깊게 다루었다. 정부가 바뀌고, 정책이 바뀌고, KBS 방송이 줄줄이 바뀌며, 〈댓읽기〉는 2023년 마지막 날에 5년을 이어온 방송을 마쳤지만 이 책은 〈댓읽기〉와 우리 언론이 앞으로 이어지고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명징하게 보여준다. 이대로 멈출 수는 없는 길을 제시한다.
소통이 중요한 시대에 역설적으로 가장 부재한 것이 소통이다. 대중이 사회적 소통을 기대할 수 있는 최전방에 언론이 있다. 언론의 역할과 기능이 그 어느 때보다 ‘소통’에 있는 때이다. 누구나 정보와 지식을 공유하고 전달할 수 있는 지금에 언론은 어느 때보다도 큰 존재가치를 지닌다. 단, 언론인이 책임과 기능을 다할 생각이 있다면. 책임과 기능을 다하지 않는 언론 때문에 언론의 존재 가치도, 언론에 대한 대중의 기대도 한껏 낮아져 있다. 언론에 기대하는 건 단지 책임과 기능을 명백히 다하는 ‘소통’인데, 그게 그렇게 어려운 걸까? 대중은 언론에 투명한 공유와 열린 소통을 기대하고 있다. 안타깝게도 지금의 대중은 너무도 지쳤다. 뻔한 뉴스! 가짜 뉴스! 왜곡과 오도! 대중이 바보인가?! 뉴미디어라는 용어를 남발하고, 편파적인 뉴스 아닌 뉴스를 반복하고, 일방적인 주장을 양산하는 걸 받아들이게?
〈댓글 읽어주는 기자들(댓읽기)〉은 반성과 실험으로 언론의 의미를 재고하는 기자들의 유튜브 채널이다. ‘댓글 읽어주는 기자들’은 기사에 달린 댓글을 읽어주고, 대댓글을 단다. 댓글로 소통하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거침없이 비판한다, 깐다, 뜯어본다. 기자도, 언론도, 본진인 회사조차. 언뜻 보수적인 언론 방송사 KBS에서 이처럼 창의적인(?) 콘텐츠가 시작되었다는 데 엉뚱하기까지 하다. 자사의 보수적이고 안전한 보도 방향을 넘어서 무려 5년간이나 지속되었다는 게 놀랍기까지 하다!
〈댓읽기〉의 최초 기획자인 김기화 기자는 실험적이기까지 한 소통을 시도했다. 자사에서 방송된 기사가 지닌 오류를 언급하고 재고하며, 타 언론사 기자를 출연시켜 어느 한 방송국·신문사에 머무르지 않는 언론의 전방위적 문제를 들춘다. 사회와 정부에 대한 비판의 시위도 강하게 당긴다. 대통령의 연설이 지닌 문제점을 꼼꼼히 뜯어보고, 사회적으로 취재와 보도의 가치가 높지만 일반 방송 리포트에서 시간 관계상 혹은 시청자에게 미칠 영향 때문에 보도되지 못하거나 축소 보도되는 사안을 깊이 있게 다룬다. 김기화 기자를 대표로 하는 ‘댓글 읽어주는 기자들’에 따르면 소통 불가인 불신의 사회에서 대중에 소통 창구를 열어두는 것이야말로 언론의 역할이자 의무이다. 《댓글 읽어주는 기자들》은 언론의 열린 소통을 콘셉트로 한 유튜브 채널 〈댓읽기〉에서 2018년부터 지금까지 깊은 호응과 공감을 얻은 이야기를 담았다. 기존 방송 내용을 바탕으로, 언론의 과감한 반성과 그럼에도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댓글 읽어주는 기자들》은 네 파트로 이루어져 있다. ‘변두리 정체성의 시작’에서는 보수 언론을 대표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KBS에서 어떻게 조금은 어긋나고 새로운 〈댓읽기〉가 시작되었는지 그리고 〈댓읽기〉의 정체성은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반성과 발설’은 우리 사회 언론과 기자의 현주소와 반성 그리고 언론과 기자의 책임과 의무를 바탕으로 한 목소리를 드러내는 파트이다. ‘실험과 소통’은 관성적인 기존 언론의 한계와 문제점을 넘어서고자 하는 〈댓읽기〉의 시도와 노력을 담고 있고, ‘취재와 인터뷰’에서는 〈댓읽기〉에서 다룬 보도 아이템 중 주요 이슈를 더욱 깊게 다루었다. 정부가 바뀌고, 정책이 바뀌고, KBS 방송이 줄줄이 바뀌며, 〈댓읽기〉는 2023년 마지막 날에 5년을 이어온 방송을 마쳤지만 이 책은 〈댓읽기〉와 우리 언론이 앞으로 이어지고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명징하게 보여준다. 이대로 멈출 수는 없는 길을 제시한다.
댓글 읽어주는 기자들 : 기레기가 되기 싫은 기자들의 유튜브 실험
$1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