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견지 병지 2 -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951

이견지 병지 2 -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951

$33.64
Description
『이견지』는 송대 명문 사대부 집안에서 태어나 고위관료를 지낸 홍매가 도성을 비롯해 여러 지역에 재직하며 보고 들은 민간의 이야기를 수집하여 기록한 것이다. 이야기의 내용은 매우 다양한데 정치와 행정, 전쟁과 군사, 법률과 사법, 상업과 교통, 문학과 교육, 과거응시와 당락, 음식과 술, 혼인과 애정, 질병과 의약, 죽음과 저승, 점복占卜과 민간신앙 및 불교와 도교 등 당시 사람들의 삶을 총체적으로 보여 주는 여러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이견지』는 기전체 및 편년체 사료나 사대부 문집 등의 여타 송대 사료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당시 사람들의 일상과 감정 그리고 사유 세계를 고스란히 담고 있다. 성과 사랑, 욕망과 질투, 원망과 한, 기복적 사유와 사후세계에 대한 상상 등 송대 사람들의 생생한 삶의 모습이 이야기의 형태로 가감 없이 반영되어 있기에 그 사료적 가치는 매우 크다.

저자

홍매

저자:홍매
남송南宋시기사람으로자가경로景盧이고호는용재容齋·야처野處이며,강남동로江南東路요주饒州파양현(지금의강서성)사람이다.아버지는예부상서禮部尙書를지낸홍호洪皓(1088~1155)로,금조에사신으로갔다가15년간억류생활을마치고돌아와『송막기문松漠紀聞』을편찬한바있으며,형홍괄洪适(1117~1184)과홍준洪遵(1120~1174)역시모두송조의재상과부재상의자리에올랐다.후대사람들은이렇듯활약이뛰어난홍씨네부자父子를두고‘사홍四洪’이라일컬었다.
홍매는소흥紹興15년(1145)진사가되어관직에올랐고,금조에사신으로다녀온
바있다.일찍이길주吉州지사,감주지사,무주지사등을역임하였고,순희淳熙13년(1186)에는한림학사翰林學士가되었다.이후영종寧宗시기단명전학사端明殿學士에오른후관직에서물러났다.만년에는향리에머물면서저술에전념했으며,남긴저술로는『이견지』외에『용재수필容齋隨筆』과『야처유고野處類稿』및『사기법어史記法語』등이있다.

역자:최해별
이화여자대학교사학과부교수로재직중이다.중국송대의법제사,여성사,의료사에대한연구를진행하고있다.

역자:유원준
경희대학교사학과를졸업하고,대만중국문화대학사학과에서석사및박사학위를받았다.현재경희대학교사학과교수로재직중이다.
저서로는『북송전기태호유역부세연구北宋前期太湖流域賦稅之究』(중국문화대학출판부,1988),역서로는『중국문화의시스템론적해석』(천지,1994)등이있으며,이외에송대경제사·사회사·군사사방면다수의논문이있다.

목차

해제5
범례11

권11
01이도진의철피리李鐵笛25
02주씨집의유모朱氏乳30
03화엄원우물의귀신華嚴井鬼33
04시삼의아내施三嫂36
05목수호씨집의굿胡匠賽神38
06조철해시에합격하다趙哲得解40
07흰옷입은여인白衣婦人43
08비단향주머니錦香囊45
09우역을일으킨역귀牛疫鬼49
10노파로변해꿈에나타난암소牛夢50
11불자정씨程佛子51
12지산의귀신芝山鬼54
13엽백익葉伯益56
14이로인해생긴이씨의혹李生瘤58
15돈때문에쥐들이시끄럽게굴다錢爲鼠鳴60
16장이의아들張二子62

권12
01서주의판각장인들舒州刻工67
02자죽원의여인紫竹園女70
03오왕이원한을호소하다吳旺訴寃72
04쌀이섞여내린서주의비舒州雨米77
05주이가귀신을죽이다朱二殺鬼78
06하북의도사河北道士80
07요씨며느리饒氏婦85
08서세영형제徐世英兄弟88
09뱀과개의죽음蛇犬斃90
10승려봉도리奉梨92
11붉은도마뱀紅94
12승려법은僧法恩95
13청성장인靑城丈人99
14주부이씨李主簿101
15덕충오공재吳德充103

권13
01남씨언니藍姐109
02장계현의어민長溪民113
03복주의기이한돼지福州異猪115
04복주푸줏간의아들福州屠家兒116
05어민임옹요林翁要118
06곽단우郭端友120
07홍주통판洪州通判125
08김군경의아내金君卿婦127
09철관도사鐵冠道士129
10장귀자張鬼子132
11태평재상太平宰相136
12당가노시중이법력을얻다路當可得法139
13장락현의해적長樂海寇142
14재앙을없애기위한채주의제사蔡州禳災145
15돌게를이용한생칠치료蟹治漆148

권14
01다섯째처고모장씨張五姑153
02의도현의송선사宜都宋仙157
03유씨할머니의죽은남편劉故夫159
04주석욕조에생긴얼음꽃錫盆花161
05왕팔랑王八郞164
06선찬사인양씨楊宣贊167
07충효절의판관忠孝節義判官169
08용가의예언龍可前知172
09수월대사부적水月大師符173
10현승가씨賈縣丞176
11정도사鄭道士179
12황오교黃烏喬181
13숙후기숭례叔厚186


권15
01황공도의이산에서의기도黃師憲禱梨山191
02주창시의효행周昌時孝行193
03우맹문의첩虞孟文妾195
04어육도인魚肉道人197
05양국공방교부친묘房梁公父墓208
06회향풀을심은도인種茴香道人210
07주복야朱僕射212
08연자루燕子樓213
09침주지사완열의며느리阮州婦216
10공조시랑악림의환골岳侍郞換骨218
11주씨의기이한누에朱氏蠶異222
12금산의수륙재金山設冥224

권16
01도단의아들陶彖子227
02태청궁의도인太淸宮道人232
03왕옥산王屋山234
04소보왕덕王少保237
05여항현의세야차餘杭三夜叉239
06장상선張常先241
07화양관의시華陽觀詩244
08진창령秦昌齡246
09회계의조의청사會稽儀曹248
10왕씨의두첩王氏二妾250
11성시수석합격자왕씨王省元253
12광주의한여자廣州女256
13꿈에본맷돌夢257
14기인의악창처방異人癰疽方261
15돌로만든왕씨의묘지명王氏石銘264
16풍상서馮尙書265

권17
01귀신을보는심씨沈見鬼269
02선암산의세마리양仙巖三羊274
03영현진인靈顯眞人276
04흥원부지사의꿈興元夢278
05각산의효閣山280
06안국사의신安國寺神281
07점술가왕철면王鐵面282
08초계의용苕溪龍290
09자가이숙인유망지劉夷叔292

권18
01장풍자張風子297
02돼지귀에걸린귀걸이猪耳300
03태위한공예韓太尉301
04거란의시암송법契丹誦詩303
05별나라궁전의황금열쇠星宮金305
06낭주의한도인州道人309
07새우튀김을팔던노인蝦翁311
08대부서씨徐大夫313
09계씨가먹은단약桂生大丹317
10도사임령소林靈素320
11국향시國香詩322
12신선을만난장공張拱遇仙331

권19
01송씨집안의묫자리宋氏葬地339
02전병가게딸소홍餠家小紅341
03당음채의매棠陰角鷹344
04수재설앙薛秀才345
05통판주씨朱通判350
06함은원의주지咸恩院主354
07왕대랑의말汪大郞馬357
08유주의돼지州猪360
09무주에친번개州雷361
10벼락귀신이떨어뜨린두건雷鬼墜巾363
11천제의부름을받은단리天帝召段364
12초탈한도인無町畦道人366
13잉어를방생한굴사屈師放鯉369
14청성현징세감독관의아들靑城監稅子371
15북로北虜완안량죽음의징조虜亮死兆374
16청동돈안의뱀靑墩竅蛇376

권20
01구화산의위인九華山偉人379
02시덕이꿈에서들은시施聞詩夢380
03유희범劉希范382
04형호남로의요망한무당荊南妖巫383
05과거에급제한시적時適及第386
06머리가두개달린거북이倆頭龜387
07장조의딸張朝女388
08국자감사업정남의요리사鄭司業人389
09소육랑蕭六郞392
10장생도인長生道人394

색인397

출판사 서평

시대는항상자신을알리고자한다.그것은때로정통사서의모습으로알리기도하고,때로는몇줄에불과한명문으로써알리기도한다.그래서옛날선비들은모두정통사서나경전만을공부하지않고때로는시가에서,때로는일화에서배우며그시대를배우고자했다.그리고그시대에유행했던이야기를모아놓은서적들은아주은밀하고도은유적인방법으로그시대와사람들을우리에게소개해준다.물론이렇게소설의모습으로나타난시대에는해석이필요하다.담담하게서술하는정통사서에비해다소감정적이고,때로는믿기지않는과장까지더해지기마련이다.그러나아무리정통사서라해도결국은해석되어야하고아무리소설이라고해도가끔은사서보다정확한정보도담고있다.『이견지』는우리가정통사서로는알기어려운당대사람들의생활모습과사고방식을유추하게도와주는필기소설이다.저자인홍매는이야기가기이한만큼그이야기에신뢰성을더하기위해다방면으로노력했으며,역주자들은그이야기들과이야기가펼쳐지는송나라라는배경이우리에게낯선것인만큼이야기에접근성을더하기위해여러해설을달았다.이러한노력은독자들이송나라의생활과사람들을이해하는데좋은밑거름이될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