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견지 정지 1 -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952

이견지 정지 1 -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952

$35.81
Description
『이견지』는 송대 명문 사대부 집안에서 태어나 고위관료를 지낸 홍매가 도성을 비롯해 여러 지역에 재직하며 보고 들은 민간의 이야기를 수집하여 기록한 것이다. 이야기의 내용은 매우 다양한데 정치와 행정, 전쟁과 군사, 법률과 사법, 상업과 교통, 문학과 교육, 과거응시와 당락, 음식과 술, 혼인과 애정, 질병과 의약, 죽음과 저승, 점복占卜과 민간신앙 및 불교와 도교 등 당시 사람들의 삶을 총체적으로 보여 주는 여러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이견지』는 기전체 및 편년체 사료나 사대부 문집 등의 여타 송대 사료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당시 사람들의 일상과 감정 그리고 사유 세계를 고스란히 담고 있다. 성과 사랑, 욕망과 질투, 원망과 한, 기복적 사유와 사후세계에 대한 상상 등 송대 사람들의 생생한 삶의 모습이 이야기의 형태로 가감 없이 반영되어 있기에 그 사료적 가치는 매우 크다.

저자

홍매

저자:홍매
남송南宋시기사람으로자가경로景盧이고호는용재容齋·야처野處이며,강남동로江南東路요주饒州파양현(지금의강서성)사람이다.아버지는예부상서禮部尙書를지낸홍호洪皓(1088~1155)로,금조에사신으로갔다가15년간억류생활을마치고돌아와『송막기문松漠紀聞』을편찬한바있으며,형홍괄洪适(1117~1184)과홍준洪遵(1120~1174)역시모두송조의재상과부재상의자리에올랐다.후대사람들은이렇듯활약이뛰어난홍씨네부자父子를두고‘사홍四洪’이라일컬었다.
홍매는소흥紹興15년(1145)진사가되어관직에올랐고,금조에사신으로다녀온
바있다.일찍이길주吉州지사,감주지사,무주지사등을역임하였고,순희淳熙13년(1186)에는한림학사翰林學士가되었다.이후영종寧宗시기단명전학사端明殿學士에오른후관직에서물러났다.만년에는향리에머물면서저술에전념했으며,남긴저술로는『이견지』외에『용재수필容齋隨筆』과『야처유고野處類稿』및『사기법어史記法語』등이있다.

역자:최해별
이화여자대학교사학과부교수로재직중이다.중국송대의법제사,여성사,의료사에대한연구를진행하고있다.

역자:유원준
경희대학교사학과를졸업하고,대만중국문화대학사학과에서석사및박사학위를받았다.현재경희대학교사학과교수로재직중이다.
저서로는『북송전기태호유역부세연구北宋前期太湖流域賦稅之究』(중국문화대학출판부,1988),역서로는『중국문화의시스템론적해석』(천지,1994)등이있으며,이외에송대경제사·사회사·군사사방면다수의논문이있다.

목차

해제5
범례11
서문23

권1
01왕랑선王浪仙29
02승려여승僧如勝35
03병마도감좌량左都監38
04제점형옥사허항許提刑41
05하근의주사위夏氏子45
06도생독을해독하는처방治挑生法48
07도기법挑氣法52
08남풍현지사南知縣54
09금릉의관사金陵邸58

권2
01추씨집의개鄒家犬63
02장돈이꿈에서행한의술張敦夢醫66
03추밀사관사인管樞密69
04소고산의사묘小孤廟71
05부지묘富池廟73
06제남사람왕씨濟南王生76
07해염현의한도인海鹽道人81
08두마리자라가읊은시二鼈詩83
09통판장씨張通判85
10손사도孫士道87
11조주의임산부潮州孕婦91
12장주의꿈張注夢92
13유도창劉道昌94
14이씨가신선으로부터받은영약李家遇仙丹96
15유삼랑劉三娘98
16흥국군의옥졸興國獄卒100
17돼지로인한구씨집안의재앙丘氏豕禍102
18선성의이미죽은부인宣城死婦104
19백사역의귀신白沙驛鬼106
20이원례李元禮108

권3
01무사량武師亮113
02통판왕씨노복의아내王通判僕妻116
03운림산雲林山118
04광록대부손우孫光祿119
05강치평江致平121
06숭산의죽림사嵩山竹林寺123
07육중거陸仲擧126
08낙양에나타난괴수洛中怪獸128
09옹기여翁起予129
10대부호씨胡大夫131
11창가의작은여자귀신小婦132
12소주의동쪽역참韶州東驛135
13해문현의염장海門鹽場138
14양주의취객揚州醉人141
15해문현의주부海門主簿143
16남풍현주부왕씨146
17도적사화육謝花六148

권4
01다섯째오빠손유孫五哥153
02사명부의승司命府丞157
03유사언劉士彦161
04장제의말蔣濟馬164
05검은옷을입고머리카락을양갈래로딴여166
06원주의수재沅州秀才169
07덕청현의나무요괴172
08첨판곽씨의딸郭簽判女174
09진강부의술창고鎭江酒庫176
10교수호씨의어머니胡敎授母178
11대세영戴世榮180
12경서로의밭가운데나타난뱀京西田中蛇184
13건창군우물에서나온물고기建昌井中魚187
14왕립의구운오리고기188

권5
01관상을본세명의사인三士問相195
02통판진자휘의딸陳通判女200
03눈이네개인개四眼狗204
04생전의빚을갚은승려사일師逸來生債206
05빚을갚은장일張一償債207
06오휘의처첩吳輝妻妾209
07구용현사람들句容人211
08형산농장의항아리214
09원씨집의개員家犬216
10위회묘의신威懷廟神219
11영천사의요괴221
12황상어의두창역병魚病豆瘡223
13석구호의교룡224
14진재보陳才輔227
15장씨네집금동이張琴童232

권6
01검은털의화주사람和州毛人235
02관상가왕문경王文卿相238
03사치의업보奢侈報240
04진원여陳元輿245
05고씨의기충高氏飢蟲248
06무당옹길사翁吉師250
07진씨묘의삼목陳墓杉木252
08영녕장의소永寧莊牛255
09개가녹색관복을입은관원을물다犬齧綠袍人257
10엽덕부葉德孚259
11모산의도인茅山道人262
12천주의객상양씨泉州楊客265
13개로변한승려에관한글僧化犬賦268
14누에를죽인장씨노인張翁殺蠶270

권7
01대루문안의주택戴樓門宅275
02임씨네사위의여종林氏壻婢277
03왕후의무王厚蘿蔔279
04천태산묘의옥두꺼비281
05제주에나타난불운의말濟州逆馬283
06남경의거북이와뱀南京龜蛇284
07병국대부秉國大夫286
08주승사라고새겨진인장朱勝私印289
09대혼왕大渾王291
10장씨의옥사張氏獄295
11재상탕사퇴와사호湯史二相300
12형산의여관荊山客邸303
13하이랑夏二娘306
14화음현의어린소사華陰小廳子310
15무창현의관저武昌州宅313
16대유현의미제사건大庾疑訟314

권8
01화양동의문華陽洞門319
02벼락맞아죽은왕사雷擊王四324
03남풍현에떨어진천둥할미326
04진흙위에남은거인의흔적泥中人跡327
05배의길흉을점치는의황현사람宜黃人相船328
06뺨에난종기에서나온커다란이331
07도사호씨胡道士332
08감묘관조씨趙監廟333
09난한도인亂漢道人334
10오승가吳僧伽340
11승상하율何丞相346
12정주의물긷는부인鼎州汲婦349
13서운원의참새瑞雲雀352

권9
01태원사람의랑太原意娘357
02허도수許道壽363
03등명지明之365
04서지에서의유람西池遊366
05서무가키운물고기舒懋育鰍370
06진씨집며느리陳婦372
07하동사람백정정씨河東鄭屠374
08승절랑장안張顔承節375
09불효자용택과진영년龍澤陳永年381
10전당강의거센조류錢塘潮383
11섬서의유씨陝西劉生385
12불효로벌을받은요이要二逆報390

권10
01등성현의무당鄧城巫395
02외과의사서루대徐樓臺399
03조교부씨符助敎402
04수양촌의의사육양水陽陸醫404
05자가초재인진재秦楚材408
06건강부의두타도인建康頭陀412
07동원선생洞元先生416
08하늘이맡긴일天門授事418
09대홍산의절름발이호랑이大洪山跛虎421
10자가대경인장각의사張臺卿詞423
11신건현의옥사新建獄427
12조주의코끼리潮州象429
13유좌무劉左武431

색인434

출판사 서평

시대는항상자신을알리고자한다.그것은때로정통사서의모습으로알리기도하고,때로는몇줄에불과한명문으로써알리기도한다.그래서옛날선비들은모두정통사서나경전만을공부하지않고때로는시가에서,때로는일화에서배우며그시대를배우고자했다.그리고그시대에유행했던이야기를모아놓은서적들은아주은밀하고도은유적인방법으로그시대와사람들을우리에게소개해준다.물론이렇게소설의모습으로나타난시대에는해석이필요하다.담담하게서술하는정통사서에비해다소감정적이고,때로는믿기지않는과장까지더해지기마련이다.그러나아무리정통사서라해도결국은해석되어야하고아무리소설이라고해도가끔은사서보다정확한정보도담고있다.『이견지』는우리가정통사서로는알기어려운당대사람들의생활모습과사고방식을유추하게도와주는필기소설이다.저자인홍매는이야기가기이한만큼그이야기에신뢰성을더하기위해다방면으로노력했으며,역주자들은그이야기들과이야기가펼쳐지는송나라라는배경이우리에게낯선것인만큼이야기에접근성을더하기위해여러해설을달았다.이러한노력은독자들이송나라의생활과사람들을이해하는데좋은밑거름이될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