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견지 정지 2 -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953

이견지 정지 2 -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953

$33.68
Description
『이견지』는 송대 명문 사대부 집안에서 태어나 고위관료를 지낸 홍매가 도성을 비롯해 여러 지역에 재직하며 보고 들은 민간의 이야기를 수집하여 기록한 것이다. 이야기의 내용은 매우 다양한데 정치와 행정, 전쟁과 군사, 법률과 사법, 상업과 교통, 문학과 교육, 과거응시와 당락, 음식과 술, 혼인과 애정, 질병과 의약, 죽음과 저승, 점복占卜과 민간신앙 및 불교와 도교 등 당시 사람들의 삶을 총체적으로 보여 주는 여러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이견지』는 기전체 및 편년체 사료나 사대부 문집 등의 여타 송대 사료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당시 사람들의 일상과 감정 그리고 사유 세계를 고스란히 담고 있다. 성과 사랑, 욕망과 질투, 원망과 한, 기복적 사유와 사후세계에 대한 상상 등 송대 사람들의 생생한 삶의 모습이 이야기의 형태로 가감 없이 반영되어 있기에 그 사료적 가치는 매우 크다.

저자

홍매

저자:홍매
남송南宋시기사람으로자가경로景盧이고호는용재容齋·야처野處이며,강남동로江南東路요주饒州파양현(지금의강서성)사람이다.아버지는예부상서禮部尙書를지낸홍호洪皓(1088~1155)로,금조에사신으로갔다가15년간억류생활을마치고돌아와『송막기문松漠紀聞』을편찬한바있으며,형홍괄洪适(1117~1184)과홍준洪遵(1120~1174)역시모두송조의재상과부재상의자리에올랐다.후대사람들은이렇듯활약이뛰어난홍씨네부자父子를두고‘사홍四洪’이라일컬었다.
홍매는소흥紹興15년(1145)진사가되어관직에올랐고,금조에사신으로다녀온
바있다.일찍이길주吉州지사,감주지사,무주지사등을역임하였고,순희淳熙13년(1186)에는한림학사翰林學士가되었다.이후영종寧宗시기단명전학사端明殿學士에오른후관직에서물러났다.만년에는향리에머물면서저술에전념했으며,남긴저술로는『이견지』외에『용재수필容齋隨筆』과『야처유고野處類稿』및『사기법어史記法語』등이있다.

역자:최해별
이화여자대학교사학과부교수로재직중이다.중국송대의법제사,여성사,의료사에대한연구를진행하고있다.

역자:유원준
경희대학교사학과를졸업하고,대만중국문화대학사학과에서석사및박사학위를받았다.현재경희대학교사학과교수로재직중이다.
저서로는『북송전기태호유역부세연구北宋前期太湖流域賦稅之究』(중국문화대학출판부,1988),역서로는『중국문화의시스템론적해석』(천지,1994)등이있으며,이외에송대경제사·사회사·군사사방면다수의논문이있다.

목차

해제5
범례11

권11
001도인전씨田道人25
02화병에서핀복숭아꽃甁中桃花30
03풍성현의효성스런며느리城孝婦31
04이위공묘李衛公廟33
05천수자육구몽天隨子36
06구름사다리에오른정교鄭僑登雲梯41
07금계나루의예언金溪渡讖43
08남안현의황룡계곡南安黃龍溪45
09채하의수재蔡河秀才48
10계림군수창고의도랑桂林庫溝51
11종사랑왕씨의아내王從事妻53
12절벽에서떨어진심중沈仲墜崖57
13심위보沈緯甫59
14곽장군將軍62

권12
01공비현丕顯67
02장로손씨遜長老70
03옥당의일을판결한왕우王寓判玉堂73
04저주로응보를받은정주의백성汀民呪獄75
05나무를팔아버린온대溫大賣木77
06진십사부자陳十四父子79
07서쪽나루터정자에서받은사西津亭詞81
08길위지의아내吉之妻86
09호씨의아내胡生妻88
10사안의요술謝眼妖術90
11설사융薛士隆93
12동정호의움직이는모래洞庭走沙95
13회음현의한사인淮陰人98
14회음현민가의딸淮陰民女100
15식초를먹게된이씨부인李婦食醋102

권13권
01형순거邢舜擧107
02현군고씨高縣君111
03귀신과싸운이우李遇與鬼114
04수재반씨潘秀才116
05주삼랑周三郞119
06한양군의석류漢陽石榴121
07소혜재昭惠齋122
08공로충孔勞蟲123
09악주선봉군통제양흥梁統制128
10호랑이머리로변한이씨李氏虎首131
11상서장극공의아들들張尙書兒133
12노인염사閻四老134
13엽극기葉克己135
14임안부의한주민臨安民138
15닭의머리를한사람頭人140

권14권
01진인무원조武眞人145
02존심재存心齋153
03명주의노인明州老翁155
04천마리닭이나온꿈千夢157
05무당공武唐公158
06공도孔都162
07백애산의신白崖神165
08자감사에봉안된진주慈感蚌珠171
09채씨와학씨의처첩蔡妻妾174
10제점형옥공사곽윤적의첩郭提刑妾177
11유십구랑劉十九郞179
12벼락맞은개雷震犬182

권15권
01담씨와이씨두의사譚李二醫185
02거북이가꿈에서알려준처방夢龜告方186
03전씨셋째고모田三姑187
04왕징이빙의하여한말汪澄憑語191
05혐오스러운음식을먹은섭진進食厭物194
06새로부임한광우왕묘의신新廣祐王197
07첨소가詹小哥199
08조단규晁端揆202
09물위의여인水上婦人203
10다시살아난장규張珪復生205
11객상장씨가겪은기이한일張客奇遇207
12오이의효성에대한보응吳二孝感211
13항왕묘를배알한두묵杜默謁項王213
14거북이와학이새겨진작은돌龜鶴小石215

권16권
01호비영의꿈胡飛英夢219
02재상채경의뼈에새겨진글자蔡相骨字220
03정씨부부鄭生夫婦222
04황안도黃安道225
05드렁허리를방생한오현사람吳民放228
06하늘로올라간신선의배仙舟上天231
07천둥으로만든단약雷丹232
08술벌레酒蟲235
09소사리탑牛舍利塔237
10꿈에본계란子夢239
11절서제거상평사浙西提擧241
12호방녕胡邦寧243
13축약이받은두개의칼祝二刀245
14국자감부임에대한꿈國子監夢246
15용화삼회龍華三會248
16엽악을살린전당강예씨의배葉芮江舟249
17옥진도인玉眞道人251
18공주임공현사람이씨臨李生253
19며느리를데려간오씨吳氏迎婦255

권17권
01실명한감당甘棠失目259
02유리병瑠璃甁262
03원중성袁仲誠266
04염라성閻羅城268
05술을마시지않는왕진王不飮273
06순안현주민淳安民276
07하주지사설예薛賀州280
08삼아진三鴉鎭283
09유요거劉堯擧286

권18권
01노당가路當可291
02요정직饒廷直297
03사씨노인의딸史翁女300
04자고신이쓴남죽에관한시紫姑藍粥詩303
05여자로변신한개에게미혹한유씨劉狗306
06장진노張珍奴308
07원종정袁從政313
08시를파는수재賣詩秀才315
09황주의시백수齊安百詠317
10소동파의설당東坡雪堂319
11신선을만난이발李遇仙321
12당대소씨집안의딸唐蕭氏女324

권19권
01유호의향낭留香囊329
02영화의시와사英華詩詞332
03황주의야인黃州野人334
04사언의점술史言命術336
05옥녀희신술玉女喜神術339
06우강의승려정씨江丁僧341
07강남의목객신江南木客344
08강을건넌귀졸들鬼卒渡溪351
09용문산龍門山352
10침주의병졸당전卒唐顚354
11복당촌에떨어진용주復塘龍珠357
12건창현에서주운코뿔소모양의돌建昌犀石359
13진씨의아내陳氏妻360
14사씨의효성에감복한귤謝生靈柑363
15허덕화의보리許德和麥365

권20권
01낭암의아내郞巖妻369
02황자심黃資深372
03뱀의요망함蛇妖374
04요망한개두마리二狗怪377
05품안에들어온단풍잎紅葉入懷379
06양씨네집조왕신楊氏神380
07요사문姚師文382
08서이청徐以淸385
09승의랑주식朱承議386
10파산의뱀巴山蛇388
11흥국현의도인興國道人391
12거울만드는장인진씨陳磨鏡394
13오산촌의노파烏山396
14무녀진씨陳巫女399
15눈밭에펼쳐진귀신들의흔적雪中鬼迹401

출판사 서평

시대는항상자신을알리고자한다.그것은때로정통사서의모습으로알리기도하고,때로는몇줄에불과한명문으로써알리기도한다.그래서옛날선비들은모두정통사서나경전만을공부하지않고때로는시가에서,때로는일화에서배우며그시대를배우고자했다.그리고그시대에유행했던이야기를모아놓은서적들은아주은밀하고도은유적인방법으로그시대와사람들을우리에게소개해준다.물론이렇게소설의모습으로나타난시대에는해석이필요하다.담담하게서술하는정통사서에비해다소감정적이고,때로는믿기지않는과장까지더해지기마련이다.그러나아무리정통사서라해도결국은해석되어야하고아무리소설이라고해도가끔은사서보다정확한정보도담고있다.『이견지』는우리가정통사서로는알기어려운당대사람들의생활모습과사고방식을유추하게도와주는필기소설이다.저자인홍매는이야기가기이한만큼그이야기에신뢰성을더하기위해다방면으로노력했으며,역주자들은그이야기들과이야기가펼쳐지는송나라라는배경이우리에게낯선것인만큼이야기에접근성을더하기위해여러해설을달았다.이러한노력은독자들이송나라의생활과사람들을이해하는데좋은밑거름이될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