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ld outPre order
Description
제국주의의 침탈 과정에서 식민지에 세워진 박물관은 원활한 식민지배를 위한 문화적 도구로 활용되었는데, 1915년 일제에 의해 세워진 조선총독부박물관 또한 이러한 역할에 충실한 식민지 문화기관이었다. 식민지 문화재정책에 부응하여 발굴품과 미술공예품의 전시를 통해 열등한 조선의 문화를 재현하는 공간이자 문화재의 조사, 보호, 보존 등 문화재 관리 기관이었던 조선총독부박물관은 1945년 해방 이후 미군정을 통해 국립박물관으로 이어졌다.
이 책은 오늘날 국립중앙박물관의 소장품과 전시, 조사연구의 연원이기도 한 조선총독부박물관의 설립과 운영을 통해 열패한 식민지 문화가 어떻게 전파되었으며, 조직과 인력, 소장품의 출처와 상설전시를 통해 식민지 박물관의 토대가 어떻게 구축되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폈다. 더불어 일제시기 변동과 파행을 거친 고적조사 과정과 전시체제 아래 균열과 퇴락의 길을 걸어온 조선총독부박물관의 역사를 상세히 들여다본다. 조선총독부박물관의 실체를 파악하는 이러한 연구는 국립중앙박물관의 전사를 제대로 알아가는 것뿐 아니라 제국의 식민지 박물관의 특징을 규명하는 작업으로서도 그 의미가 매우 크다.
이 책은 오늘날 국립중앙박물관의 소장품과 전시, 조사연구의 연원이기도 한 조선총독부박물관의 설립과 운영을 통해 열패한 식민지 문화가 어떻게 전파되었으며, 조직과 인력, 소장품의 출처와 상설전시를 통해 식민지 박물관의 토대가 어떻게 구축되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폈다. 더불어 일제시기 변동과 파행을 거친 고적조사 과정과 전시체제 아래 균열과 퇴락의 길을 걸어온 조선총독부박물관의 역사를 상세히 들여다본다. 조선총독부박물관의 실체를 파악하는 이러한 연구는 국립중앙박물관의 전사를 제대로 알아가는 것뿐 아니라 제국의 식민지 박물관의 특징을 규명하는 작업으로서도 그 의미가 매우 크다.

조선총독부박물관과 식민주의 : 식민지 역사의 재현과 문화재 관리 - 일제 식민사학 비판 총서 2
$28.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