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소상팔경도 연구

한국 소상팔경도 연구

$29.71
Description
우리나라 옛 시와 회화에서 가장 있기 있던 주제, 소상팔경(瀟湘八景)
한국을 대표하는 미술사학자, 안휘준 서울대 명예교수가 밝히는 소상팔경도(瀟湘八景圖)의 모든 것
우리나라에서 시와 회화의 가장 인기 있던 주제 중의 하나로 ‘소상팔경(瀟湘八景)’을 빼놓을 수 없다. ‘소상팔경’은 중국 호남성 동정호의 남쪽 영릉(零陵) 부근, 즉 소수(瀟水)와 상수(湘水)가 합쳐지는 곳의 아름다운 경치를 소재로 하여 팔경으로 읊거나 그린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소상팔경도는 하나의 주제가 중국에서 발생하여 우리나라에서 언제, 어떻게 수용되었으며, 어떠한 변화를 겪게 되었는지, 또한 우리나라 화가들이 중국적인 주제를 어떻게 우리화하였으며 변화 발전시켰는지를 보여주는 하나의 중요한 검토 대상이 된다고 하겠다. 소상팔경도에서 간취되는 제반 사항이나 사실들은 우리나라의 전통회화는 물론 문화적 현상을 고찰하는 데에도 좋은 참고가 될 것이다.
저자

안휘준

저자:안휘준
서울대학교인문대학고고미술사학과명예교수
서울대학교문리과대학고고인류학과(문학사)
미국하버드대학교대학원미술사학과(문학석사,철학박사)
미국프린스턴대학교대학원고고미술사학과수학
전(前)홍익대학교미술대학교수,박물관장
서울대학교인문대학고고미술사학과교수,박물관장
한국정신문화연구원초대예술연구실장
명지대학교인문대학미술사학과석좌교수
문화재청국외소재문화재재단초대이사장
한국대학박물관협회회장
한국미술사교육학회대표
한국미술사학회회장
문화체육부학예사운영위원회위원장
국립중앙박물관운영자문위원회위원장
문화재청문화재위원회위원장
문화체육관광부영정·동상심의위원회위원장
상훈
우현상,동원학술대상,한국미술저작상,간행물윤리상(저작부문),위암장지연상(한국학부문),보관문화훈장,대한민국문화유산상(학술부문),옥조근정훈장,안견미술문화대상,세종문화상(학술부문),용재학술상,효령상(문화부문),대한민국학술원상(인문학부문)
주요저서
『한국회화사』(일지사,1980),『한국회화의전통』(문예출판사,1988),『옛궁궐그림』(대원사,1997),『한국회화의이해』(시공사,2000),『한국회화사연구』(시공사,2000),『한국의미술과문화』(시공사,2000),『한국미술의역사』(시공사,2003)(공저),『고구려회화』(효형출판,2007),『미술사로본한국의현대미술』(서울대학교출판부,2008),『한국미술의美』(효형출판,2008)(공저),『개정신판안견과몽유도원도』(사회평론,2009),『역사와사상이담긴조선시대인물화』(학고재,2009)(공편),『청출어람의한국미술』(사회평론,2010),『한국그림의전통』(사회평론,2012),『한국미술사연구』(사회평론,2012),『한국고분벽화연구』(사회평론,2013),『조선시대산수화특강』(사회평론,2015),『한국의해외문화재』(사회평론,2016),『한국회화의4대가』(사회평론,2019),『한국의미술문화와전시』(사회평론,2022),『나의한국미술사연구』(사회평론,2022)등

목차

머리말

I한국의소상팔경도
1.서언
2.소상팔경도의기원과동전(東傳)
3.소상팔경도의특징
4.조선초기의소상팔경도
5.조선중기의소상팔경도
6.조선후기및말기의소상팔경도
7.결어

II비해당안평대군의<소상팔경도>
1.머리말
2.〈비해당소상팔경도〉의제작경위
3.〈비해당소상팔경도〉의제작배경
4.〈비해당소상팔경도〉의제작내역
5.맺음말

III국립중앙박물관소장의<소상팔경도>

IV겸재정선의<소상팔경도>
1.머리말
2.개인소장의<소상팔경도>(1)
3.재일교포구장(서울개인소장)의<소상팔경도>
4.간송미술관소장의<소상팔경도>
5.개인소장의<소상팔경도>(2)
6.맺음말

부록안견전칭의<사시팔경도>

출판사 서평

이책은그동안저자가쓴소상팔경도의제작양상과화풍적특징을다룬네편의글을엮은것으로소상팔경도의기원,한국으로의전래과정,조선시대에그려진소상팔경도의화풍적특징과양식적변천,한국의소상팔경도가지닌미술사적가치와의의를설명하는데초점을맞추고있다.이책의부록으로실린「안견전칭의<사시팔경도>」는계절의변화를반영한산수화라는측면에서소상팔경도와도관련이깊은사시팔경도의화면구성및화풍적특징을조명한글이다.

소상팔경(瀟湘八景)은중국의호남성(湖南省)에있는동정호(洞庭湖)근처에서소수(瀟水)와상수(湘水)가만나만들어낸여덟가지의아름다운경치(景致)를지칭한다.이여덟가지장면은산시청람(山市晴嵐),연사모종(煙寺?鐘),어촌석조(漁村夕照),원포귀범(遠浦歸帆),소상야우(瀟湘夜雨),동정추월(洞庭秋月),평사낙안(平沙落雁),강천모설(江天暮雪)이다.북송(北宋)시대의문인인송적(宋迪,1015년경~1080년경)이처음으로소상팔경도(瀟湘八景圖)를그렸다고한다.중국에서는남송이멸망한이후어떤이유인지는모르지만소상팔경도에대한인기가급격히떨어졌다.원나라,명나라,청나라때그려진소상팔경도는매우소수에불과하다.반면소상팔경도는한국과일본에서유행했다.조선시대에는전시기에걸쳐소상팔경도가그려졌다.특히조선초·중기인15-16세기에소상팔경도가많이그려졌다.일본의경우무로마치시대(室町時代,1333~1573)에소상팔경도가다수제작되었다.

「한국의소상팔경도」는소상팔경도가언제중국에서한국으로처음전래되었으며그이후어떻게한국적특징을지닌산수화로변화,발전되었으며각시대별로나타난화풍적특징은무엇인지를상세하게다룬글이다.중국의소상팔경도가언제한국에전해졌는지는확실하지않다.그런데고려의명종(明宗,재위1171~1197)연간에소상팔경도를제작했다는기록이남아있어주목된다.명종은소상팔경을주제로문신들에게시를짓게하고이광필(李光弼)에게그림을그리게하였다.따라서12세기후반이전에이미소상팔경도는고려에전해져있었다고할수있다.
고려시대의회화적전통을계승하면서조선시대에는다수의소상팔경도가제작되었다.조선초기에는주로안견파화풍으로소상팔경도가그려졌다.안견파는조선초기에활동했던산수화의최고대가였던안견(安堅,15세기중반에주로활동)과그의화풍을추종했던화가들을지칭한다.15-16세기전반에제작된소상팔경도는모두안견파화풍으로그려졌다.조선중기에는여전히소상팔경도제작에안견파화풍이사용되었다.그러나안견파화풍과함께당시명나라에서새롭게들어온절파(浙派)화풍으로도소상팔경도가그렸다.따라서조선중기에제작된소상팔경도를통해안견파화풍,절파화풍의공존양상을살펴볼수있다.조선후기에는남종화풍(南宗畵風)이유행하였다.그결과소상팔경도는주로남종화풍으로그려졌다.조선초기,중기에는도화서화원들만이소상팔경도를그렸으며문인화가들이남긴작품은남은것이없다.반면에조선후기에는문인화들뿐아니라김득신(金得臣,1754~1822),이재관(李在寬,1783~1837)등화원및직업화가들도남종화풍으로소상팔경도를그렸다.조선말기에도김수철(金秀哲,19세기중반에주로활동)의예에서살펴볼수있듯이남종화풍으로소상팔경도가그려졌다.한편19세기에는소상팔경도가저변화,대중화되면서청화백자의산수문양으로도그려졌다.아울러소상팔경을그린민화가유행하였다.그러나청화백자의산수문양과민화는소상팔경도각장면의도상(圖像)적특징과화면구성이간략화,인습화,도식화된양상을보여주었다.민화중일부는어느장면을그린것인지확인하기어려울정도로극도로형식화되었다.

소상팔경도와관련된나머지세편의글은‘소상팔경’을주제로한그림이어떻게시대별로각기다른양상을보여주었는가를다룬사례(事例)연구라고할수있다.

「비해당안평대군의<소상팔경도>」는1442년에안평대군(安平大君)이어떤화가에게의뢰해그린<비해당소상팔경도(匪懈堂瀟湘八景)>를집중적으로분석하여이화가는다름아닌안견이라고주장한글이다.

「국립중앙박물관소장의소상팔경도」는안견전칭으로전해져온<소상팔경도>의화풍적특징을조명한글이다.조선초기에는안견파화풍이크게유행했으며현존하는15-16세기전반에제작된소상팔경도는모두이화풍으로그려졌다.국립중앙박물관소장의<소상팔경도>는편파이단구도(偏頗二段構圖),단선점준(短線點?)등조선초기안견파화풍의전형을보여주고있다.편파구도는화면의한쪽에경물(景物)이집중적으로배치된구도를말한다.단선점준은산과언덕을표현하는데사용된짧은선과점으로이루어진준법(?法)을지칭한다.화면에보이는넓은공간감,편파구도,단선점준은안견파화풍의주요특징들이다.

「겸재정선의소상팔경도」는정선이남종화풍을사용해소상팔경도를그리면서도소상팔경의순서를의도적으로바꾸는등창의적실험을시도했음을규명한글이다.소상팔경은본래정해진순서가있지않았다.그러나산시청람,연사모종,어촌석조,원포귀범,소상야우,동정추월,평사낙안,강천모설이일반적인순서였다.다른장면들의선후관계가바뀌는경우는있었지만‘동정추월’과‘평사낙안’이바뀌는경우는거의없었다.그런데정선은‘동정추월’과‘평사낙안’장면을바꾸는등소상팔경도제작에있어끊임없이변화를시도하였다.그는중국의화보를참조하여새로운표현과도상을창출하는등자신만의독자적인소상팔경도를그렸다.따라서정선의소상팔경도는그의창의적인실험정신을잘보여주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