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이 책은 중국의 저명한 언어학자이자 돈황(敦煌)학자인 쟝리훙(蔣禮鴻)교수와 런밍싼(任銘善)교수의 공동 저서인 고대중국어통론(古漢語通論)을 번역한 것이다. 원서는 2016년 중국 저쟝(浙江)대학교 출판사에서 발행되었다. 이 원서는 쟝리훙 교수의 제자들이 편찬한 총 8권으로 구성된 「쟝리훙전집(蔣禮鴻全集)」 중의 한 권으로서 1984년에 출판된 「고대중국어통론(古漢語通論)」을 재출판한 것이다. 이 저서는 총 20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고대중국어의 기본적이며 상식적인 지식들이 모두 망라되어 있다. 조금 자세히 보자면 일반론(1장), 문자(2장), 훈고(3, 4장), 문법(5-13장), 음운(14-17장), 수사(18장), 문헌(19-20장) 등으로 구성되어, 고대중국어와 관련한 전반적인 부분이 이른 바 ‘통론’의 역할에 충실함을 알 수 있다. 앞에서 기본적인 ‘상식’이라 칭하였지만 상식이라고 하기에는 매우 전문적이며 통찰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고대중국어(古漢語)’는 한국에서는 한문(漢文)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이 책에서 ‘고대중국어’라는 제목을 쓴 이유는 이 책에서도 밝힌 것과 같이 중국어의 발전 선상에 있어 연속성을 내포하고 있는 의미로 쓴 것이기 때문이다. 즉 고대중국어는 현대중국어의 모태가 되면서 동일점과 차이점을 위주로 바라보는 것을 가리킬 때 쓰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 착안한다면 “현대중국어를 근거로 하여 고대중국어를 유추하여 인식할 수 있다.”고 한 본서에서의 설명은 충분한 타당성을 얻게 된다.
‘고대중국어(古漢語)’는 한국에서는 한문(漢文)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이 책에서 ‘고대중국어’라는 제목을 쓴 이유는 이 책에서도 밝힌 것과 같이 중국어의 발전 선상에 있어 연속성을 내포하고 있는 의미로 쓴 것이기 때문이다. 즉 고대중국어는 현대중국어의 모태가 되면서 동일점과 차이점을 위주로 바라보는 것을 가리킬 때 쓰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 착안한다면 “현대중국어를 근거로 하여 고대중국어를 유추하여 인식할 수 있다.”고 한 본서에서의 설명은 충분한 타당성을 얻게 된다.
고대중국어 통론 (양장)
$6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