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행설화 연구 : 호남지역 효행설화를 중심으로 (양장)

효행설화 연구 : 호남지역 효행설화를 중심으로 (양장)

$20.00
Description
설화는 그 시대 민중들의 지혜와 사상, 신앙, 습속, 그리고 생활 감정이 솔직하게 그려져 있는 정신문화의 유산으로, 오랜 세월에 걸쳐 그 형식과 내용이 끊임없이 변화해오며 전해지는 문학이다. ‘전승(傳承)’이라는 특수성을 고려해 볼 때 설화는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전대(前代) 민중들의 생활 흔적이며 민중의 지혜가 녹아 흐르는 민중들의 정신적 소산이자 문화유산이다.
효행설화는 효행과 관련한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인간의 기본 성정(性情)인 효행은 시대와 사회 환경에 따라 그 나름의 노력을 통해 지금의 모습으로 전해져 오고 있다. 효행설화는 문자가 없었던 고대에는 수많은 민중들의 입을 통해 전해져 왔는데 문자화되고 문헌에 정착하게 되면서부터 기록자의 사상과 입맛에 맞게 사회교화(社會敎化)에 도움이 될 만한 것만 기록으로 남게 되기도 하였다.
효행 관련 설화는 인간의 근본적인 삶에 대한 문제를 다루는 인간 삶의 진리와 가족의 이야기이기에 시ㆍ공간과 계층을 뛰어 넘어 보편적 소재가 될 수 있었던 것이다.
효 관념은 시대에 따라 그 형태가 다르기는 하나 강한 응집력과 이해의 구조로 가족문화를 만들었고 때로는 이것이 부정적 지배 이데올로기와 전쟁 등의 역사적 사건으로 인하여 변화되거나 왜곡ㆍ혼란을 겪기도 했지만, 효를 중심으로 한 가족문화는 사라지지 않고, 시대ㆍ계층ㆍ지역을 넘어 그 명맥을 이어왔다. 그리고 효는 가족을 운영하는 기본원리로서 가족윤리의 역할과 사회 통합의 기능, 후세 교육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효행설화는 고난의 문제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며, 고난의 문제는 또 다른 고난과 결부되어 다양한 고난의 양상을 드러낸다. 설화에 나타난 고난의 양상은 전통적 윤리 사회인 과거에도 존재했고, 현재에도 존재하는 삶의 문제이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겪게 되는 이러한 삶의 문제들은 효행설화를 통해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고, 그와 같은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주인공들의 삶의 방식을 통해 문제 해결의 실마리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고난을 극복하는 방식에 있어서 전통적 윤리사회에서는 효의 실현에 최고의 가치를 부여하여 어떠한 희생이나 조건에서도 반드시 실현해야 하는 윤리의식으로 인식해 왔다. 이러한 효지상주의적(孝至上主義的) 사고에 바탕을 둔 효행은 현대적 관점에서 우리의 삶과 연관지어 볼 때 극한 상황에서도 효를 실현하려는 민중의 의지를 확인하는 긍정적인 면도 있지만, 개인의 개성이 무시되고, 인간성이 말살되는 부정적인 면도 있어 재해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효행설화에 나타난 고난의 문제를 당대의 의미와 현재의 관점에서 통시적으로 비교 고찰하여 효행설화의 사회적 의미를 밝혀 보고자 한다. 그러기 위해 본 연구는 「한국구비문학대계」를 통해 전승되는 효행설화를 고난의 양상에 따라 분류하고 그 구조를 분석하여, 설화의 주인공이 고난을 극복하고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효행설화의 현대적 의미와 효의 중요성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저자

이병일

李炳一
1971년광주출신으로조선대학교국어국문학과를졸업하고동대학에서석ㆍ박사학위를취득했다.조선대학교국어국문학과(2003-2010),동신대학교교양학부(2008-2010)에서〈삶과글〉,〈발표와토론〉,〈읽기와쓰기〉,〈보고서작성및발표〉,〈사고와표현1,2〉,〈한국의전통문화〉,〈사회언어학〉등을강의하였다.2010년부터중국천진사범대학교한국어학과외국인교수로재직중이다.저서로는「예체능계열글쓰기」,「한국어열독(상,하)」,「신편고급한국어(상,하)」,「신편한국어쓰기」,「초급한국어읽기와쓰기(1,2)」등이있다.

목차

제1장
효행설화연구
1.연구의목적
2.연구사검토
3.연구의방법및자료

제2장
효행설화의고난양상
1.가난
1)매아득보형(埋兒得寶型)
2)단발형(斷髮型)
3)보신개안형(補身開眼型)

2.부모의병
1)구약형(救藥型)
2)상신형(傷身型)
3)살아치병형(殺兒治病型)

3.불의의사고
1)묵인형(?認型)
2)살신형(殺身型)
3)기자형(棄子型)

4.배우자의부재(不在)
1)재혼형(再婚型)
2)효교형(孝橋型)
3)수절형(守節型)

5.가족구성원간의갈등
1)개심형(改心型)
2)기로형(棄老型)
3)명당형(明堂型)

6.시묘와제사의문제
1)시묘형(侍墓型)
2)제사형(祭祀型)

제3장
효행설화의사회적의미
1.용서와화해의권장
2.노인의성문제에대한재인식
3.치매노인에대한관심과배려
4.가족중심의효행
5.효행의주체로서의여성
6.극한상황의설정

제4장
호남지역효행설화의전승의식
1.부모중심적사고
2.현실극복의의지
3.시가본위(媤家本位)의사고
4.가족공동체의식
5.살신성효적(殺身成誠孝的)사고

제5장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