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택동과 중국혁명 1 : 20세기 중국혁명사 (양장)

모택동과 중국혁명 1 : 20세기 중국혁명사 (양장)

$65.00
Description
20세기 중국혁명의 주역은 ‘중공(中共) 창시자’, 중국 공농홍군(工農紅軍)의 창건자, 중화인민공화국의 주요 창건자 모택동이다. 이 또한 중국혁명과 작금의 중국사회를 이해하려면 ‘모택동 연구’가 필수불가결한 주된 이유이다. 한편 중국인들은 ‘공화국 창건자’ 모택동을 여전히 ‘구세주(救世主)’로 여기고 있다. 또 ‘모택동 신격화’는 현재진행형이다. 21세기 현재 중공의 지도이념인 모택동사상은 독보적 존재감을 나타내고 있다.
중국의 북경시 천안문(天安門)에 걸려 있는 큰 초상화의 주인공은 중국인들로부터 ‘국부(國父)’로 간주되는 모택동이다. 모택동은 중화인민공화국을 창건한 중국 공산당의 최고 지도자의 지위를 41년 동안 지켰다. 중국이나 외국을 물론하고 모택동은 동시대의 가장 탁월한 정치인이다. 또 그는 인류 역사상에서 보기 드문 걸출한 위인으로 평가된다. 위인(偉人) 모택동은 이상가(理想家)·정치가·(軍事)전략가·철학가·시인이다. 실제로 ‘홍군 통솔자’ 모택동이 중공 영수(領袖)로 재위(1938~1976)한 기간은 장장 38년이었다.
모택동은 개인적으로는 천재성을 가진 독특하고도 걸출한 인물이며 역사적으로는 20세기를 통틀어 가장 큰 변화와 기적을 창출한 우뚝 솟은 봉우리다. 또 혁명가인 그는 시인이며 탁월한 군사전략가·사상가이다. 20세기 위대한 정치가·사상가로 공인된 모택동은 현대 중국의 사상 형성과 사회제도 설립에 심원한 영향을 미쳤다. 또 20세기 국제정치의 판도 형성에 커다란 영향력을 끼친 모택동에 대한 연구는 유의미한 연구과제로 부상했다. 이와 같은 세계 현대사의 중심 인물이 한국과 악연이었다는 것은 서로에게 불행한 일이었다. 한국전쟁과 중공의 참전은 한국인들로 하여금 모택동의 중국을 ‘주적(主敵)’으로 여기게 만들었다. 그동안 한국에서는 공권력에 의한 (毛澤東)악마화 작업이 꾸준히 지속됐다. 신중국 창건자 모택동은 ‘20세기 진시황’, ‘철권 독재자’ 등 무한 권력을 휘두른 ‘영원한 주석’으로 불린다. 중국의 상징인 천안문 성문에 걸린 모택동 초상화는 13억 중국인민을 굽어보고 있고 그의 주검은 미라(Mirra)로 모주석(毛主席) 기념당에 안치돼 있다.
이 책은 총 세 권이다. 세 개의 장(章)으로 구성된 제1부는 ‘산대왕(山大王)’이 된 ‘(中共)창건자라는 제목으로 조금은 자가당착적이다. 실제로 ‘중공 창건자’가 산에 올라 ‘비적 두목’이 된다는 것은 퍽 자기 모순적이고 다소 이율배반적이다. 제1장의 주된 내용은 ① ‘개구쟁이’ 소년과 14세의 신랑(新郞) ② ‘동량지재(棟梁之材)’와 말단 열병(列兵) ③ 성립(省立)중학교 입학과 도서관 독학 ④ (長沙)사범학교의 ‘은사’와 ‘사건사고’ ⑤ 유심론자 양창제와 신민학회 창립 등이다. 제2장의 주된 내용은 ① 북경대학 취직, 마르크스주의 신봉 ② ‘공산당 창건자’, 노동운동 리더 ③ 국공합작(國共合作)의 ‘열성 지지자’ ④ ‘중공 창건자’, 국민당 ‘선전부장’ ⑤ 기로에 선 농민운동의 ‘대부’ 등이다. 제3장의 주된 내용은 ① 남창봉기와 추수봉기 ② 정강산(井岡山) 진출과 ‘당적(黨籍) 박탈’ ③ ‘주모(朱毛) 회사’와 ‘8월실패’ ④ ‘홍4군’ 하산(下山), 군권(軍權) 박탈 ⑤ 민서(閩西) 근거지 확장, 정강산 근거지 상실 등이다. 제1부장의 핵심적 내용은 모택동의 ‘군군 박탈(1929.6)’과 홍군 지도자 복귀(1929.11)이다.
제2부 ‘삼낙삼기(三落三起)’한 홍군 지도자는 제4~제6장으로 구성됐다. ‘중화소비에트공화국 주석의 실각(제4장)’의 주된 내용은 ① ‘입삼노선(立三路線)’과 홍군의 대도시 공격 ② ‘부전사변(富田事變)’과 숙반(肅反)운동 ③ 세 차례 반(反)‘포위토벌’ 승전 ④ 중화소비에트공화국 주석 당선, 녕도(寧都)회의 실각 ⑤ 모택동의 ‘수난시대’ 등이다. ‘장정(長征), ‘홍군 통솔자’ 등극(제5장)’의 주된 내용은 ① 제5차 반‘포위토벌’ 실패 ② 장정 개시, ‘포위권’ 돌파 ③ 준의회의(1935.1), ‘홍군 지도자’ 복귀 ④ 양군(兩軍) 회사(會師), 중앙홍군의 북상 ⑤ ‘홍군 통솔자’에서 중공 영수로 등극(제6장)의 주된 내용은 ① 섬북(陝北) 근거지 정착, 중앙홍군의 ‘동정(東征)’ ② 장국도의 ‘남하’와 홍군 3대 주력의 ‘섬북 회합’ ③ ‘서안사변(西安事變)’ 발발과 ‘평화적 해결’ ④ 연안(延安) 이주, ‘국공합작’ 실현 ⑤ 정적(政敵) 왕명 제어, 중공 영수 등극 등이다. 제2부의 하이라이트는 장정(1935.7) 중 모택동·주은래(毛周) 지위 역전과 숙명의 라이벌 장국도와의 권력투쟁에서 밀린 모택동의 ‘황급한 도주(北上)’이다.
제3부 ‘정풍운동과 모택동사상’은 환남사변(皖南事變)과 대생산운동(제7장)·정풍운동과 ‘소련파’ 제거(제8장)·‘중공 7대(七大)’, 모택동사상의 출범(제9장)으로 구성됐다. 제7장의 골자는 ① 국민당의 반공(反共)과 중공의 반‘충돌’ 투쟁 ② 환남사변(1941.1)과 중공의 대반격 ③ ‘변구(邊區)’ 건설과 경제위기 극복이다. 제8장의 주된 내용은 ① ‘9월회의(1941)’와 ‘삼풍(三風)’ 정돈 ② 주요 정적 제거, 중공 영수(領袖) 지위 확립 ③ (延安)문예계 정풍과 ‘실족자 구조(搶救)’ 운동 ④ ‘9월회의(1943)’와 ‘역사결의(歷史決議)’ 등이다. 제9장의 핵심 내용은 ① ‘중공 7대(1945)’와 (七大)중앙위원 선출 ② 마르크스주의 ‘중국화(中國化)’와 모택동사상 정립 ③ 모택동사상의 변천과 우여곡절 등이다. 제3부의 ‘압권(壓卷)’은 중공 지도자 모택동이 독소전쟁 발발(1941.6)과 공산국제 해체(1943.5)를 이용해 (延安)정풍을 단행, 두 차례의 ‘9월회의’를 통한 왕명 등 ‘소련파’의 제거이다. 한편 ‘(中共)7대 개최’와 중공 독립을 의미하는 모택동사상에 관한 졸견(拙見)은 졸저의 ‘백미(白眉)’라고 감히 자부한다.
저자

김범송

저자:김범송

1966년중국의두만강에서태어남

1990년베이징에서대학을졸업

베이징과서울등의일한기업에서10여년간근무하면서실무경험을쌓았고

베이징과서울의유수대학에서경영학과최고경영자과정을수료

2011년에귀국하여포스코CDPPC대외부사장으로5년동안근무

현재

대련대학한국학연구원초빙교수

중앙민족대학한국문화연구소선임연구원

흑룡강신문논설위원으로활약

목차

제1부산대왕(山大王)이된(中共)창건자

제1장소산충을이탈한늦깎이사범생

제1절‘개구쟁이’소년과14세의신랑(新郞)
1.소산충의‘거인’,석삼아자
2.‘개구쟁이소년’의사숙(私塾)생활
3.14세의소년신랑과‘원배(原配)’나씨(羅氏)

제2절‘동량지재(棟梁之材)’와말단열병(列兵)
1.동산소학당의‘동량지재(棟梁之材)
1)‘6년공부자’종료,소산충이탈
2)‘왕따’당한동산소학당의‘동량지재’
2.호남신군의말단열병(列兵)
1)햇내기중학생의미숙한정견(政見)
2)신해혁명과호남신군의열병(列兵)

제3절성립(省立)중학교입학과도서관독학
1.성립중학교의‘걸작’,‘상앙작문
1)성립제1중학교와‘은사’부정일(符定一)
2)모택동의걸작,‘상앙의사목입론(徙木立論)’
2.반동군벌탕향명을비호한‘사범생’
1)‘탕도부(湯屠夫)’의호남성도독(都督)부임
2)성립도서관에서의반년간독학

제4절사범학교의‘은사’와‘사건사고’
1.사범학교시절의모택동의‘은사’들
2.모택동의동향,복벽파양도(楊度)
3.사범학교시절의‘사건사고’
1)‘친구찾기’광고와소책자발간
2)‘자퇴신청’과후자석(候子石)전투

제5절유심론자양창제와신민학회창립
1.유심론자양창제의‘독실한추종자’
2.사범생이숭배한실학자와‘성현’
1)실학자왕선산(王船山)과실사구시
2)호남인들이숭배한‘성현(聖賢)’증국번
3.제1사범의‘학우회’총무,체육애호자
4.신민학회간사(幹事)

제2장공산당창건과국공합작(1924~1927)

제1절북경대학취직,마르크스주의신봉
1.두차례의‘북경행’과장사의혁명활동
2.무정부주의추종자,마르크스주의로전향

제2절중공‘창건자’,노동운동리더
1.마르크스주의자에서공산주의자로탈바꿈
2.노동운동리더,중앙국진출

제3절국공합작(國共合作)의‘열성지지자’
1.마링의‘당내합작’과공산국제의‘간섭’
2.‘마링전략’의실패와‘중공2인자’의실각

제4절‘중공창건자’,국민당‘선전부장’
1.국공합작의결과물,황포군관학교
2.국민당(代理)선전부장의‘고군분투’

제5절기로에선농민운동의‘대부’
1.농민운동종사자,농민문제‘전문가’로
2.농민운동‘견해차이’,진독수와결렬
3.국공합작결렬,무장투쟁의길선택

제3장정강산‘산대왕(山大王)’

제1절남창봉기와추수봉기
1.중공이지도한첫무장봉기,남창봉기
2.‘8.7회의(1927.8)’와추수봉기
제2절정강산(井岡山)진출과‘당적박탈’
1.정강산진입,녕강중심의근거지창건
2.‘11월회의(1927)’와‘당적박탈’와전
3.정강산의‘환난지처(患難之妻)’,하자진

제3절‘주모(朱毛)회사’와‘8월실패’
1.‘정강산회사(會師)’,‘홍4군(紅四軍)’창건
2.정강산근거지의확장,‘전성기’의도래
3.‘8월실패(1928)’와근거지회복

제4절‘홍4군’하산(下山),군권박탈
1.하산후잇따른패전과기사회생(起死回生)
2.‘주모분쟁(朱毛紛爭)’,군권박탈
3.당중앙의‘9월편지’,홍군복귀

제5절민서근거지확장과정강산근거지상실
1.고전(古田)회의후,‘홍4군’의발전
2.‘원왕(袁王)’사살,정강산근거지상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