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 수사법 (양장)

한시 수사법 (양장)

$57.00
Description
이 책은 주생아(周生亞) 교수가 쓴 ≪고대시가수사(古代詩歌修辭)≫를 번역하였다. 중국 문학은 수천 년의 역사를 가지고 지금껏 이어져 오고 있다. 그 체재가 다양한데 그 동안 운문(韻文), 그중에서도 특히 시가(詩歌)가 주류를 이루어 왔다. 고전시만 들어도, 선진(先秦) 시대의 ≪시경(詩經)≫과 ≪초사(楚辭)≫ 이후, 한대(漢代),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 시대, 당대(唐代), 송대(宋代), 원대(元代), 명대(明代), 청대(淸代)를 거치면서 많은 시인들이 활동하며 훌륭한 작품들을 남겼다. 그중에서 당대와 송대는 중국 고전시가의 성숙기라고 일컬어진다. 중국의 역대 시인들의 시를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고 읽으며, 또 연구를 해오고 있다.
중국의 고전시가를 제대로 읽고 감상하고 연구하자면 가장 기본적으로 우선 주목해야하는 것이 바로 수사법(修辭法)에 대한 이해이다. 고시(古詩)를 읽으면서 모르는 글자를 만나면 사전에서 찾아보면 되지만, 수사법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면 원시(原詩)를 제대로 해독하기 어렵고, 감상하기 어려우며, 나아가 연구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있게 된다. 그러므로 시가 수사법에 대해 비교적 전면적으로 체계적이고 깊이 있게 설명한 전문 서적이 필요하다. 이 책은 바로 이러한 요구에 부합되는 책으로, 한시를 읽고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상당한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저자

주생아

저자:주생아

중국고대(古代)한어(漢語)어법(語法),어법사(語法史)및고대시가의수사법(修辭法)에대해연구하고있다.1979년에서1999년까지,중국인민대학(中國人民大學)문학원(文學院)중문과에서강사,부교수,교수를역임하였다.

논문으로論詞頭“阿”字的生和用法的發展,“微”不能用作假設連詞,舊體詩詞的語言運用和語言賞析『求是園詩詞選集』語言簡評,古注的引用和發式學≪古代漢語≫學經驗點滴談,談談古代詩歌的語法特點,談談漢語多重修飾語的詞序問題등이있다.

저서에『漢語詞類史稿』(2018),『≪搜神記≫語言究』(2007),『古代詩歌語法』(2004),『求是園詩詞選集』(2002.공저),『古代漢語』(1998.공저),『古代漢語詞典』(1998.공저),『古籍閱讀基礎』(1996),『古代詩歌修辭』(1995)등이있다.

저자는1990년에서1992년사이,체코의찰스대학교(CharlesUniversity)(카렐대학교)에서강의를하면서『古代詩歌修辭』를지었으며,본서는1996년의2차인쇄본을번역하였다.



역자:이치수

경북대학교중어중문학과명예교수.고려대학교중어중문학과를졸업하고대만(臺灣)의국립대만대학(臺灣大學)에서박사학위를취득하였다.영남중국어문학회회장을역임하고,현재명예회장.대만의대만사범대학(臺灣師範大學)및중국의복단대학(復旦大學),중국사회과학원(中國社會科學院),상해사범대학(上海師範大學)방문교수.

중국고전문학과문화,수사학에많은관심을가지고있으며시(詩),사(詞),소설,문학비평,수사법등에대하여연구를하고있다.

대표논문으로宋代詩學平淡論의盛行배경과특색연구,魏晉南北朝시기의詩法論연구,陸游詞의對比修辭法,唐代詩學의전개에있어서<詩法>문제연구,中韓古典詩論의相關性연구,中國武俠小說在韓國的譯介紹與影響(臺灣),陸游詩寫作技巧考,中國古典詩體中六言絶句의생성발전과특색연구,中國古典詩歌에나타난俠,放翁詩硏究狂意識을중심으로등등이있다.

대표저서와역서로『입촉기(入蜀記)』(2022.공역),『송대시학(宋代詩學)』(2020),『양만리시선(楊萬里詩選)』(2017),『신기질사선(辛棄疾詞選)』(2014),『진여의시선(陳與義詩選)』(2012),『육유사선(陸游詞選)』(2011),『조자건집(曹子建集)』(2010.공역),『도연명전집(陶淵明全集)』(2005),『송시사(宋詩史)』(2004.공저),『중국시와시인(송대편)』(2004.공저),『육유시선(陸游詩選)』(2002),『중국유맹사(中國流氓史)』(2001.역서),『육유시연구(陸游詩硏究)』(1991.臺灣)등등이있다.

2001년에한국중어중문학회의학술상을받았으며,2015년과2019년에한국중어중문학회의우수논문상을받았다.2005년에『송시사(宋詩史)』,2020년에『송대시학(宋代詩學)』이대한민국학술원기초학문육성우수학술도서로선정되었다.

목차

Ⅰ.수사방식(修辭方式)

1.수사방식이란?
2.수사방식의분류
3.중국고대시가에서자주보이는수사방식

제1장비유(比喩)
<1>비유란?
<2>비유의기본유형
<3>비유의변화
제2장기흥(起興)
<1>기흥이란?
<2>기흥의기본유형
<3>기흥과비유(比喩)
제3장비의(比擬)
<1>비의란?
<2>비의의기본유형
<3>비의와비유(比喩)
제4장과장(誇張)
<1>과장이란?
<2>과장의기본유형
<3>과장의수법
제5장이취(移就)
<1>이취란?
<2>이취의기본유형
<3>이취와비의(比擬)
제6장대우(對偶)
<1>대우란?
<2>대우의기본유형
<3>대우의발전
제7장배비(排比)
<1>배비란?
<2>배비의기본유형
<3>배비의발전
제8장차대(借代)
<1>차대란?
<2>차대의기본유형
<3>차대의변화
제9장변환(變換)
<1>변환이란?
<2>변환의기본유형
<3>변환과반복(反復)
제10장연환(連環)
<1>연환이란?
<2>연환의기본유형
<3>연환의변화
제11장설문(設問)
<1>설문이란?
<2>설문의기본유형
<3>설문과반문(反問)
제12장반문(反問)
<1>반문이란?
<2>반문의기본유형
<3>반문과반어(反語)
제13장반복(反復)
<1>반복이란?
<2>반복의기본유형
<3>반복의발전
제14장대비(對比)
<1>대비란?
<2>대비의기본유형
<3>대비와대우(對偶)
제15장곡달(曲達)
<1>곡달이란?
<2>곡달의기본유형
<3>곡달의발전
제16장쌍관(雙關)
<1>쌍관(雙關)이란?
<2>쌍관(雙關)의기본유형
<3>쌍관과비유(比喩)
제17장반어(反語)
<1>반어란?
<2>반어의기본유형
<3>반어와은어(隱語)
제18장영친(映?)
<1>영친이란?
<2>영친의기본유형
<3>영친과대비(對比)
제19장인용(引用)
<1>인용이란?
<2>인용의기본유형
<3>인용과답습(蹈襲)
제20장모의(摹擬)
<1>모의란?
<2>모의의기본유형
<3>모의의변화
제21장음률(音律)
<1>음률이란?
<2>음률의기본유형
<3>음률(音律)의발전

Ⅱ.장법(章法)

1.시구의시작과끝맺음
<1>기구(起句)
<2>결구(結句)
2.시맥락의계승과전환
<1>승구(承句)
<2>전구(轉句)
3.시의구성
<1>시의단락(詩段)
<2>층차(層次)

Ⅲ.중국고대시가수사법의발전

1.시체(詩體)의변화와수사법의관계
2.수사방식의발전과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