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필자는 역사학적 방법 또는 역사적으로 공자와 맹자에 주목했다. 이것은 공자와 맹자 또 이들의 유학을 부정하려는 것이 결코 아니다. 필자의 의도는 어떤 사조든 역사 속에서 형성되고 발전했다는 점을 설명하려는 것이다. 어떤 개인이 절대적으로 완전하다고도, 또 어떤 사조가 단번에 완성되었다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 이 책에서 역사학적인 관점을 채택하게 된 것은 역사 발전 과정에서 각각의 인물과 사조가 가지는 장점과 한계, 둘 사이의 관련과 차이를 살펴보는 데 유용한 방법이기 때문이었다. 또 필자는 역사학적 관점에서 역사 발전 과정에서 등장한 각 인물과 사조를 살펴보려고 했다. 이것은 신앙을 부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필자는 신앙을 중요하게 봐야 한다고 생각한다. 신앙이 사라져서 사회가 쇠퇴하기 때문만이 아니다. 역사적으로 봤을 때 인류의 정신문화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외재적 세계의 객관 지식이 아니라 그 안에 있는 사상과 신앙이다. 이 책에서 필자는 역사학적 관점에서 각 인물과 사조를 살펴보았다. 지금 시대의 지평에서 새롭게 신앙을 고찰하고 선택하려고 했기 때문이다. 역사학적 방법이 철학적 방법에 비해 더 좋다거나 언제나 더 많은 객관 지식을 제공해서가 아니다. 어떤 사회든 신앙을 새롭게 선택할 때 사람들은 역사학적 방법과 지식론의 사유방식을 더 강조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서만 신앙이라는 측면에서 현대 사회를 운영하고 개인의 마음을 구성할 때 더 나은 것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 전통 유학, 특히 신유학을 중점적으로 논의한 이유는 유학에 대한 기존 관념을 극복하고 더 많은 선택지가 있다는 사실을 알리고 싶어서였다.
이 책을 다 읽은 독자들은 의아할 수도 있다. 책 전체에서는 유가를 논했지만, 마지막 부분에서는 전통과 현대를 연결하면서 도가를 지향한다고 했다. 이 문제는 이렇게 설명할 수 있다. 유가는 세상에 들어가 구원하고 도가는 세상을 벗어나 소요하는데, 그렇다면 어느 쪽이 더 납득할 만한 가치가 있을까. 이 문제에 모두가 동의할 만한 답안은 없을 것이다. 어떤 의미에서 인문학이라는 것은 어떤 사람이나 집단에게 어떤 삶의 방식을 받아들일 ‘이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사람 또는 집단이 이런 삶의 방식을 거부할 때 여러 측면에서 이 이유의 결함을 지적할 텐데, 이것은 지적으로 시비를 따질 문제가 아니다. 가치 판단이라는 측면에서 유가는 세상에 들어가 구원하는 것을 중시하지만 여기에는 엄청나게 헌신적인 측면이 있다. 그런데 도가의 입장에서 보면 세상에 들어간다는 것은 자신을 바꾸는 것이고 역할극을 하며 자신을 도구화하는 것이라 자아도, 참모습도 잃어버리는 것이다. 그래서 세상과 거리를 둔 채 비루하고 혼란한 세간을 비판하고 반성하는 정신을 가진다. 이것도 숭고한 것이 아닐까.
이 책을 다 읽은 독자들은 의아할 수도 있다. 책 전체에서는 유가를 논했지만, 마지막 부분에서는 전통과 현대를 연결하면서 도가를 지향한다고 했다. 이 문제는 이렇게 설명할 수 있다. 유가는 세상에 들어가 구원하고 도가는 세상을 벗어나 소요하는데, 그렇다면 어느 쪽이 더 납득할 만한 가치가 있을까. 이 문제에 모두가 동의할 만한 답안은 없을 것이다. 어떤 의미에서 인문학이라는 것은 어떤 사람이나 집단에게 어떤 삶의 방식을 받아들일 ‘이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사람 또는 집단이 이런 삶의 방식을 거부할 때 여러 측면에서 이 이유의 결함을 지적할 텐데, 이것은 지적으로 시비를 따질 문제가 아니다. 가치 판단이라는 측면에서 유가는 세상에 들어가 구원하는 것을 중시하지만 여기에는 엄청나게 헌신적인 측면이 있다. 그런데 도가의 입장에서 보면 세상에 들어간다는 것은 자신을 바꾸는 것이고 역할극을 하며 자신을 도구화하는 것이라 자아도, 참모습도 잃어버리는 것이다. 그래서 세상과 거리를 둔 채 비루하고 혼란한 세간을 비판하고 반성하는 정신을 가진다. 이것도 숭고한 것이 아닐까.
송·명 신유학약론 (양장)
$3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