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와 성운학 -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한자학 교양총서 2

한자와 성운학 -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한자학 교양총서 2

$20.00
Description
『고음운학초계-상(古音韻學初階-上)』 1에서는 성운학(聲韻學)을 ‘천서(天書)’와 ‘절학(絶學)’이라는 표현으로 소개하고 있다. 성운학이 상당히 그리고 매우 어렵다는 점을 강조하는 표현이다. 천서(tiānshū), 즉 ‘하늘의 책’이라는 뜻이다. 하늘의 이치에 맞닿을 만큼 어려운 내용이라는 표현이다. 절학(juéxué)은 ‘실전(失傳)된 학문’을 지칭하기도 하고, ‘빼어나고 독보적인 학문’을 지칭하기도 한다. 어떤 의미로 사용되었든, ‘어렵다’라는 점을 강조하는 표현이다. 이처럼 ‘어렵다’라는 선입견 때문인지, 성운학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중국과 대만에서도 다른 영역에 비해 전공하고자 하는 학습자들이나 연구자들이 상당히 적은 영역이다.
성운학의 가장 기본적인 효용은 중국어 어음(語音), 즉 발음의 통시적(通時的) 변화와 공시적(共時的) 차이를 고찰하는 데 있다. 통시(通時, Diachrony)라는 개념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분석 방식인데, 중국 언어학에서는 ‘역사’의 ‘역(歷)’과 ‘시간’의 ‘시(時)’자를 조합한 ‘歷時(lìshí)’라는 표현을 주로 사용한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 과정을 일컫는 것이다. 동일한 개념을 국내 언어학에서는 일반적으로 ‘통시’라고 표현한다.
예를 들어, ‘風(바람 풍)’자는 한(漢)나라 이전인 은(殷)·주(周)·진(秦)나라 시기에는 어떤 모양으로 썼을까? 은나라 때나 주나라 시기의 유물을 보면 ‘風’자가 ‘鳳(봉황새 봉)’자처럼 새겨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봉황새 모양으로 그려졌던 글자가 진나라·한나라를 거치면서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風’자의 모양으로 변화해 온 것이다. 자형(字形)상의 통시적인 변화 과정이다. 발음 측면에서 보면, 어떤 글자가 한나라 때에는 어떻게 읽혔고 공자(孔子)나 이백(李白)·두보(杜甫) 시대에는 어떻게 읽혔는지,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를 살펴볼 수 있다.
반면, 공시(共時, Synchrony)는 공통된 시간대이다. 예를 들면, 이백과 두보는 당(唐)나라 시대에 해당한다. 8-9세기라고 한다면 100년 단위가 되겠고, 당나라 시대라고 한다면 몇 백 년 단위가 될 것이며, 문명사 이후라고 한다면 몇 천 년 단위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공시라는 틀로 어느 시기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논할 때, 가장 대표적인 것이 ‘지역적인 차이’가 될 것이다. 지역 차이 이외에도, 요즘 사용하는 인터넷 용어라든지 이모티콘을 통한 언어 전달 방식 등 공시라는 공통의 시간에서 사용상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런 차이는 예외적인 상황도 있겠지만, 일반적으로는 연령대에 따라 이해도가 달라질 수 있는 ‘세대 간의 차이’로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직업군이나 사회 계층의 차이에 따라서도 표현 양식이나 언어 형태가 서로 다른 양상을 나타낼 수 있다.
‘통시’라는 개념과 ‘공시’라는 개념은 소쉬르(Ferdinand de Saussure)가 제시한 분석 기준이다. 이 개념은 언어학에서 주로 사용되지만, 언어학 이외에도 문학이나 역사 또는 문화사적인 면에서 각 요소의 변천 과정이나 지역·세대·계층 간의 차이 등을 논할 때 공시와 통시로 구분해서 접근할 수 있다. 학문 분석의 기본적인 틀이 된다.
저자

배은한,신아사

저자:배은한
현단국대중문과교수.
한국중국언어학회부회장,중국문화연구학회부회장등역임.
《현대표준중국어어음발전사(共譯)》,《한중일공통한자어어휘집(共編)》,《中日韓共用漢字詞典(共編)》,《현대중국어어법강의(共譯)》,《中語學槪說(敎材)》等.

저자:신아사
중국베이징대학교중문과에서박사학위를받은후,경성대학교한국한자연구소의HK+사업단에서HK연구교수로재직중이다.언어,문화,지역,교육,의학등다양한분야에서언어학적요소와학술경향을고증과데이터분석을통해해석하며,동아시아와서양사이의보편성과개별성을규명하는연구를진행하고있다.세계한자학회IJCCS의ManagingEditor와『중국언어연구』의편집이사로도활동중이다.

목차

제1장입문(入門)
1.1.성운학(聲韻學)과한자(漢字)
1.2.성운학(聲韻學)의효용
1.2.1.통시적(通時的)변화와공시적(共時的)차이고찰
1.2.2.어음(語音)의변화과정및방향분석
1.3.한자(漢字)의변천
1.3.1.자음(字音)의변천
1.3.2.자형(字形)의변천
1.3.3.자의(字義)의변천
1.4.중국어의음절(音節)구조
1.4.1.중국어음절(音節)구성의3요소
1.4.2.원음(元音)·보음(輔音)
1.4.3.성모(聲母)·운모(韻母)·성조(聲調)
1.5.음향(音響)·음성(音聲)·음운(音韻)
1.6.중국어발음표기법의역사
1.6.1.비황(譬況)·독약(讀若)·직음(直音)
1.6.2.반절(反切)

제2장성모(聲母)
2.1.성모(聲母)의개념
2.2.성모(聲母)의분류
2.2.1.발음기관
2.2.2.성모(聲母)의종류-1
2.2.3.성모(聲母)의종류-2
2.2.4.성모(聲母)의종류-3
2.3.성모(聲母)의변천
2.3.1.고대중국어의성모(聲母)
2.3.2.36자모(字母)·조매시(早梅詩)
2.3.3.탁음청화(濁音淸化)
2.3.4.성모(聲母)의통시적(通時的)변화

제3장운모(韻母)
3.1.운모(韻母)의개념
3.1.1.운모(韻母)의정의
3.1.2.한중음절(音節)구조비교
3.1.3.모음(母音)의분류
3.1.4.운모(韻母)구성의3요소
3.2.운모(韻母)의분류
3.2.1.단운모(單韻母)
3.2.2.복운모(複韻母)
3.2.3.부성운모(附聲韻母)
3.2.4.사호(四呼)
3.3.운모(韻母)의변천
3.3.1.음성운(陰聲韻)
3.3.2.양성운(陽聲韻)
3.3.3.입성운(入聲韻)
3.3.4.한어병음자모,운모(韻母)철자법의주요사항

제4장성조(聲調)
4.1.성조(聲調)의개념
4.1.1.초분절음소(超分節音素)
4.1.2.사성팔조(四聲八調)
4.2.3.조류(調類)·조치(調値)
4.2.성조(聲調)의분류
4.2.1.성조(聲調)표기법
4.2.2.상성(上聲)의변조(變調)
4.2.3.성조(聲調)의발견과활용
4.2.4.평성(平聲)·측성(仄聲)
4.3.성조(聲調)의변천
4.3.1.성조(聲調)와운서(韻書)
4.3.2.성조(聲調)에대한인식의변화
4.3.3.평분음양(平分陰陽)
4.3.4.탁상변거(濁上變去)
4.3.5.입파삼성(入派三聲)

제5장마무리
5.1.기본개념총정리
5.2.성모(聲母)총정리
5.3.운모(韻母)총정리
5.4.성조(聲調)총정리
5.5.성운학(聲韻學)총정리

출판사 서평

『고음운학초계-상(古音韻學初階-上)』1에서는성운학(聲韻學)을‘천서(天書)’와‘절학(絶學)’이라는표현으로소개하고있다.성운학이상당히그리고매우어렵다는점을강조하는표현이다.천서,즉‘하늘의책’이라는뜻이다.하늘의이치에맞닿을만큼어려운내용이라는표현이다.절학(juexue)은‘실전(失傳)된학문’을지칭하기도하고,‘빼어나고독보적인학문’을지칭하기도한다.어떤의미로사용되었든,‘어렵다’라는점을강조하는표현이다.이처럼‘어렵다’라는선입견때문인지,성운학은우리나라뿐만아니라중국과대만에서도다른영역에비해전공하고자하는학습자들이나연구자들이상당히적은영역이다.
성운학의가장기본적인효용은중국어어음(語音),즉발음의통시적(通時的)변화와공시적(共時的)차이를고찰하는데있다.통시(通時,Diachrony)라는개념은시간의흐름에따른분석방식인데,중국언어학에서는‘역사’의‘역(歷)’과‘시간’의‘시(時)’자를조합한‘歷時(lishi)’라는표현을주로사용한다.시간의흐름에따른변화과정을일컫는것이다.동일한개념을국내언어학에서는일반적으로‘통시’라고표현한다.
예를들어,‘風(바람풍)’자는한(漢)나라이전인은(殷)·주(周)·진(秦)나라시기에는어떤모양으로썼을까?은나라때나주나라시기의유물을보면‘風’자가‘鳳(봉황새봉)’자처럼새겨진것을확인할수있다.다시말하면,봉황새모양으로그려졌던글자가진나라·한나라를거치면서현재우리가사용하고있는‘風’자의모양으로변화해온것이다.자형(字形)상의통시적인변화과정이다.발음측면에서보면,어떤글자가한나라때에는어떻게읽혔고공자(孔子)나이백(李白)·두보(杜甫)시대에는어떻게읽혔는지,시간의흐름에따른변화를살펴볼수있다.
반면,공시(共時,Synchrony)는공통된시간대이다.예를들면,이백과두보는당(唐)나라시대에해당한다.8-9세기라고한다면100년단위가되겠고,당나라시대라고한다면몇백년단위가될것이며,문명사이후라고한다면몇천년단위가될수도있을것이다.공시라는틀로어느시기에어떤차이가있는지를논할때,가장대표적인것이‘지역적인차이’가될것이다.지역차이이외에도,요즘사용하는인터넷용어라든지이모티콘을통한언어전달방식등공시라는공통의시간에서사용상의차이를확인할수있다.이런차이는예외적인상황도있겠지만,일반적으로는연령대에따라이해도가달라질수있는‘세대간의차이’로간주할수있을것이다.직업군이나사회계층의차이에따라서도표현양식이나언어형태가서로다른양상을나타낼수있다.
‘통시’라는개념과‘공시’라는개념은소쉬르(FerdinanddeSaussure)가제시한분석기준이다.이개념은언어학에서주로사용되지만,언어학이외에도문학이나역사또는문화사적인면에서각요소의변천과정이나지역·세대·계층간의차이등을논할때공시와통시로구분해서접근할수있다.학문분석의기본적인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