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목록과 목록학 -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한자학 교양총서 6

중국 목록과 목록학 -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한자학 교양총서 6

$19.00
Description
중국 목록을 다루는 중국 목록학은 목록의 내용을 이해하고, 그 다음에 목록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학문 영역이다. 중국 목록에 대한 깊은 이해는 종종 다른 연구자들이 발견하지 못하는 다양한 역사적 사실들을 발견하게 한다. 동시에 목록에 대한 깊은 이해는 보다 넓은 시야로 중국 고전학을 바라보게 하는 기초가 된다. 이런 의미에서 중국 목록학은 중국 목록의 내용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학문 영역이기도 하지만 사실은 중국 고전학을 조금 더 넓게 그리고 깊이 있게 보게 하는 학문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중국 목록과 목록학』은 모두 5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장 「중국 목록과 목록학의 정의와 활용」과 제2장 「중국 목록의 체제와 종류」에서는 중국 목록의 기본 성격과 현전하는 다양한 목록을 소개하여 독자들이 중국 목록학이라는 학문 세계를 쉽게 이해하도록 구성하고자 했다. 제3장 「중국 목록 이해하기(1)−중국 목록의 공시적 이해」와 제4장 「중국 목록 이해하기(2)−중국 목록의 통시적 이해」에서는 실제적인 목록 활용의 예시를 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함으로써 독자들이 실제로 중국 목록을 이용하는데 편리함을 제공하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제5장 「중국 목록과 교감 및 판본의 관계」에서는 목록과 교감 그리고 판본이라는 세 영역이 본질적으로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학문 영역임을 설명하고자 했다. 동시에 중국 학계에서 자주 언급되는 예를 들어 독자의 이해를 돕고자 했다. 무엇보다 필자가 중국 목록을 통해 교감과 판본에 관해 진행했었던 연구 내용과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독자들이 중국 목록을 이용하는데 길잡이가 되고자 했다.
저자

김호,조성덕

저자:김호
성균관대학교중어중문학과교수.
성균관대학교중어중문학과문학사(1992),대만국립정치대학(國立政治大學)중국문학연구소(中國文學硏究所)문학석사(1997),대만국립대만대학(國立臺灣大學)중국문학연구소(中國文學硏究所)문학박사(2005),대만중앙연구원문철연구소(文哲硏究所)Doctoralcandidates(2001.07~2003.06),성결대학교중어중문학과전임강사/조교수(2007.03~2012.08),미국인디애나주립대학EastAsianstudiesCenterResearchScholar(2019.07~2020.06),한국중국산문학회회장(2020.09~2022.08),성균관대학교중어중문학과부교수/교수(2012.09~현재)

저자:조성덕
성균관대학교에서문학박사학위를받았으며,현재경성대학교한국한자연구소HK+사업단에서HK연구교수로재직하고있다.전공은경학과한국이체자연구이며,현재『한국문헌이체자자전』을집필중이다.최근에는한중일에서간행된자전의자형과주석의변화를연구하고있다.전통문화연구회에서『역주설문해자주』번역위원으로참여하고있으며,IRG(IdeographicResearchGroup)와KRG(한국한자특별위원회)전문위원으로활동중이다.

목차

제1장중국목록과목록학의정의와활용
1.목록(目錄)의정의와종류
1)목록의정의
2)목록의종류
3)목록학의공용(功用)
2.중국역대목록의기본성격
3.구체적인중국목록학연구의예
1)『사고전서총목(四庫全書總目)』을이용한연구
2)『중국총서종록(中國叢書綜錄)』을이용한연구

제2장중국목록의체제와종류
1.중국목록의체제(體制)
1)편목(篇目)
2)서록(敍錄)
3)소서(小序)
4)판본(版本),제발(題跋)과서발(序跋)
2.중국의대표적인목록
1)성질에따른목록분류
2)분류법에따른목록분류

제3장중국목록이해하기(1)중국목록의공시(共時,synchronic)적이해
1.목록의분류법과수록서적을통한공시적이해
2.「소서(小序)」와「총서(總序)」를통한공시적이해
1)한서(漢書)·예문지(藝文志)·제자략(諸子略)의「소서」와「총서」이해
2)『한서·예문지·병서략(兵書略)』의「소서」와「총서」이해

제4장중국목록이해하기(2)중국목록의통시(通時,diachronic)적이해
1.특정목록의비교를통한통시적(通時的,diachronic)이해
1)한(漢)반고撰『한서·예문지』
2)당(唐)위징撰『수서·경적지』
2.집부(集部)유목(類目)의변천을통한목록의통시적이해
3.개별서적을통한중국목록의통시적이해:『공자가어(孔子家語)』를중심으로
1)중국역대목록에서『가어』의분류상황
2)중국역대목록에서『가어』분류상황의변화의미

제5장중국목록과교감및판본의관계
1.목록과교감및판본의관계
2.목록을통한교감연구의실례
1)『이십사사(二十四史)』와『회남자(淮南子)』의예
2)목록을통한교감연구의실례:조선간본하흠(賀欽)『의려선생집(醫閭先生集)』과중국간본의교감의예
3.목록을통한판본연구의실례
1)숭정본(崇禎本)『수경주(水經注)』의예
2)『수호전(水滸傳)』과『사고전서(四庫全書)』의예
3)목록을통한판본연구의실례:규장각소장본『문장백단금(文章百段錦)』을중심으로

출판사 서평

중국목록을다루는중국목록학은목록의내용을이해하고,그다음에목록을활용할수있는능력을배양하는학문영역이다.중국목록에대한깊은이해는종종다른연구자들이발견하지못하는다양한역사적사실들을발견하게한다.동시에목록에대한깊은이해는보다넓은시야로중국고전학을바라보게하는기초가된다.이런의미에서중국목록학은중국목록의내용을이해하고활용할수있는능력을배양하는학문영역이기도하지만사실은중국고전학을조금더넓게그리고깊이있게보게하는학문방법이라고생각한다.
『중국목록과목록학』은모두5장으로이루어져있다.제1장「중국목록과목록학의정의와활용」과제2장「중국목록의체제와종류」에서는중국목록의기본성격과현전하는다양한목록을소개하여독자들이중국목록학이라는학문세계를쉽게이해하도록구성하고자했다.제3장「중국목록이해하기(1)?중국목록의공시적이해」와제4장「중국목록이해하기(2)?중국목록의통시적이해」에서는실제적인목록활용의예시를중심으로내용을구성함으로써독자들이실제로중국목록을이용하는데편리함을제공하고자했다.마지막으로제5장「중국목록과교감및판본의관계」에서는목록과교감그리고판본이라는세영역이본질적으로는불가분의관계에있는학문영역임을설명하고자했다.동시에중국학계에서자주언급되는예를들어독자의이해를돕고자했다.무엇보다필자가중국목록을통해교감과판본에관해진행했었던연구내용과방법을제시함으로써독자들이중국목록을이용하는데길잡이가되고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