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원 속 괴물 : 르네상스 경관디자인에 나타난 그로테스크하고 거대한 것에 관하여

정원 속 괴물 : 르네상스 경관디자인에 나타난 그로테스크하고 거대한 것에 관하여

$24.46
Description
󰡔정원 속 괴물 The Monster in the Garden󰡕은 경관디자인에 관한 연구서이며, 구체적으로는 16세기 르네상스의 경관디자인(Landscape Design)과 그곳에서 발현한 그로테스크 또는 괴물스러운 것들에 관한 연구서이다. 〈서문〉과 〈결론〉에서 저자는 이를 전기-숭고의 발현으로 보고자 하는 비전을 시사하고 있다.
한편, 이 연구는 복합적인 문제의식의 축을 갖고 출발하였으며, 전술한 내용은 현대 경관디자인(또는 경관건축)의 연구 방향성의 재설정 문제에 또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1장〉을 중심으로 한 전반부는 특히, 독립 분과로서의 미래를 앞둔 현대의 경관디자인의 새로운 이론적 연구방향과 질문의 재설정에 관한 논의를 담고 있다. 〈제2장〉 이후의 논의는 서구 고대 전통의 이상화된 로쿠스 아모에누스(즐거운 장소) 개념과 대립하는 또는 모순을 빚는 역사적 정원, 즉 전성기 르네상스 시대에 발전한 그로테스크한 경관디자인에 주목하며 이에 대한 해석의 문제에 집중한다.

모건의 연구는 오늘날 경관디자인 연구에 있어서의 전환적 관점을 드러낸다. 전환적 관점은 일차적으로 경관디자인 연구의 발전 과정에 관계된다. 이 연구 분야는 〈제1장〉에서 설명하듯이 1970년대에 경관디자인에 관한 독립적인 연구의 필요성과 가치에 주목한 소수의 미술사가들에 의해 성립되었다. 물론, 모건이 말하듯이 미술사의 하위 목차가 아닌, 독립된 학문 분과로서의 도약은 최근에 이르러 가능해졌다. 정원과 경관디자인(또는 경관 건축)에 관한 학계의 연구는 미대륙을 기준으로 할 때 2차 대전이 끝난 후 1970년 초에 시작되었고, 모건은 공식적인 출발점을 1971년 미국에 열린 ‘덤바톤 오크 콜로키움(Dumbarton Oaks Colloquium)’이라 소개한다. 즉 ‘70년대는 독립적인 연구 분과로서의 가능성을 타진하며 또한 지향성을 품은 채 그 예비적인 단계의 연구가 시작된 시기이다. 모건이 그 여정을 짧게 스케치하듯이, 정원과 경관디자인 연구라는 새로운 학술 분야의 마련에 앞장선 학자들의 학문적 기초는 미술사였다. 이는 프린스턴 대학의 미술과 고고학(Art and Archaeology)과에 교수로 있었던 데이비드 코핀(David Coffin)과 그의 제자들이 선도하며, 미술사의 한 분과처럼 이 분야의 연구가 출발하였기 때문이다. 소수의 연구자들로 시작한 이 연구는 2000년대에 들어 이제 전문적 연구분과로의 독립의 길을 마주하고 있다. 모건의 연구는 이러한 학문적 동향에 위치해 있다.
연구 분과의 독립성이 높아진 현 시점에서 경관디자인학의 관심은 연구 방식의 전환이다. 그것의 주요 일환은 1970년대 이후 인문학과 사회과학에서 벌어진 광범위한 이론적 발전을 분과 내로 수용하는 일이다. 루크 모건의 학문적 위치는 수정주의이다. 그는 비판적 관점에서 연구방식의 재배치를 요청하며, 기존의 미술사적인 방법론의 한계와 동시대 이론들의 유입이 늦어진 것에 대해 지적한다. 특히 〈제1장〉에서 루이 마랭, 피에르 브르디외, 앙리 르페브르, 미셸 드 세르토, 롤랑 바르트, 미셸 푸코, 자크 라캉 등 구조주의와 후기구조주의 학자들을 포함해 다수의 학자군의 이론들의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본 저서에서 그 스스로는 근대 초 이탈리아 경관디자인을 연구하며 문학, 의학, 법률, 과학적 저술들을 포함한 다학제간 연구 소스를 활용하는 한편, 20세기 후반 바흐친의 “그로테스크 리얼리즘”과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개념을 도입해 새로운 접근법의 가능성의 탐구한다.
그러나 가장 의미 있는 재배치는 역지 질문의 재배치이며, 이는 〈제2장〉 이후의 논의를 배후에서 견인한다. 설명해보자. 16세기, 고대 전통의 부활을 꿈꾸는 리나시타(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에서 정원은 미적 대상이 되었다. 그리고 최근까지 그것은 인습적인 이성적 기하학정원으로, 후자는 또다시 서구의 정원의 근간으로 대변되어 왔으나, 모건은 이러한 믿음과 해석에 의구심을 제기한다. 이는 16세기 르네상스의 정원이 거친 황무지, 자연의 야생성을 정원의 담벼락 내부로 통합하려는 경향을 드러내는 한편, 모건에 의하면, 르네상스 정원의 도상학적인 주요 원천은 오비디우스의 󰡔변신󰡕이었다. 사크로 보스코와 같은 일부 경관디자인은, 이를 보여주듯이, 정원을 문자 그대로 괴물스럽고, 그로테스크하며, 고통과 폭력적인 장소로 번역하였다. 실제로 다수의 정원은 인조 동굴, 위협적인 (의인화된) 산악의 경관, 거상들, 온갖 하이브리드 형상의 괴물들, 과잉과 결핍(폐허, 파편화된 대상) 등의 요소들, 그로테스크를 대변하는 요소들로 구성되었다. 리나시타의 ‘부활’이 이상적이고 합리성에 기초한 고대 전통의 부활이고, 이를 반영한 정원의 구성이 무한한 낙원의 반영이자 이상적인 피난처 및 즐거움의 장소, 즉 로쿠스 아모에누스를 재현한 것이라면, 또한 그것의 경험이 가능한 곳이라면, 왜 일부 (그것도 16세기 이탈리아 전성기 르네상스 시기에 조성된) 역사적 르네상스 정원에선 이와는 대립된 이미지가 나타나는 걸까? 또한 그로테스크의 요소들이 편재한 것일까? 질문과 관련해 모건은 〈제5장〉에서, 그간 연구되지 않았던, 사크로 보스코의 모조된 에트루리아의 유적과 살아있는 바위에 대한 특이한 활용의 측면에 관심을 집중시킴으로서, 그로테스크의 측면을 보다 설득력 있게 논증하고자 한다. 그에 따르면 르네상스 정원에 나타난 괴물과 그로테스크는 우연히 또는 부수적으로 당대의 주류문화에 추가된 것이 아니라, 르네상스가 전유한 사회-문화적인 관심을 드러내는 핵심적인 이미지이다. 따라서 질문이 환기하는 불일치 또는 모순은 16세기 경관디자인의 일부 유산에 대한 근대인의 학문적 편견과 이데올로적인 왜곡을 지시하며, 질문에 대한 모건의 모색은 〈제2장〉 이후의 전 〈장〉에 걸쳐 점진적으로 제시된다.
앞의 재배치와 연계해 모건의 연구는 또 다른 종류의 질문의 재배치를 필요로 하게 되었으며, 이는 사실 필연적이다. 질문은 다음과 같은 것이다. 모든 정원에는 장소를 경험하는 관람자가 존재한다고 합리적으로 주장할 때, 정원을 방문한 16세기의 가상의 관람자는 정원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한 거들, 괴물스러운 것들에 어떻게 반응했을까? 이는 경관 연구가 중심을 두지 않았던 부분으로서, 후기 구조주의에서 부상한 전환적 사고와 담론의 흐름을 반영한다. 즉, 그의 질문은 연구의 관심 축을 저자, 제작자 중심에서 수용자 중심으로 이동시키고 놓고 있다. 그가 롤랑 바르트의 “저자의 죽음”(1967/68)을 언급한 것은 우연이 아니다. 바르트는 비평의 장을 전통의 저자 중심에서 독자 중심으로, 궁극적인 소위 단일한 해석에서 다종의 해석이 가능한 장으로 옮겨 놓았다.
모건 또한 동시대의 방문자들을 정원의 구체적인 한 구성 요소로 전제한다. 그들은 구체적이고 물리적인 정원이란 구성체를 감각적으로 수신하고, 느끼고, 그 특성을 이해하는 적극적인 방문자이다. 이러한 수용자 중심의 연구를 위해 그는 마이클 박산달(Michael Baxandall)의 “시대적 눈”의 학술적 노선을 따른다. 신미술사의 선두주자 중 하나인 박산달은 르네상스 미술을 새롭게 연구하며 (󰡔15세기 이탈리아의 회화와 경험 Painting and Experience in Fifteenth-century Italy󰡕, 1972), 작품이 창작되고, 관객에 보여지고 또 이해되는 문화적인 조건을 밝히고자 하였다. 전통적인 미술사학이 예술 작품의 내부 요소들, 작가, 연대, 출처 판별에서부터 형식주의와 도상해상학 등에 몰두해왔다면, 이와 대조적으로 그는 예술 작품이 그 범위 밖의 사회·문화적인 경험과 실천적 행위 및 이데올로기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여 전자를 미술사에 포함시켰다. 그의 방법론은 동시대에 반복적으로 유통되면서 문화와 개인의 인식 형성에 관여하는 사회적 관행들, 시대적인 경험과 실천적 행위들이 자기 나름으로 축적되고 편집되어 형성된 관람자의 눈을 통해 대상을 바라봄을 말한다. 이러한 연구 방식은 시각적 인류학(visual anthropology)으로 불리기도 한다. 모건은 경관디자인에 대한 동시대의 사회적 경험과 반응이 무엇이든지 간에 이에 대한 연구는 경관디자인 역사에 대해 보다 단단한 이해를 마련해준다고 생각한다.
각 장의 구성 및 논의 대상에 관한 해설은 〈서문〉에서 모건이 직접 제공하기에 역자의 수고를 생략할 수 있게 되었다. 끝으로 개인적으로 모건의 연구가 반가운 것은 그간 그로테스크의 연구가 말하자면 인간에 관련해 진행되어 온 것에 반해, 그것이 자연에서도 나타남을 제시함에 따라, 자연 또는 비인간에 관련해서도 연구될 수 있음을 시사하기 때문이다. 이때 활용될 수 있는 개념은 아마도 무경계적이고, 규정할 수 없는, ‘테르차 나투라’ 즉 ‘제3의 자연’이 될 것이다.
저자

루크모건

저자:루크모건
호주모나쉬대학의“예술,디자인및건축학”과교수이며미술사이자이론가이다.호주연구위원회소속의미래연구원이자호주인문학아카데미의선임연구원으로도일하고있으며,『정원과경관디자인역사연구』학회지의편집위원을맡고있다.근대의디자인된역사적경관디자인을연구하며이를분석하기위한새로운방법론과기술에관해지속적인연구를진행하고있으며,『모델로서의자연:살로몽드코와17세기초경관디자인』(2006)을출판한후같은펜실베이니아대학출판사에서『정원속괴물,르네상스경관디자인에나타난그로테스크하고거대한것에관하여』(2016)를발표하였다.현재는코넬대학의캐서린페리롱과함께암스테르담대학출판부에서『괴물과경이:중세와근대초의타자성』의책시리즈의편집자를맡아출판을진행하고있다.최근에는식물문화에관해서도연구하며엘리자베스하이드와함께『문화속의식물』(『근대초의식물문화사』,블룸베리출판사,2022)를발표하였다.이외에도『“거짓예술의무례한연설”:마법에걸린근대초기의시와경관디자인』(『경관과장소에관한시각적해석학1500-1700』,브릴,2021),『빛에방향감각을잃은야행성새,16세기후반그로테스키와정원』(『르네상스그로테스크의패러다임』,CRRS,2019),『불협화음의교향곡:티볼리의빌라데스테와그로테스크』(『장식과괴물,16세기예술의시각적역설』,암스테르담대학출판부,2019)등을발표하며연구를활발히이어가고있다.

역자:김예경
파리1대학미학과에서박사학위를받았으며현재홍익대불어불문학과부교수로재직중이다.학문적으로학제간연구,융합연구에관심을갖고있다.한국연구재단지원을받아책임연구원으로서“그로테스크연구를위한학제적통합패러다임의정립”(2019-2022)을위한학제간공동연구를진행했고,최근에는그로테스크미학을연구하며『그로테스크,파생성(破生性)의미학』,『그로테스크미학:공포와웃음사이에서』,『현대‘공포스러운광대’의출현:19세기프랑스팬터마임의광대에서‘조커’까지』등의연구를발표하였다.파리1대학단편영화제(Paris1_Filmtoutcourt)에서다큐멘터리부문대상(2004)을수상했으며,<진단적정신:파국(Catastrophe)>(2012)으로동아미술제전시기획상을수상했다.

역자:조일수
학사와석사과정에서사진학을전공했으며고려대학교일반대학원영상문화학협동과정에서박사과정을수료했다.현재는대학에서영상학강의를맡고있으며,전시및예술프로젝트의총괄기획자로일하고있다.최근연구로는『<골목안풍경>,김기찬소론‘이야기꾼으로서사진가’』가있다.기술복제영상의다층적인해석가능성에대해관심을갖고연구하고있다.

역자:황정현
학사와석사에서광고홍보학,영어영문학,영화학을전공했으며,고려대일반대학원영상문화학협동과정에서박사과정을수료했다.주요경력으로는장편영화<노마드>(2017)프로듀서(전주국제영화제한국경쟁부문진출작,영화진흥위원회독립영화제작지원작),단편영화<11월>(2009)감독(프랑스리옹아시아영화제,오프앤프리국제영화제,시네마디지털서울진출작)이있으며다수의뮤직비디오,홍보영상등을제작하였다.현재는신구대학에서영상제작에관해교육하고있으며익스트림시네마(ExtremeCinema)에관해연구중이다.

역자:황하연
학사와석사에서영미문화학,독일어학을전공했으며홍익대학교일반대학원미술사학과에서석사학위를받았다.서양현대미술을연구하며『1960년대독일팝아트:전후서독미술계의미국화와팝아트실험』의논문을발표했다.현재는뉴미디어매체,문화적혼종성에대한관심으로다양한컨텐츠를번역하고있다

목차

저자의말
역자의말
프롤로그

서문르네상스정원의재해석
제1장경관의가독성
제2장그로테스크한것과괴물스러운것
제3장괴물스러운것
제4장“거대한동물의희귀하고어마어마한뼈”
제5장“살아있는돌안의죽은돌”
결론숭고를향하여

감사의말

출판사 서평

『정원속괴물TheMonsterintheGarden』은경관디자인에관한연구서이며,구체적으로는16세기르네상스의경관디자인(LandscapeDesign)과그곳에서발현한그로테스크또는괴물스러운것들에관한연구서이다.<서문>과<결론>에서저자는이를전기-숭고의발현으로보고자하는비전을시사하고있다.
한편,이연구는복합적인문제의식의축을갖고출발하였으며,전술한내용은현대경관디자인(또는경관건축)의연구방향성의재설정문제에또한연결되어있다.따라서<제1장>을중심으로한전반부는특히,독립분과로서의미래를앞둔현대의경관디자인의새로운이론적연구방향과질문의재설정에관한논의를담고있다.<제2장>이후의논의는서구고대전통의이상화된로쿠스아모에누스(즐거운장소)개념과대립하는또는모순을빚는역사적정원,즉전성기르네상스시대에발전한그로테스크한경관디자인에주목하며이에대한해석의문제에집중한다.

모건의연구는오늘날경관디자인연구에있어서의전환적관점을드러낸다.전환적관점은일차적으로경관디자인연구의발전과정에관계된다.이연구분야는<제1장>에서설명하듯이1970년대에경관디자인에관한독립적인연구의필요성과가치에주목한소수의미술사가들에의해성립되었다.물론,모건이말하듯이미술사의하위목차가아닌,독립된학문분과로서의도약은최근에이르러가능해졌다.정원과경관디자인(또는경관건축)에관한학계의연구는미대륙을기준으로할때2차대전이끝난후1970년초에시작되었고,모건은공식적인출발점을1971년미국에열린‘덤바톤오크콜로키움(DumbartonOaksColloquium)’이라소개한다.즉‘70년대는독립적인연구분과로서의가능성을타진하며또한지향성을품은채그예비적인단계의연구가시작된시기이다.모건이그여정을짧게스케치하듯이,정원과경관디자인연구라는새로운학술분야의마련에앞장선학자들의학문적기초는미술사였다.이는프린스턴대학의미술과고고학(ArtandArchaeology)과에교수로있었던데이비드코핀(DavidCoffin)과그의제자들이선도하며,미술사의한분과처럼이분야의연구가출발하였기때문이다.소수의연구자들로시작한이연구는2000년대에들어이제전문적연구분과로의독립의길을마주하고있다.모건의연구는이러한학문적동향에위치해있다.
연구분과의독립성이높아진현시점에서경관디자인학의관심은연구방식의전환이다.그것의주요일환은1970년대이후인문학과사회과학에서벌어진광범위한이론적발전을분과내로수용하는일이다.루크모건의학문적위치는수정주의이다.그는비판적관점에서연구방식의재배치를요청하며,기존의미술사적인방법론의한계와동시대이론들의유입이늦어진것에대해지적한다.특히<제1장>에서루이마랭,피에르브르디외,앙리르페브르,미셸드세르토,롤랑바르트,미셸푸코,자크라캉등구조주의와후기구조주의학자들을포함해다수의학자군의이론들의도입의필요성을강조한다.본저서에서그스스로는근대초이탈리아경관디자인을연구하며문학,의학,법률,과학적저술들을포함한다학제간연구소스를활용하는한편,20세기후반바흐친의“그로테스크리얼리즘”과푸코의“헤테로토피아”개념을도입해새로운접근법의가능성의탐구한다.
그러나가장의미있는재배치는역지질문의재배치이며,이는<제2장>이후의논의를배후에서견인한다.설명해보자.16세기,고대전통의부활을꿈꾸는리나시타(르네상스)시대,이탈리아에서정원은미적대상이되었다.그리고최근까지그것은인습적인이성적기하학정원으로,후자는또다시서구의정원의근간으로대변되어왔으나,모건은이러한믿음과해석에의구심을제기한다.이는16세기르네상스의정원이거친황무지,자연의야생성을정원의담벼락내부로통합하려는경향을드러내는한편,모건에의하면,르네상스정원의도상학적인주요원천은오비디우스의『변신』이었다.사크로보스코와같은일부경관디자인은,이를보여주듯이,정원을문자그대로괴물스럽고,그로테스크하며,고통과폭력적인장소로번역하였다.실제로다수의정원은인조동굴,위협적인(의인화된)산악의경관,거상들,온갖하이브리드형상의괴물들,과잉과결핍(폐허,파편화된대상)등의요소들,그로테스크를대변하는요소들로구성되었다.리나시타의‘부활’이이상적이고합리성에기초한고대전통의부활이고,이를반영한정원의구성이무한한낙원의반영이자이상적인피난처및즐거움의장소,즉로쿠스아모에누스를재현한것이라면,또한그것의경험이가능한곳이라면,왜일부(그것도16세기이탈리아전성기르네상스시기에조성된)역사적르네상스정원에선이와는대립된이미지가나타나는걸까?또한그로테스크의요소들이편재한것일까?질문과관련해모건은<제5장>에서,그간연구되지않았던,사크로보스코의모조된에트루리아의유적과살아있는바위에대한특이한활용의측면에관심을집중시킴으로서,그로테스크의측면을보다설득력있게논증하고자한다.그에따르면르네상스정원에나타난괴물과그로테스크는우연히또는부수적으로당대의주류문화에추가된것이아니라,르네상스가전유한사회-문화적인관심을드러내는핵심적인이미지이다.따라서질문이환기하는불일치또는모순은16세기경관디자인의일부유산에대한근대인의학문적편견과이데올로적인왜곡을지시하며,질문에대한모건의모색은<제2장>이후의전<장>에걸쳐점진적으로제시된다.
앞의재배치와연계해모건의연구는또다른종류의질문의재배치를필요로하게되었으며,이는사실필연적이다.질문은다음과같은것이다.모든정원에는장소를경험하는관람자가존재한다고합리적으로주장할때,정원을방문한16세기의가상의관람자는정원에나타난그로테스크한거들,괴물스러운것들에어떻게반응했을까?이는경관연구가중심을두지않았던부분으로서,후기구조주의에서부상한전환적사고와담론의흐름을반영한다.즉,그의질문은연구의관심축을저자,제작자중심에서수용자중심으로이동시키고놓고있다.그가롤랑바르트의“저자의죽음”(1967/68)을언급한것은우연이아니다.바르트는비평의장을전통의저자중심에서독자중심으로,궁극적인소위단일한해석에서다종의해석이가능한장으로옮겨놓았다.
모건또한동시대의방문자들을정원의구체적인한구성요소로전제한다.그들은구체적이고물리적인정원이란구성체를감각적으로수신하고,느끼고,그특성을이해하는적극적인방문자이다.이러한수용자중심의연구를위해그는마이클박산달(MichaelBaxandall)의“시대적눈”의학술적노선을따른다.신미술사의선두주자중하나인박산달은르네상스미술을새롭게연구하며(『15세기이탈리아의회화와경험PaintingandExperienceinFifteenth-centuryItaly』,1972),작품이창작되고,관객에보여지고또이해되는문화적인조건을밝히고자하였다.전통적인미술사학이예술작품의내부요소들,작가,연대,출처판별에서부터형식주의와도상해상학등에몰두해왔다면,이와대조적으로그는예술작품이그범위밖의사회·문화적인경험과실천적행위및이데올로기로부터분리될수없다는인식에서출발하여전자를미술사에포함시켰다.그의방법론은동시대에반복적으로유통되면서문화와개인의인식형성에관여하는사회적관행들,시대적인경험과실천적행위들이자기나름으로축적되고편집되어형성된관람자의눈을통해대상을바라봄을말한다.이러한연구방식은시각적인류학(visualanthropology)으로불리기도한다.모건은경관디자인에대한동시대의사회적경험과반응이무엇이든지간에이에대한연구는경관디자인역사에대해보다단단한이해를마련해준다고생각한다.
각장의구성및논의대상에관한해설은<서문>에서모건이직접제공하기에역자의수고를생략할수있게되었다.끝으로개인적으로모건의연구가반가운것은그간그로테스크의연구가말하자면인간에관련해진행되어온것에반해,그것이자연에서도나타남을제시함에따라,자연또는비인간에관련해서도연구될수있음을시사하기때문이다.이때활용될수있는개념은아마도무경계적이고,규정할수없는,‘테르차나투라’즉‘제3의자연’이될것이다.